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음악이론

[스크랩] 주요 합창음악 작곡가와 작품 ( Composers and Works )

작성자늘소망|작성시간10.04.11|조회수464 목록 댓글 0

합창음악의 유래와 역사




주요 합창음악 작곡가와 작품 (Composers and Works)




■ 중세

오케겜 / Johannes Ockeghem (1425∼1495) 벨기에

1)뒤파이를 이어 대위법적 기법을 전승하여 새로운 폴리포니 기법을 개척

2)베이스성부의 음역을 확대

팔레스트리나 / Givanni Pierluigi da Palestrina (c.1525∼1594) 이탈리아

1)주로 교회음악 작곡

2)대위법적인 선율이 이태리적으로 풍요한 음향

3)그레고리오 성가를 고정선율로 선택하는 경우가 많음

4)성악적 폴리포니의 절정

5)선율과 화성의 매끄러운 조화

6)성악적 선율과 2도진행이 많고, 도약후에는 2도의 하향전환

8)조심스러운 불협화음 진행: 준비를 거쳐 사용되고 순차적으로 하강

9)주로 5∼6성부의 곡들로 성부들이 교대하며 그룹을 지어 충만한 소리

* 90곡의 미사

* 500곡의 모테트

* 100곡의 마드리갈

* 53 parodi missa

* Missa Nasce la Gioia mia

* Missa Brevis [홍정표] 호산나음악사

* Missa Papae Marcelli <Associated Music Pub>

* Missa Aeterna Christi Munera

* Missa Sine Nomine (이름없는 미사)

* Super Flumina Babylonis (ps.137) 성가곡집에 출판 "바빌론강 흐름이여"

* Sicut Cervus 한국성가곡집에 출판. (ps.42) "사슴이 시냇물 사모함같이"

* Stabat Mater (성모의 애가)

 

■ 바로크 시대 (Baroque Period 1600∼1750)

1) 바로크( Baroque)라는 말은 포르투갈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앞서가는 시대의 비실용적이고 과장된 예술을 낮추어 평가하기 위해서 사용되었다.

2) 계속저음(Basso Continuo)이 많이 사용되었다. 이로 인해 즉흥 연주가 발전됨.

3) 콘체르토 양식(Stile Concerto)의 시대

4) 박자의 마디(세로줄)가 확실시됨

5) 장. 단조의 조성이 확립됨

6) 기악음악의 발달로 인해 합창음악에 기악적인 요소가 들어옴

7) 반주가 딸린 대규모 합창음악의 등장

8) Polyphony 음악이 지배적이다.

9) 기능적 화성이 발전됨

10) 여러 음형으로 감정의 표현을 꾀함

11) 다 카포(Da Capo) 기법이 주로 사용

12) 레치타티보의 사용

13) 헤미올라(Hemiola)의 사용

 

▣ 참고사항

박자의 강약이 분명하게 나타나며 특히 빠른 음악에서는 모든 리듬 하나 하나가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연주된다.

이때 리듬을 너무 강하게 연주하게 될 경우 선율이 잘 살아나지 못하는데 리듬도 살리며 선율도 살아나는 연주가 되어야 한다.

붓점 연주시 . ♪는 ♩.. 로 . 는 .. 로 강한 붓점으로 연주된다.

소리는 가볍고 투명한 소리를 지향하며 가급적 바이브레이션 없는 두성 발성을 요한다.

지나친 감정표현은 자제해야 한다.

지나치게 느리고 지나치게 빠른 속도는 좋지 않다.

너무 크고 너무 적은 표현은 삼가는 것이 일반적인 바로크시대의 연주법이다.

 

비발디 / Antonio Vivaldi (c.1678∼1741 이탈리아)

1)바로크 음악의 틀을 형성

2)특히 기악음악의 진보된 작곡 기법이 성악 반주와 함께 잘 어울림

20곡의 시편가. 3곡의 오라토리오. 7개의 단편적 미사곡. 마니피카트

* Gloria (RV 589) <{홍정표} 호산나 음악사>

* Beatus Vir (ps. 112) <{홍정표} 호산나 음악사>

* Magnigicat (RV 610) : 눅1 <Universal Edition>

* Laudate Pueri (RV 602) : ps. 113

* Lauda Jerusalem (RV 609) : ps. 147:12-20

* Dixit Dominus (RV 594) : ps. 110

* Credo (RV 592)

 

바흐 / Johan Sebastian Bach (1685∼1750 독일)

1)바로크음악의 종합

2)합창음악이 기악적이며 밀도있는 폴리포니 경향

3)고난도의 푸가를 쉽게 진행

4)선율 중심보다 성부간의 배치를 고려

5)주요3화음 이외에 부3화음 많이 씀

300여 곡의 칸타타(현존 약200곡). 6곡의 미사곡. 3곡의 오라토리오. 6곡의 모테트

출판 <Barenreiter> <Carus Verlag> <Breitkopf>

* Magnificat in D : {홍정수} <아가페출판사>

* Weinachts Oratorium :{홍정표} <호산나음악사>

* Matthaus Passion : {윤학원} <초석출판사>

* Johannes Passion

* Kantata 140 : {김연술} <보이스사>

* Kantata 160 : {최훈차} <에덴문화사>

* Kantata 4 : {윤학원} <초석출판사>

* h moll Messe : <Barenreiter>

* Missa BWV 233. 234. 235. 236

* Kantata 17. 21. 61. 64. 75. 76. 106. 119

* Jesu Meine Freude

* Singet dem ein neues Lied

 

헨델 / Georg Friedrich Handel (1685∼1759) 독일→영국

1)축제에 적합한 화려한 성격의 곡

2)독창에서는 선율을 합창에서는 충만한 화성을 중시함

3)극적인 핵심에는 합창곡 사용

4)바하에 비해 주3화음을 많이 사용

5)푸가를 사용할 때는 쉽도록 조절

6)상징적인 것보다는 음악의 효과를 우선시 한다.

24곡의 오라토리오. 2곡의 Anthem. 2곡의 Te Deum. Psalm 등.

출판 <Barenreiter> <Breitkopf> <Edition Peters>

* Messiah : {곽상수} <,기독교음악사>. {홍정표} <호산나음악사>

* Cantkcle of Praise : {최훈차} <호산나음악사>

* Utrecht Te Deum : {홍정수} <호산나음악사>

* Dettingen Te Deum : {김동현} <미완성>

* Kingshall Rejoice (Coronation Anthem) : <에덴문화사>

* Israel in Egypt (이집트의 이스라엘 사람들)

* Judas Maccabaeus (유다스 마카베우스)

* Chandos Anthem

 

■ 고전시대(Classic Period 18C후반-19C초)

1.고전(Classic)이라는 개념은 시대적인 구분이라기보다는 하이든 .모짜르트. 베토벤의 음악과 다른 음악을 구별시 키는 질적인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2. 단순하고 경쾌한 음악이 주로 작곡됨 (바로크시대와 비교해서)

3. 이때 상 성부의 선율이 음악을 지배한다.

4. 소나타형식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5. 주요3화음은 더욱 확실해지고 부3화음은 부수적으로 사용된다.

6. 바로크시대와 클라식(고전)시대사이에 로코코 양식의 세대가 잠깐 지나가는데 이것은 바로크시대의 무겁고 엄숙한 것과 대비하여 가볍고 우아한 음악을 말한다. 초기의 J.하이든, 모짜르트의 작품들과 Michael하이든의 작품들

7. 이 로코코시대는 전 고전주의 양식으로도 불리 운다.

8. 음악의 표현이 더욱 강렬해지며 연주효과를 위해 크레센도, 디크레센도 피아노, 포르테 사용을 자주 한다.

9. 세속음악과 교회음악의 구분이 실질적으로 사라지는 경향이며

10)교회음악이 교회가 아닌 음악회를 위한 작품도 나오게 된다

.

*참고사항*

-초기의 작품들은 아직까지 바로크음악의 영향아래 아래 있기 때문에 가볍게 처리하며 많은 감정의 표현은 자제한다.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 세 사람 중 하이든의 음악은 연주시 지나친 감정표현은 좋지 않으며 베토벤의 낭만적인 음악을 지향하는 곡은 극적인 표현을 많이 할 수 있으며 모짜르트는 중간정도라 볼 수 있다.

- 느린 선율 처리는 우아함을 잃지 않고 끝까지 잘 처리할 것.

 

하이든 / Franz Joseph Haydn (1732-1809)

1)귀족을 위해 봉사했으며 독일적 이탈리아적인 나폴리 악파적 표현을 새로운 음악관과 결합.

2)헨델의 합창음악영향으로 대규모 교회음악작곡

3)전체적으로 밝고 화려하고 우아한 로코코 스타일을 고수

4)후반기의 음악에는 낭만주의적 요소도 보이고 있음 (천지창조 서곡 등)

5)오페라적 레치타티보, 아리아, 합창과 독창(또는 중창)의 상호 교환연주. 가벼운 푸가의 합창기법

 

4곡의 오라토리오 12곡의 미사 Te Deum 가상칠언

출판 <Barenreiter> <Edition Peters><Breitkoph> <Carus Verlag>

*천지창조(Die Schopfung)-(곽상수) <기독교음악사> ,(나영수) <호산나음악사>,(홍정표)<에덴문화사>

*사계(김연술) <보이스사>

*Te Deum (홍정표) <호산나음악사>

*가상칠언 (이동일,이문승) <교회음악사>

*하모니미사(윤학원) <비파사>

*Der Sturm<Doblinger>

*전시미사 (윤학원) <호산나음악사>

*테레지아미사(김연술) <보이스사>

*넬슨미사 (김연술) <보이스사>

*마리아 젤 미사(김연술)<보이스사>

*천지창조미사 (김홍경) <보이스사>

*성 베르나르디미사(거룩미사)-(김연술)<보이스사>

 

모차르트 /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1)자유분방하며 자유로운 음악가로 살아가려고 노력

2)그의 음악은 우아하고 명랑

3)간결성 시도

4)선율은 성악적이며 아름다움 유지

5)그의 교회음악에는 세속적 요소가 많음

6)후기작품 레퀴엠에서는 그의 작품에서 드물게 어두운 성격이 나옴. 어두운 색깔의 악기편성, 고통스러운 반음 진행 등

 

19곡의 미사곡. 4곡의 리타니아. 2곡의 베스페레. 3곡의 Regina Caeli, 1곡의 수난칸타타, 1곡의 오라토리오,1곡의 레퀴엠 출판 <Barenreiter> <Edition Peters> <Breitkopf><Carus Verlag>

*미사 솔렘니스(고아원미사)K139 (홍정표) <에덴문화사>

*대관식미사 K.137 (홍정표) <호산나음악사>

*롱가미사 K.262 (홍정표) <호산나음악사>

*대규모 미사 K.427 (홍정표) <호산나음악사> *미완성

*Vespere 저녁기도 K.339 (김홍경) <비파사>

*크레도 미사 K.257 (김명엽) <비파사>

*제7번미사 K. (김홍경) <비파사>

*레퀴엠 K.626 (이기선) <호산나음악사> *미완성

*Te Deum K.141 (홍정표) <아가페출판사>

*미사 브레비스 C장조 K.220 (홍정표) <호산나음악사>

*Ave Verum Corpus K.618 성가곡집 출판

*Regina Coeli K.618 *Litaniae K.243 K.195 K.125)

*Dixcit Dominum Magnifcat K.193 (하재은) <세광음악출판사>

*Oratorio : Davide Penitente K.469 (다윗의 회개) *미완성

 

베토벤 /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

1)기악적 성악곡(합창곡)

2)규모가 큰 장엄미사는 음악적 요구가 인간목소리의 한계를 고려하지 않음

3)숭고하고 장엄함을 표출

4)극적인 다이나믹 표현

*Messe C Dur op.86 *Bundeslied op.122 <Doblinger>

*장엄미사 op.123 *Opferlied op.121 <G.Schirmer>

*감람산 위의 그리스도(오라토리오) op.85 (윤학원) <비파사>

*환희의 송가 (Symphony 9) (주정식) <호산나음악사>, (최시원) <미완성>

*Bitten op.48 (기도) <Carus Verlag>

*Chor Phantasie c moll (op.80)

 

파헬벨 / Johann Pachelbel (1653-1706) 독일

1)이탈리아적인 양식과 중부독일의 양식이 융합한 독특한 음악

2)단순한 화성

3)독특한 음형

출판 <CARUS VERLAG>

*Der Herr ist Konig *Jauchzet dem Herrn, alle Welt

*Nun danket alle Gott *Singet dem Herren ein neues Lied *Gott ist unser Zuversicht

 

■ 낭만시대( Romantic Period 1825-1900 )

1)낭만음악은 고전음악에 그 뿌리를 박고 있다.

2)주관주의와 감정이 중시된다.

3)낭만적 화성은 고전적 화성을 발전시켰지만 다양한 전조 반음계주의 변화화음 등을 통해 무조의 영역으로 나아간다.

4)짧은 형식의 작품이 선호되었다.

5)호모포닉(Homophonic)하여 멜로디가 중요하다.

6)관현악 반주에 의한 대규모 합창음악도 등장하였다.

7)반면에 체칠리아 운동에 의해 다성부 무반주 합창음악의 방향은 있었다.(1828년 팔레스트리나의 전기를 쓴 바이니 (A.G Baini)에 의해 시작된 체칠리아 주의는 1868년 비트 (F.X Witt)에 의해 레겐스부르크에서 협회가 결성된 것으로 이것은 캐톨릭교회 개혁운동으로 팔레스트리나와 당대의 무반주 다성 음악으로 돌아가자는 것이었는데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다.)

8)악상기호가 더욱 다양해지고 음악의 표현이 더욱 풍부해졌다.

9)속도의 Rubato, Fermata, Accelando, Ritardando가 많아졌다.

10)민속적 특징들이 나타나 음악의 형태는 다양해진다

 

.참고사항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여러 가지 음악적 기술이 필요하다. 가사의 표현, Stacato, Marcato, Lerato등을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는 능력

*윤기 있고 힘있는 선율의 유지를 위해 다른 시대보다 힘이 필요하다. 때로는 한 사람 한 사람 바이브레이션도 필요함 (합창단 tone을 깨지 않는 범위 안에서)

*발성에 있어서 더 많은 공명강과 호흡의 받침이 필요 (작곡자의 작품에 따라 더 많을 수도 작을 수도 있음)

*대개 crescendo는 잘되나 긴장감을 유지하는 decrescendo는 쉽지 않다.

*pp를 낼 때 긴장감과 울림이 있는 투명한 소리 유지

*ff를 낼 때는 소리가 파괴되지 않는 힘있는 뭉쳐진 소리 유지

 

베버 / Carl Maria von Webber (1786-1826) 독일

1)독일 낭만음악의 방향을 잡아준 작곡가

2)풍만한 극적 효과를 아는 선율과 화려하고도 다양한 색채의 화성을 받침으로 하는 밝고 단순한 접근하기 쉬운 음악

2곡의 미사곡 2곡의 칸타타 3곡의 남성합창곡

*Jubel Messe (경축미사) (홍정수) <호산나음악사>

*Freischutz Messe (자유의 사수 미사)

 

슈베르트 / Franz Schubert(1797-1828) 오스트리아

1)성악적, 민요적 선율사용

2)고전적 단순성과 낭만적 서정성을 갖춤

3)당대에는 현대적인 새로운 화성

4)색채적 전조

6곡의 미사 2곡의 Stabat Mater 4곡의 Kyrie 3곡의 Salvie Regina 5곡의 Tantum Ergo

5곡위의 Offetorium Magnificat 오라토리오 Lazarus 남성합창곡 다수

*Deutsche Messe (독일어미사)

*G장조 미사 (홍정표)<호산나음악사), (김연술) <보이스사>

*B 장조 미사 (홍정표)<호산나음악사>

*E 장조 미사 (홍정표) <호산나음악사>

*미리암의 승전가 (홍정표) <에덴문화사>

*Messe in A

 

멘델스죤 / Felix Mendelssohn - Bartoldy (1809-1847)

1)바로크적 형식과 낭만적인 표현력을 가진 선율과 화성의 결합

2)효과적인 합창 성부배치

*엘리야 (박태준)<교회음악사>, (홍정표)<호산나음악사>

*사도바울 (김중석)< 에덴문화사>, (최시원)<호산나음악사>

*찬양의 노래 (김연술)<보이스사> (홍정표)<호산나음악사>

*그리스도 (김연술) <보이스사>

*시온아 찬양하라 (홍정표) <호산나음악사>

*시95편 (오라 주께 경배하자) (홍정표) <호산나음악사>

*시42편(사슴이 시냇물을 사모함 같이) (윤학원) <초석출판사>

*PS 45. 114. 115. 43. 98 <Carus Verlag>

*Kirchenmusik (교회음악) <Edition Peters>

*Te Deum (하재은) <세광출판사>

*Jubilate Deo (하재은) <세광출판사>

 

브람스 / Johannes Brahmas(1833-1897)

1)전통에 충실

2)옛 모테트 음악과의 밀접한 관련

3)특히 푸가는 바하의 교회음악과 연계성

4)그러나 낭만주의적 선율과 화성으로 일관함

5)자연스럽고 부르기 쉬운 성부의 처리

6)효과적인 성부배치

*독일어 레퀴엠 (박태준)<비파사>, (민형식) <호산나음악사>

*Weltliche Gesange op.42.62.93.104 <Edition Peters>

*Liebes Lieder (op.52) (사랑의 노래) (김연술) <세광출판사>

*Neue Liebeslieder op.65(새 사랑의 노래) <Breitkopf>

*Schicksalslied op.54 (운명의 노래) <Breitkopf>

*Zwei Motetten op.74 <Carus Verlag>

*Fest und Gedenkspruche op.119 <Edition Peters>

*Zwolf deutche Volkslieder op.1-14 <Edition Peters>

 

브루크너 / Anton Bruchner (1824-1896) 오스트리아

1)음악적으로는 바그너의 영향

2)정신적으로는 카톨릭 신앙에 충실

3)화음진행이 예측 불허

4)반음계적 기법

5)억제된 느린 템포에서 오는 장엄한 합창진행

6곡의 미사 Te Deum Ps150 Graduale Antiphon

*Messe d moll <Edition Peters>

*Messe d moll <Edition Peters>

*Messe f moll (대미사) <Edition Peters>

*Te Deum (황태영) <호산나음악사>

* PS 150 <Willy Muller>

*Mottet : Ave Maria Virga Jesse O Justi <Willy Muller>

*Locus iste (주의 성소), (최시원) <세광출판사>

 

롯시니 / Giacchino Antonio Rossini (1792-1868) 이탈리아

1)합창소품 밝고 가벼운 화성진행에 주로 피아노 반주가 붙은 아름다운 선율

2)셈여림 템포 음색의 대비

3)재치와 유머가 있음

4)대규모 합창곡은 오페라적 기법

5)단순하고 소박한 서정성이 있는 선율처리

출판 <Carus Verlag>

*Stabat Mater(성모의 애가) <비파사>

*Petite Messe Solenelle *Messa di Gloria *I Gondolieri

*La Passeggiata (소풍) *La Fede (믿음) La Speranza(소망) La Carita(사랑) 여성합창 (변성엽)<보이스사>

 

베르디 / Giuseppe Fortunio Francesco Verdi (1813-1901)

1)극적인 요소를 포용

2)성악적 선율

3)낭만주의적 화성

4)관객을 사로잡는 음악

5)오페라적

6)섬세함과 장엄함

*Requiem

*Quattro Pezzi Sacri

 

풋치니 / Giacomo Puccini (1858-1924)

1)서정성과 정열과 박력이 있음

*Messa di Gloria

*Requiem CD ASV 914

*Salve Regina

*Vexilla Regis

 

구노 / Charles Gounod (1818-1893) 프랑스

1)자연스러운 음악진행

2)우아함 청초함 세련미 진지함의 조화

3)경건한 신앙자세

16곡의 미사

*Messe Solennelle a Sante Cecile (장엄미사), (김명엽) <비파사>, (홍정표) <호산나음악사>

*La Redenption (속죄)

*Messe breve NO.6 in G (홍정표) <호산나음악사>

*Golia (문덕준) <에덴문화사>

*Ave Verum

*Die Sieben Worte

*Requiem

*Pater Noster

*Stabat Mater

*La Chasse

*Sicut Cervus

*Te Deum

*Laudate Dominum

 

프랑크 / Cesar Auguste Franck (1822-1890) 벨기에- 프랑스

1)선율의 높은 기품과 깊은 표현력

2)화성의 새로움

3)견실성과 조화

4)낭만적 선율

*La Redemption (속죄) CD EMI 5550562

*Les Sept Paroles du Christ sur la Croix (가상칠언) CD CYD2611

*Messe Solennelle in A (김순세) 에덴문화사

*Les Beeatitudes (축복)

*PS.150 성가집 (출판)

 

포레 / Gabriel Faure (1845-1924)

1)근대적 서정성 우아하고 맑은 자신의 음악 창조

2)그레고리오 성가를 바탕으로 교회음악 작곡

3)반음계적 전조

*Requiem (윤학원) <비파사>

*Cantique de Racine (op.11 라신의 찬미) <호산나음악사>

*Messe Basse <Carus Verlag>

*Ave Verum op.65

*Tu es Petrus

 

드뷔시 / Claude Achille Debussy (1862-1918)

1)인상파 음악가

2)초기에는 바그너의 영향

3)선법을 바탕으로 불협화음 긴장감 해소

4)감정이 절제된 세련성 온음계를 사용 선의 윤곽을 희미하게 함

5) 19세기에서 20세기의 창문을 열어줌

Trois Schansons

*Le martyre de Saint Sebastien

*Petete Cantate

*Noel

 

스테이너 / John Stainer (1840-1901) 영국

1)평범한 낭만 스타일의 실용적인 교회음악 작곡

*The Dauter of Jairus (야이로의 딸) (김정혜) <에덴 문화사>

*The Crucifixion (십자가상의 죽음) (박태준) <교회음악사> CD Comifer 75605-5119

*Gideon(기드온) *St. Mary Magdalen (마리아막달라)

*Jubilee *The Story of Cross (십자가 이야기)

*12곡의 성가곡

드보르작 / Antonin Dvorak (1841-1904) 체코슬로바키아

1)초기에는 베토벤 슈베르트의 영향

2)중기에는 바그너와 리스트의 영향과 함께 체코의 민속적 혹은 슬라브적인 곡

3)그후 아메리카적인곡

4)후반에는 표제음악적 교향적 테크닉

*mass in D (홍정표) <호산나 음악사>

*Stabat Mater *Te Deum *Requiem *PS.149 *Svata Ludmila

*Vier Chorlieder op.29<Carus Verlag>

*Vier Volkstuml op.20<Carus Verlag>

 

그리그 / Edvard Hagerup Grieg (1843-1907)노르웨이

1)섬세한 서정성

2)노르웨이적인 배경으로 웅장하고 박력 있는 음악과 함께 아름다움을 추구

출판 <Carus Verlag>

*Ave Maria Stella

*Fire Salmer op.74 (4곡의 시편곡)

*Five Love Songs

*Four Songs

 

엘가 / Edward Elgar (1857-1937) 영국

1)영국음악의 재생에 기여

2)낭만적 요소 짙음

*The Apostles (사도들) CD EMI 7642062

*The Kingdom (왕국) CD EMI 7642092

*The Light of Life (생명의 빛) CD EMI 7647322

*As Torrents in Summer <Boosey & Hawkes>

*Land of Hope and Glory <Boosey & Hawkes>

*Ave Verum <Boosey & Hawkes>

 

■ 20세기( 20C Period 1901 ∼ 현재 )

1) 전통과의 단절로 인해 새 음악의 등장

2) 다양성 및 특수성의 강조

※ 1901 ∼ 상반기 : 인상주의, 표현주의, 무조음악, 12음 음악, 신고전주의

※ 50년대 후반기 : 음렬음악, 전자음악, 우연음악, 음향음악, 컴퓨터음악

3) 1930년대에 합창문화가 꽃핌

4) 새로운 기법의 교회음악과 민족주의적이고 대규모적 음악이 복귀했음

5) 음악의 소재가 기존의 것에서부터 벗어나 불협화음 기계소리, 소음,

일상적인 소리, 침묵 등 다양하게 사용된다

6) 실용음악의 등장 : 춤 음악, 영화음악, 뮤지컬, 라디오음악, 유행음악,

광고음악 등등...

7) 예술음악에 재즈음악을 수용 ( 1차 대전 이후 미국에서부터 )

8) 실험적인 것에서부터 친근한 소재를 사용하는 합창곡

9) 민속음악을 소재로 한 합창음악 등장

10) 움직이며 노래하는 합창곡 등장

 

※ 참고사항

·곡의 특성, 작곡가의 성향, 주어진 곡에 대한 설명 및 연주법을 잘 파악하여 음악 해석함

·곡에 따라 극단적인 대비: 크고 작고· 빠르고· 느리게....

 

아이브스 / Charles Ives ( 1874 ∼ 1954 ) 미국

1) 보험회사사장으로 일하면서 틈 나는 대로 작곡

2) 다조성 (Polytonality)

3) 무조성 (Atonality)

4) 다화음 (Polyharmony)

5) 복수리듬 (Polyrhythm) : 충격적인 리듬효과 사용

6) 멜로디는 찬송가나 대중음악 인용

7) 정규적인 박자 기호 없이 작곡한 최초의 음악가

[ 작품 ]

시편가 : 14. 24 . 25. 42. 54. 67. 90. 100. 135. 150.

*Easter Carol. * Circus Band. *Three Harvest Home Chorales

 

톰슨 / Randel Thompson ( 1899 ∼ 1984 )

작품에 조성을 그대로 살리고 있으며 때로는 온 음계적인,

때로는 낭만적인 소재사용 멜리스마, 복 선율적인 기법등 다양한 면모를 보임

[ 작품 ]

* Americana. * Alleluia. * Frostiana. * Mass of the Holy Spirit

* The peaceable Kingdom. * The Testament of Freedom

 

코플랜드 / Aron Copland ( 1900 - 1990 )

1) 러시아계의 유태인, 파리 예술의 흐름 따름

Stravinsky의 신고전주의에서 출발

2) 미국의 특징인 째즈를 소재로 사용

3) 민속적인 소재 카우보이노래 , 찬송가 , 남미의 리듬 , 대중과 친숙한 매개체를 사용하여 작곡

4) 전 음계적인 음악 작곡 : 장. 단조의 사이를 왔다갔다함

5) 서정주의적인 멜로디 사용

6) 빠른 음악에서 리듬의 충격을 가지고 몰아침

 

스티븐스 / Halsey Stevens ( 1908 ∼ )

바르톡의 영향, 독특한 리듬형성, 부딛치는 화성, 다양한 대위법

* Songs from the Paiute. * Like as the Culver on the bared Bough.

* Ps 117. * Te Deum. * Magnificat

 

넬손 / Ron Nelson ( 1929 ∼ )

대중적인 것을 자연스럽게 사용함. 빈번히 변하는 변 박자와 화성적인 것과 대위법적인 것의 적절한 조화

 

David Brunner. Eugne Butler. Rene' Clausen. Eliot Carter. Emma Lou Diemer. Noel Goemanne. Dale Jergenson. Edwin Fissinger. William Hawley. Stephen Paulus.  Abraham Kaplan . Mark Hayes. Ken Medema. Egil Hovhnd. Norman Luboff. John Leavitt. Morten Lauridsen . Libby Larsen . Conrad Susa . LIoyd pfautsch. Kirk Mechem . Allen Pote . Linda Steen Spevacek . Don Besig

 

러터 / Jhon Rutter ( 1945 - ) 영국

서정적인 멜로디와 분산화음의 반주

변박자의 빠른 진행 , 효과적 합창기법, 영국민요 편곡

* Gloria * Magnificat * Requiem * The Spring of Thyme * Fancies * When Icicles Hang * Te Deum * The Falcon * Psalmfest

 

쿰스 / Douglas Coombes 영국

보수적 경향의 합창음악 . 가사의 음악적 표현 탁월

박자의 변환 . 화성의 변화 다양하게 진행

* Ps 47, 84, 146, 121, 149 * Mass

* What shall We do with the drunken Sailor

 

라이톤 / Kemeth Leighton ( 1929 ∼ 1988 )

스트라빈스키, 바르톡, 쇤베르크의 영향

경우에 따라서 낭만적인 멜로디의 사용

* A christmas Carol * The Birds * Mass op44

* Crucifixus Pronobis op38 * Laudate Pueri op68 * An Easter Sequence

* Communion Service in D * Sarum Mass op66

 

하베이 / Jonathan Harvey ( 1939 ∼ )

바르톡 . 브리튼 . 티&#54193; . 포레의 영향을 받음

여기에 메시앙의 모달 테크닉을 발전시킴

* Passion and Resurrection * O Jesu, Nomen Dulce

* Missa Brevis * Come , Holy Ghost * The Angels *. Dauds

* Thou Mastering me God * Forms of Emptiness * God is our Refuge

 

타베너 / John Tavener ( 1944 ∼ )

스트라빈스키와 메시앙의 영향

그리스 정교의 음악을 바탕으로 작곡

* The Cappemakers * Cain and Abel * The Whale * Celtic Requiem. * The Lamb * Ikon of Light * Kyklike kinensis * Magnificat and Nunc Dimittis

 

라흐마니노프 / Sergei Rachmaminov (1873 ∼ 1943)

서구적인 모스크바 악파 풍부한 선율성과 애수를 담은 서정성

낭만주의의 흐름 고수

* Deus Meus * Vespers ( Vsenoshchnoye Bdeniye )

* Liturgiva Svyatovo Ioanna Zlatousta ( 크리소스톰 예배의식 )

* Kolokola ( 종 ) * Vesna ( 봄 )

 

스트라빈스키 / Igor Stravinsky ( 1882 ∼ 1971 )

민족주의적 원시주의 이며 독특한 리듬이 특색

신 고전주의적인 서구적 전통을 따름

12음기법의 전환, 새로운 낭만주의를 재현코자함

* Symphony of Psalms * Cantata * Mass * Babel * Pater Noster

* Credo. * Ave Maria * Four Russian peasant Songs

* Reguiem canticles * Oedipus Rex

* Id est Lamentationes Jeremiae prophetae

* Canticum Sacrum ad Honorem Sancti Marcinominis

 

쇼스타코비치 / Dmitry Shostakovich (1906 ∼ 1975)

스트라빈스키 , 바르톡의 영향

신 고적주의적 경향, 현실에 적응하는 융통성 있는 다양한 곡을 씀

* Poema o Rodine * Vernost ( 믿음 ) * Ten Poems.

* The Vow of the People's Commissar * Two Russian Floksongs

* Pesn'o Lesakh

 

페르트 / Arvo Pert ( 1935 ∼ )

에스토니아출신 현재 국적은 오스트리아

중세 그레고리안 챤트와 동방 찬트의 변형 폴리포니

미니멀이즘 ( minimalism )과 틴티나 불리 ( tintinnabuli )

* Credo * Miserere * Passio * Missa Sillabica * Te Deum *Summa

* Stabat Mater * 7 Magnificat Antiphons * Magnificat * Berliner Messe

* Beatitudes( 8복 ) * Ps137 , 95 * Dies Irae * De Profundis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Schola Cantorum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