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산항에서 평양 대동강의 전쟁기념관으로 옮겨진 푸에블로 호 - 1968년에 나포된 푸에블로호가 1998년 대동강으로 옮겨진 방법
작성자정론직필작성시간15.10.01조회수1,989 목록 댓글 7전쟁기념관으로 옮겨진 푸에블로 호
<정삿갓 북한 방랑기> 동포시인 정찬열과 떠나는 북한 여행 ④
정찬열 | noproblem1018@daum.net
승인 2015.10.01 12:32:27
정찬열 / 재미동포 시인
지난 해 10월, 3주일 동안 북한을 방문했다.
나포한 푸에블로 호를 원산항에 놓아두었다가 1998년에 대동강 변으로 옮겨왔다고 했다. 그나저나 평양으로 흐르는 물길도 없는데 저렇게 큰 배를 원산에서 대동강까지 어떻게 끌어 올 수 있었을까. 안내원에게 물었지만 모르겠다고 했다. 궁금증은 북한을 떠나온 다음, 미국에 돌아와서야 풀렸다.
북한 당국이 푸에블로 호에 인공기를 달고 화물선으로 위장해 남한 주변의 공해를 9일이나 돌아 대동강까지 끌고 갔다. 정찰위성으로 북한을 손바닥처럼 감시한다는 미 정보기관이 감쪽같이 속아 넘어간 것이다.
장례절차는 사람이 죽으면 3일 동안 시신을 집에서 모시고, 3일째 되는 날 공동묘지에 묻거나 화장을 한단다. 시골은 묻는 경우가 많고, 평양에서는 화장을 하여 봉안소에 모시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모든 장례비용은 국가에서 부담한다기에 약간 놀랐더니, “당연한 일 아닙네까”하고 반문한다. 결혼식 축의금이나 장례식에 부의금은 주고받느냐고 물었더니 친불친에 따라 약간씩 마음을 표시하는 경우가 있단다.
학비는 대체로 얼마쯤 되느냐고 물었다. “대학까지 전혀 내지 않습네다”는 답이 돌아온다. 중학교 6년 졸업 후 일부는 대학에 진학을 하고, 대학 안 가는 사람은 군대를 가거나 직장에 근무하게 된다. 직장은 국가에서 정해준다고 했다. 군인 가는 것은 의무가 아니며 지원제라고 했다.
아가씨 나이를 물어보니 88년생, 우리 아들과 동갑이다. 중학 졸업하고 군대 가서 5년을 복무하고 왔다고 한다. 깜짝 놀라 군인 생활이 힘들지 않았느냐고 묻자, “군인복무는 공민의 신성한 의무입네다” 당연한 듯 대답한다.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3856
-------------
압록강대교 임시복구.."북중 통행 정상"
노컷뉴스 | CBS노컷뉴스 안윤석 대기자 | 입력2015.10.01. 13:29
교통사고로 다리 상판이 무너지면서 운행이 중단됐던 중국 단둥과 북한 신의주를 연결하는 압록강대교기 지난 달 30일부터 차량이 정상운행에 들어갔다.
중국 단둥 소식통은 1일 "중국당국이 압록강대교 부서진 상판 부분을 임시로 복구해 철도에 이어 차량들도 30일부터 정상운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사고이후 중단됐던 차량운행이 이틀만에 재개되면서 북중 교류에 큰 차질이 없게됐다.
지난 달 28일 오전 10시에서 11시 사이에 압록강 철교 북측 지역에서 단둥을 떠나 신의주로 가던 중국 트럭이 철로쪽으로 넘어지면서 다리 노면 일부와 철로를 파손돼 통행이 차단됐다.
압록강 철교 북측 지역이라 함은.....
중국 영토 지점이라는 의미이지요.
아마.....압록강 철교의 중간 부분이 북중 국경선일 겁니다.
댓글
댓글 리스트-
답댓글 작성자빨간불 작성시간 15.10.01 무시칼수록 용감해져야 한다 우리에게 현 싯점에서 아픔이 되도 언제까는 풀어야 할 숙제 입니다 무료교육 무료위생 무료부동산 단 땅만 무료 입니다 건물 개조 하던지 짓던지 그것은 개인이 부담할일 그 이외에도 몇가지 더 있지요 전기 상하수도 국토 이용권 즉 도로사용료 지금 현재 우리나라 땅 우리나라국민이 다니는데 도로세 달라고 합니다 외국인 한테 그러면 이해 가는데 이렇게 하자고 하면 빨갱이라고 지랄 하는 사람 많지요 하지만 국가 발전 위해서 언제까는 시행 해야 합니다
-
삭제된 댓글입니다.
-
답댓글 작성자노송 작성시간 15.10.01 프에불로호를 원산에서 어떻게 대동강으로 옮겼나? 궁금했는데, 일단 저사람이 북에서 들은 말이긴해도 (북의 당국자가 한말이 아니니 완전치는 못해도) 상선으로 위장해서 남해로 황해로 돌아왔다니 발상이 그럴듯하군요.
위장은 원산에서 배의 갑판 등을 하늘에서 볼때 상선처럼 덮어씌우면 될 듯하군요. -
삭제된 댓글입니다.
-
답댓글 작성자가람 작성시간 15.10.01 나포당시의 선장이 30년이 지나도록 현역에서 복무했다? 그냥 지어낸 얘기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