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지 여행[경기 파주] 이주·이광정 묘

작성자광나루|작성시간09.11.17|조회수386 목록 댓글 0
오늘의 문화재

이주·이광정 묘(파주 향토유적 12호)                                                                                 written by 한국의 능원묘

황보인 묘역을 돌아 나와서 강직한 성품의 아버지와 청백리 아들이라는 이주·이광정의 묘역을 찾았습니다. 이 곳은 찐기님이 두 번을 왔음에도 묘역을 찾지 못해서 이번이 세 번째라는 이야기를 듣고 반드시 찾아야겠다는 일념에 2~3명씩 무리를 지어 30여분 정도 이 능선 저 능선을 돌아다녀 보았으나 결국 묘역을 찾지 못하였습니다.

▲ 재실(경모재) 겸 관리사 건물. 위 사진 좌측이 비각임.

▲ 우측에서 바라 본 비각 내부 모습

아무런 정보없이 그냥 돌아 다녀서는 안되겠다는 생각에 주변의 가옥을 찾았으나 대부분 사람들이 없었고 겨우 한 집에 사람이 있어서 물어 보았으나 젊은 사람은 모른다고 하여 댁에 혹시 어르신이 계시면 여쭈어 봐달고 했더니 다행히 안방에서 어르신이 나오셔서 위치를 대충 알려 주셨습니다. 찾고 보니 의외로 아주 가까운 곳에 있었습니다.

▲ 비각 안에 안치된 신도비 모습

▲ 귀부의 석재가 특이합니다. 화강암 중간에 2~3개의 흰 줄이 박혀 있습니다.

▲ 신도비의 이수 모습

조선 중기 문신인 이주(李澍,1534~1584)와 그의 아들 이광정(李光庭,1552~1627)의 묘와 신도비 이다. 이주의 자(字)는 언림(彦霖), 호는 분봉(盆峯), 본관은 연안(延安)으로 1558년(명종13) 진사시에 합격 성균관에 들어갔다. 사후 영의정에 추증 되었으며 연녕부원군(延寧府院君)에 봉해졌고 시호는 정목(靖穆) 이다.

▲ 경모재 뒷편에 길이 있습니다.

▲ 우측편 멀리에 묘역이 보임. 광나루는 처음에 모르고 지나침.

▲ 묘역 초입에서 바라 본 전경(중간이 이광정 묘, 맨 뒤가 이주 묘)

이광정의 자(字)는 덕휘(德輝), 호는 해고(海皐)로 연녕부원군 이주의 아들이다. 1573년(선조 6) 진사시에 합격하고 1590년 동몽교관으로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임진왜란이 나자 선조를 의주까지 호종하였고 그 후 이조· 병조· 예조참의를 역임하고 1601년에는 지중추부사로서 청백리에 녹훈 되었다. 이후 예조판서, 대사헌, 이조판서등의 요직을 거쳤다.

▲ 이광정선생 묘역 전경

▲ 이광정선생 묘

▲ 이광정선생 묘역 내 석물 모습

▲ 이광정선생 묘역에는 봉분이 3기가 있는데 봉분이 이상하게 배열되어 있어... 사진은 측면과 후면에서 바라 본 모습입니다.

이주·이광정 묘역은 10미터 간격으로 한 구역내에 함께 조성되어 있으며 봉분앞으로 묘비와 상석, 망주석, 문인석등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신도비는 묘역 아래 보호각에 세워져 있는데 이주 신도비는 이수부에 이무기 두마리가 여의주를 놓고 다투는 형상이 구름무늬와 함께 조각되어 있으며 귀부에는 귀갑문이 뚜렷히 새겨져 있다.

▲ 이주선생 묘역 전경

▲ 이주선생 묘

▲ 이주선생 묘역 후경

비문은 정경세(鄭經世)가 글을 짓고 이현(李絃)이 썼다. 이광정 신도비는 이수부에 두 마리의 이무기가 발톱을 마주대고 있는 형상으로 비문은 이기징(李箕徵)이 짓고 이간(李幹)이 썼다.                                                    - 파주시청 홈페이지 내용 발췌 -

이주·이광정 묘역 위치도

 소재지 : 파주시 조리읍 뇌조리 산 1-20                               화살표 ↑ 바로 위에 이주·이광정 묘역이 있습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