[제5차] 보리원 불사 원만 성취 발원 100일 기도 (88일째)

작성자산띠빠다|작성시간22.01.07|조회수76 목록 댓글 15

▷우리 모두의 정성이 모여서 보리원 신축불사가 원만히 성취되기를 기원합니다.
▷두 분 스님께서 건강하게 역경불사를 이어 나가시길 기원합니다.
▷계율을 디딤돌 삼고, 자애의 마음을 떠나지 않기를 발원합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통찰지를 어떻게 닦아야 하는가?
통찰지의 토양이 되는 법들에 대해서 지혜를 굳건히 하고,
통찰지의 뿌리가 되는 계청정, 심청정을 성취하고,
통찰지의 몸통이 되는 다섯 가지 청정들을 성취하여 통찰지를 닦아야 함
*통찰지의 토양: 무더기(蘊), 감각장소(處), 요소(界), 기능(根), 진리(諦), 연기(緣)
*통찰지의 뿌리: 戒청정과 心청정
*통찰지의 몸통: 見청정, 度疑청정, 道非道지견청정, 行道지견청정, 知見청정

◈통찰지의 토양이 되는 법들: 五蘊, 十二處, 十八界, 二十二根, 四聖諦, 十二緣起
◇ 다섯가지 무더기 五蘊
1) 물질의 무더기 (色蘊)
2) 알음알이의 무더기 (識蘊)
3) 느낌의 무더기 (受蘊)

4) 인식의 무더기 (想蘊)

-인식하는 특징을 가진 것은 그 무엇이건 모두 한데 묶어 인식의 무더기라고 알아야 한다

 

*인식은 인식하는 것의 특징을 가지는 고유성질로는 한 가지이나 종류에 따라 세 가지이니, 유익한 것(善), 해로운 것(不善), 결정할 수 없는 것(無記)이다

 

*유익한 알음알이와 연결된 것이 유익한 인식이고, 해로운 알음알이와 연결된 것이 해로운 인식이고, 결정할 수 없는 알음알이와 연결된 것이 결정할 수 없는 인식이다

 

*인식으로부터 분리된 알음알이는 없기 때문에 인식은 알음알이의 종류만큼 있다

 

*인식은 인식하는 특징을 가진다.

인식의 역할은 ‘이것이 바로 그것이구나’라고 다시 인식할 수 있는 원인이 될 표상을 만들며 (nimitta-karana), 목수들이 목재 등에 표시하는 것처럼.

인식의 나타남은 표상에 따라 이해하려 드는 것이며, 마치 장님이 코끼리를 보는 것 마냥.

인식의 가까운 원인은 대상이 어떻게 나타나든지 나타난 대상이며, 마치 어린 사슴들이 허수아비를 보고 사람이라는 인식을 일으키는 것처럼.

 

 

청정도론에서...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통찰지를 갖춘 사람은 계에 굳건히 머물러서
마음과 통찰지를 닦는다. 
근면하고 슬기로운 비구는 이 엉킴을 푼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수마나 (무량심) | 작성시간 22.01.09 사두 사두 사두 ()()()
  • 작성자붓디물라 | 작성시간 22.01.10 사-두 사-두 사-두
    _()_ _()_ _()_
  • 작성자티라가-미 | 작성시간 22.01.11 사-두 사-두 사-두!
  • 작성자아누담마 | 작성시간 22.01.12 사두 사두 사두
    _()()()_
  • 작성자아누붓다(香那) | 작성시간 22.01.12 사두 사두 사두
    _()_ _()_ _()_
댓글 전체보기

초기불전연구원 근.. 다른글

현재페이지 1234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