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중국 사학사 연구 서설

작성자나도사랑을했으면|작성시간06.08.07|조회수163 목록 댓글 0
89
1)중국 사학사 연구 서설*
2)권 중 달**
1. 중국 사학사 저작의 일반적 상황
2. 중국 사학사 초기적 저작의
내용과 문제점
3. 후속한 중국 사학사
4. 중국 사학사 연구 서설
1. 중국 사학사 저작의 일반적 상황
중국민족은 세계 어느 민족 보다 많은 문헌자료를 만들었고, 그 자료 가
운데 오늘날까지도 전해지고 있는 것 또한 대단히 많다. 자료가 많기 때문
에 중국에는 일찍부터 이 자료를 분류하는 방법이 발달하여 결국에는 經,
史, 子, 集이라는 4부분류 체계를 만들어 냈다. 이러한 분류체계로 볼 때에
역사자료는 史部에 분류될 것이므로 중국의 문헌이 많다고 하여도 역사관
련 자료는 그 일부분으로 오해 할 수도 있다. 그러나, 王陽明의 五經皆史
나 章學誠의 六經皆史論을 거론하지 않더라도 과거의 모든 문헌은 역사
연구의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역사 연구자로서 이용해야 할 중국의 문헌은
대단히 많다.
* 본 논문은 2002년도 중앙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한 것임.
** 중앙대 사학과 교수
90 韓國史學史學報5 (2002. 3)
범위를 좁혀서 역사서라는 명칭을 붙여서 저작된 저술만을 대상으로 놓고
보더라도 그 수는 대단히 많다. 1983년에 중국에서 중국역사대사전 가운데
하나로 史學史卷이 출간되었는데, 이 사전에서 史學一般, 史官, 史家, 史籍
에 관한 것으로 취급한 항목만 3,630 개나 된다. 여기서 이 책에서 언급한
수록 범위를 보자.
사학일반이란 역사과학에 관한 일반적인 용어이다. 史官부분에는 고대부분
을 선별하여 수록하였고, 史家부분에서는 역사학 저술을 내어 이름이 나 있는
사람을 골라서 수록했는데, 그 저술이 전해지지는 않지만 고대의 기록 가운데
중요하게 거론되는 것과 비록 역사저술은 없더라도 史觀과 관련이 있거나, 역
사기록법과 관련 있는 논저로 역사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것이다. …… 史籍
가운데는 史論, 史著, 典制, 表譜, 輯佚, 史評, 史籍校勘등을 포함하였다.1)
중국의 사학사를 말하려 할 때에는 당연히 이 많은 역사자료를 분석하고
정리하며, 시대별로 역사를 기술하는 방법의 변천, 역사를 보는 시각의 변
화, 과거 기록에 대한 비판 내용, 그 시대에 역사를 기록한 역사가의 특징
과 이러한 상황을 만들어 낸 역사적 환경 등 각 시대별로 존재하였던 역사
학의 실체를 밝혀내고, 이 각 시대별 역사학의 성격이 시대에 따라서 어떻게
변하였느냐 하는 문제를 다루어야 할 것이다. 이렇게 서술하는 것이 바로 중
국 역사학의 역사인 중국사학사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국사학사의 정리 방법을 고려한다면, 우선 각 시대별로 존재
하였던 역사학의 실체를 구명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고, 이 작업은 자
료가 풍부하고 많으면 많을수록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이다.
그런데 중국의 사학사를 기술하려는 작업은 중국의 각 시대별로 존재하였
던 역사학의 역사를 독자적으로 설명하려는 데서 시작하지 아니하였다. 오히
려 근세에 이르러 서구의 학문이 수입되고, 역사학 분야에서도 서양역사학의
연구방법이 소개되어 이를 新史學이라고 부르게 되고 이에 자극을 받아서
1) 中國歷史大辭典, 史學史, 사학사권설명, 상해, 사서출판사, 1983.
중국 사학사 연구 서설 91
전통적으로 중국에 존재하였던 舊史學을 대신하여 신사학의 방법으로 중국
의 역사학을 정리하고자 하는 것이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중국사학사의
정리란 서구의 사학사를 모방하고자 한데서 출발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리하여 동양에 근대적인 학문이 등장한 이후에 이러한 중국사학사의 정
리가 중국과 일본의 역사학자에 의하여 시도되었다. 먼저 중국의 경우를 보
면 중국에서 중국사학사 정리가 시도되어 출간 된 것 가운데 대표적인 것은
金毓의 中國史學史이다. 이 책의 출판경위에 관하여서는 高志彬는 1972
년에 수정본을 출판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이 책은 민국 27년 (1938년)에 원고가 완성되었는데, 원래는 대학에서의 강의
용이었다. 그 후에 계속하여 增訂하여 민국 30년(1941년) 8월에 출간되었고, 32
년<1943년> 5월에 重慶에서 다시 인쇄되었으며, 35년(1946년)에 다시금 上海에
서 인쇄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오늘날 여기저기에서 보이는 판본이다. 이 舊版은
원래 10장으로 나뉘었는데 그 앞에 導言이 있고, 뒤에 결론이 있다. 그 후에 수
정본이 나왔을 때는, 줄여서 9장으로 하였다. 원래 10장 최근 사학의 추세와 결
론은 전부 줄였고, 9장에서 王國維의 사학이라는 節은 잘라냈으며, 導言은 다
시 썼고, 그 나머지 각 장은 조금씩 章의 이름을 바꾼 것은 있지만 내용은 심하
게 바꾸지는 않았으니, 대개 다시금 새로 쓴다는 것이 쉽지 않았음일 것이다.2)
이 수정본이 언제 쓰여졌는지는 이 책을 1972년에 대북에서 발간하면서 前言을
쓴 고지빈도 모르고 있다. 그는 이 수정본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수정본이 언제 어느 곳에서 출판되었는지는 자세히 상고할 수가 없다. 지금
영인하는 저본은 1963년에 홍콩에서 영인된 판본이다. 이 책에는 목차가 따로
없기 때문에 특히 그 원 목록을 조금 수정하였고 쪽수를 달아서 이것을 책의
머리에 다시금 배열해서 검색에 편리하도록 하였다. 아울러 책의 상단에 매 문
단의 대의를 밝혀서 이것을 詳目이라 하여 붙여 놓았다. 그리고 수정본에서
잘라 낸 구판의 10장과 결론 두 부분과 왕국유의 사학이라는 절을 이제 다시
금 조판하여 부록으로 삼았다.3)
2) 金靜庵, 중국사학사수정본 , 前言, 대북, 漢聲出版社, 1972, 10.
3) 동상.
92 韓國史學史學報5 (2002. 3)
이러한 사정으로 볼 때에 김육불이 왜 1938년에 초고를 완성하고 1941년
에 출간한 구판에서 일부분을 산삭하여 수정판을 냈는지도 쉽게 알 수 없거
니와 그 후 30년 이상의 세월이 흘러 학문적 수준이 상당히 진전되었다고
볼 수 있는 1972년에 대만에서도 결국은 김육불이 정리한 중국사학사를 고
쳐 쓰지 못하고 흘러다니던 영인본을 다시 영인하면서 구판의 원고를 덧붙
이고, 독자들이 읽고 찾아보기 편리하게 하려고 書眉에 문단의 대의를 써넣
고, 이것을 모아 詳目을 만드는 정도로 출판하고 만 것이다.
또 다른 하나는 1967년에 대만에서 출판된 李宗의 史學槪要가 있다.
이 책은 1953년에 출간한 중국사학사 를 토대로 개찬한 것인데, 그 서문을
보자.
사학사가 하나의 전문적인 연구분야로 된 것은 실제적으로 말한다면 마땅히
처음에 유럽인들이 開創하였으며, 우리 중국은 그들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 해
야한다. 나는 파리대학에서 연구할 때에 처음으로 프랑스인이 저술한 첫 번째
사학사를 보았다. 뒤에 대만대학에서 교편을 잡았을 때, 당시에는 이 과정을 개
시한 사람이 없었기 때문에 아주 오랜 생각 끝에 1951년에 처음으로 강의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1953년에 드디어 중국사학사라는 책을 완성하였는데, 지금
으로부터 15년 전의 일이다. 그런데 작년에 中正書局의 총편집자인 盧聲伯선생
이 사학개요라는 책을 써 달라고 부탁하여 마침내 집필의 방법과 순서를 다시
금 연구하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으며, 내가 전에 사학사를 썼을 때와는 약
간 달랐다. 왜냐하면 먼저 쓸 때에는 아직 중국의 옛날 방법을 완전히 준수하
지 못하였고, 그것들을 다만 시대에 따라 서술했었기 때문이었다.4)
이러한 내용으로 볼 때 이종동은 역사책을 시대 순으로 배열하여 설명하
였던 이전의 서술 방법에 대하여 스스로 비판하고 새로운 방법으로 사학사
를 정리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여기에서 사학사 정리 방법에 관하여 고민한
흔적이 엿보인다.
다른 한편 일찍 서양역사학 특히 독일 역사학 이론을 수용하였던 일본에서
4) 이종통, 사학개요 , 史學槪要序, 대북, 정중서국, 1968. 11
중국 사학사 연구 서설 93
의 중국사학사 정리의 상황을 보면, 먼저 內藤虎次郞의 支那史學史를 꼽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 책은 1967년에 동경에서 출판되었으므로 대만에서 출
간된 이종동의 사학개요 와 비슷한 시기에 출간된 셈이다. 그러나 이 책의
출판 경위를 설명한 例言을 보면 이 책의 출판경위를 좀더 잘 알 수 있다.
본서는 저자가 京都대학에서 강의하였던 지나사학사 를 정리한 것이다.
…… 저자는 대학에서 지나사학사 를 전후 세 차례 강의하였다. 대학에서 저
자가 강의한 제목을 보면, 제1회는 大正3, 4년이고, …… 제2회는 대정 8, 9, 10
년 3년에 걸쳐서 강의하였는데, 그 때에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통틀어 강의하였
다. 제3회는 大正14년에 淸朝의 史學이라는 제목으로 강의하였다. 그 가운데,
이 책의 底本이 되는 것은 제2회와 제3회의 것이다.5)
이러한 예언으로 보아 內藤스스로 출판할 뜻을 갖고 있었다고 하지만 실
제로 원고를 작성한 것이 아니었다. 그의 강의를 들었던 제자 2~3명의 노트
를 저본으로 하여 원고가 작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것도 大正3~4년 즉
1914~1915년에 강의한 저본을 편집자들의 손에 없어서 대정 8년 즉 1919년
부터 3년간 그리고 1925년부터 2년간 강의한 것을 바탕으로 쓰여진 것이다.
일본에서 內藤에 의하여 지나 사학사가 강의된 것은 중국에서 김육불이
강의용으로 사학사를 정리한 1938년보다 1~20년 정도 이르다고 하겠다. 그
러나 내등은 강의용 원고가 있었던 것은 아닌 것 같고, 추측컨대 카드를 정
리하였던 수준에서 강의를 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수준의 강의 수강노트
를 정리하여 강의가 진행된 후 다시 20여 년 후인 1949년에야 출간되었고 다
시 1976년에 재 간행된 것이다.
대체적으로 1970년대 이전에 나온 중국사학사에 관한 저작은 內藤의 책과
김육불의 책 정도이었고,6) 더 이상의 진전이 없었던 듯하다.
5) 內藤虎次郞, 支那史學史, 例言, 동경, 淸水弘文堂, 1967.
6) 陸懋德의 중국사학사 , 衛聚賢의 중국사학사 , 何炳松의 中國史學進化之陳
迹, 傅振倫의 중국사학사개요 등이 있지만, 그러나 대부분 대학 내에서 학
생 강의용으로 인쇄된 것이라는 점과 이러한 업적의 집적 위에서 이러한 책
94 韓國史學史學報5 (2002. 3)
중국대륙에서는 1949년에 마르크스시즘을 이념으로 한 정부가 들어섰고,
모든 역사사실을 유물론적 역사발전이론으로 재해석하려는 끊임없는 노력이
있었다. 기존의 역사학자들은 이러한 새로운 역사이론이나 역사관을 습득할
시간이 필요했다는 점7)에서 중국대륙에서는 일찍 중국사학사의 출간은 기대
하기 어려웠다. 그 후 1980년대 중반에 이르러서야 겨우 高國抗의 중국사학
사개요 와 尹達의 지도하에서 집체적으로 집필된 中國史學發展史가 출간
되었고, 白壽彛에 의해 개인적으로 시도된 中國史學史제1책이 출간되었으
나, 그 후속편을 계속하여 집필하겠다는 말만 題記에서 하였을 뿐 그 후
출간되었다는 소식을 아직 접하지 못하고 있다.
대만에서는 1980년대 이후에 劉節이 중국사학사고 를 출간하였고, 대만출
신의 세계적인 학자인 杜維運도 중국사학사 를 집필하여 이미 2책을 출간
하였으나, 아직 완간을 하지 못한 상태이다.
2. 중국 사학사 초기적 저작의 내용과 문제점
이렇게 볼 때에 중국사학사 연구의 선구자는 아무래도 內藤과 김육불, 그리고
李宗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이들이 정리한 중국사학사부터 살펴보기로 하자.
앞에서 이미 언급하였지만 이들 내등과 김육불, 이종동은 모두 역사학의 초창기
에 강의를 위하여 작성된 것이라는 점이 공통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당시에 강의
를 위하여서는 선행한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이었기에 나타난 현상이다.
이들이 강의한 내용을 간단히 도표로 정리해 보자.
이 공간되었다는 점을 중시한 것이다. 또 사학개요라는 서명으로 책을 쓴 사
람은 많지만 전문적으로 사학사를 다룬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제외한 것이다.
7) 권중달 등 편역, 문화대혁명전후의 중국의 역사해석 , 집문당, 1991, 참조.
중국 사학사 연구 서설 95
1) 내등의 지나사학사
내등의 지나사학사 의 목차를 보면 다음 표와 같다.
시 대 주 제 세 부 내 용
선진시대
1. 史의 기원
2. 周代史官의發達
3. 紀錄의 기원
4. 史書의 淵源
1.사서의 재료 2.六藝의 成立3.諸子의 성립 4.六藝外傳
5.楚辭6.術數·方技의 書7.漢書예문지에 실린 책 8.선시
대 저술발달의 정도 9.사관의 지위
한 대
5. 史記
1.사상과 기록통일의 추세 2.사기저술의 목적 3.사기에
대한 후세의 비평 4.사기편찬의 체례 5.사기편찬법에 대
한 후인의 평 6.方苞와 장학성의 비평 7.종래비평의 불완
전한 점. 8.史部書의 發端
6. 漢書
7. 史記, 漢書
이후 사서의
발전
1.기전편년 2.체의 병행 3.서적분류법변천에 들어난 史部
書의 발달 4.正史편찬법의 변천 5.편년사, 통사, 類書體의
史6.정사이외의 사부서 7.史注의 발전 8.사평의 발달
위진수당
시대
8. 6조末당대
에 나타난 사
학상의 변화
1.유서의 사학에 미친 영향 2.史體의 점진적 변화 3.사서
의 注와 그 변천 4.史官의 변천
송 대 9. 송대에 있어
서 사학의 진전
1.신구당서 2.신구오대사 3.책부원구와 자치통감 4.자치통감 5.
통감의 영향 6.정통론 7.정초의 통지 8.경학의 변화 9.금석학의
발달 10.목록학 11.실록과 기거주 12.옥해와 문헌통고
원 대 10. 원대의 사학 1.송요금3사의 편찬과 정통론 2.원대의 사서와 사료
명 대 11. 명대의 사학
1.원사의 편찬 2.대규모의 편찬물 3.掌故學의 변화 4.李贄
의 史論5.楊愼의 학문 6.歸有光의 史記評點7.胡應麟의
筆叢8.정통론 9.王光魯의 沿革地圖10.焦의 목록학 11.
금석학 12.경세문의 편집 13.類書
청 대 12. 청조의 사학
1.명사의 편찬 2.황종희와 절동학파 3.고염무 4.왕부지와
胡承諾5.서건학과 그 문하①② 7.구사의 보수 사학 8.천
문역산의 발달 9.구사고정의 사학①② 11. 절동학파의 사
학 12.漢志水經의 학 13.고적의 연구 14.고사의 연구 15.
서북지리의 학①② 17.금석학 18.교감학 19.야사 별사와
고장의 학 20.官書21.史評
부 록 지나역사적 사상의 기원, 장학성의 사학, 지나사학사의 개요
96 韓國史學史學報5 (2002. 3)
여기서 시대는 필자가 내용을 보아서 분류한 것이다.
이 목록을 일별하면 왕조를 중심으로 역사서와 학파 혹은 역사 이론을 서
술하였을 알 수 있다. 내등의 이러한 서술 태도는 그가 사학사의 황무지와
같은 시기에 사학사에 관심을 가지고 자료를 정리하였다는 점은 높이 사야
한다. 사학사도 역사의 서술이라는 점에서 시대별로 서술할 수밖에 없겠지만
그러나 한 시대를 아우르는 특징을 발견해 내고, 그 각 시대별 특징이 어떻
게 변천하며 달라지는지를 독자들에게 제공하지 못하였다고 할 수 있다. 따
라서 초창기의 개척이라는 학문적 업적을 높이 산다고 하더라도 1920년대의
사학사의 수준이라는 한계를 갖고 있는 것이다.
2) 김육불의 중국사학사
김육불의 중국사학사 의 목차를 보면 다음과 같다.
시 대 주 제 세 부 내 용
導言
先秦
시대
1.古代史
官의 槪述
1.史官의 직책 2.史자의 뜻 3.中과 貳의 해석 4.周禮의 5史와
左史右史5.고대 史官表6.周代사관에 대한 해석 7.漢代에
太史令은 있었지만 太史公은 없음 8.고대인은 王官에게서 배
움 9.고대인은 史로 책 이름을 붙이지 않음
2.古代의
史家와
史籍
1.六經皆史의 해석 2.尙書3.春秋4.左氏傳과 國語5.汲6.逸
周書7.竹書紀年8.世本9.戰國策10.穆天子傳과 山海經11.춘
추시대에는 각국에 다 史가 있었다 12.古史보존방법<금문학과
고문학> 13.孔子와 左丘明의 史學
漢代
3.司馬遷
과 班固
의 史學
1.사마천과 반고이 略傳2.사마천의 저작동기 3.사기 저작의
배경 4.사기의 득실 5.사기의 해석 6.사기 가운데 빠진 것과
보충한 것 7.반고는 아버지로 인하여 한서를 지음 8.漢書의
득실 9.사기와 한서의 優劣10.續補漢書11.荀悅의 漢紀12.漢
著紀와 漢大年紀13.사기와 한서는 모두 저술과 개인적 편수
에 속한다 14.紀傳體의 근본 15.사마천과 반고의 史學
1.後漢代의
史書
1.後漢시대 史書著作表2.東觀漢紀와 3史3.范曄의 後漢書
4.司馬彪의 續漢書8志5.범엽의 史學6.袁宏의 後漢紀
중국 사학사 연구 서설 97
위진
남북
조와
唐代
4.위진남
북 조 에
서 당초
까지 개
인 적 인
역 사 서
술의 상

2.三國시대의
史書
1.삼국시대 사서저작표 2.陳壽의 三國志3.삼국지와 漢
晋春秋, 裴松之의 삼국지주
3.晉代의사서 1.진대사 저작표 2.18家晉書3.臧榮緖의 晋書와 新晋書
4.16국 시대의
사서
1.16국시대의 사서저작표 2.崔鴻의 16국 춘추 3.16국춘
추의 僞本과 輯本4.제가 진서의 득실 5.당대 晋書의
재편찬
5.남북조시대
의 사서
1. 남북조시대의 사서저작표 2.남조 4사와 북조4사 3.이
연수의 南史, 北史4.남사북사의 체례와 가치 5.5代史志
기타
6.이시기 개인저작사서가 많은 원인 7.이시기 史家의
등급 8. 史例9.典禮10.方志.
사관
제도
5.漢代이
후의 史
官制度
1.사관의 업무 2.사관이란 관명의 변천 3.女史4.紀註法과 그 得失5.
劉知幾의 官撰歷史의 폐단론 6.韓愈, 柳宗元의 역사편찬론 7.萬斯同
의 歷史分離敍述論8.唐宋이래의 官修國史의 원인 9.州縣官만 못한
중앙관리 10.역대사관제도의 연혁표.
設館
修史
6.唐宋이래
설관수사
*正史의 私撰이 적은 이유 *국사의 官撰제도
1 .編年體의
실록
1.실록표 2.당 및 오대의 실록 3.宋실록 4.遼실록 5.金
실록 6.元실록 7.明실록 國8.淸실록 東和錄宣統政

2 .紀傳體의
正史
1.관찬정사표 2.구당서 3.신당서 4.양당서의 득실 5.구
오대사, 오대사기 6.구오대사의 집본과 원본 7.宋史,
송국사 8. 요사와 근대에 편찬된 요사 9.금사, 劉祈와
원호문과 張柔의 금실록헌상, 王顎의 금사 初修10.원
대 3史편찬이 늦어진 이유 11.탈탈의 3사 편찬 주관,
3사의 의례, 3사의 득실
3.典禮
1.經禮와 典禮2.唐六典, 唐會要, 新編당회요, 五代회요
3.宋회요 4.元經世大全5.明會典6.淸회전 7.兩漢三國諸
會要8.大唐開元禮, 政和五禮新儀, 大金集禮, 明集禮,
淸通禮
4.方志
1.隋구우도지 2.괄지지 3.원풍구역지 4.원대일통지 5.대
명일통지 6.송이후의 지방지 8.각성 통지 9.관서지
* 관찬사서와 사가의 관계
1.창작의 역사서 ; 王의 동도사략, 왕홍서의 명사고,
거란국지,대금국지
2.개수한 사서 ; 사서개수표, 사기개수의 3가, 속한서
2종, 晉紀와 晉略, 오대사기, 속당서, 송사의 개수, 송
사신편, 宋史質, 宋史記, 宋史稿, 元史류편, 원사신편,
원사석문보증, 몽올사기, 신원사,
98 韓國史學史學報5 (2002. 3)






7.당송이
래의 사찬
史書들
1.기전체의
정사와
별사
3.분할편찬 ; 분할편찬사서표, 서위서, 발해국지, 남
당서, 10국춘추, 남송서, 서하서사와 서하기, 남명사
의 분할편찬, 청개국사의 분할편찬, 태평천국사의
분할편찬
4.總輯한 사서 ; 通志-정초의 취지, 장학성의 통사원류론,
장학성의 통사 이해, 통지의 初名, 통지20략, 속통지, 통지
와 통사
5.보궐한 사서 ; 補志補表, 補傳, 요사습유, 요사습유보,
금사보
6.주석한 사서 ; 諸史舊注, 양한서의 補注와 集解, 삼국
지의 보주, 晋書注, 신당서주, 사기회주고증, 諸史지표
열전의 단편 주석과 고증
7.合한 사서 ; 班馬異同, 南北史合注, 南唐書合訂, 新舊
唐書合, 오대사기보주
8.輯逸한 사서 ; 청대개인이 집일한 사서, 청대 관찬한
집일사서
2.편년체의
통감
1.통감저작의 유래 2.통감의 初名3.통감의 좋은 점 4.통
감목록과 通鑑考異5.통감외기,통감전편 6.호삼성의 통감
주 7.속통감장편 8.건염이래의 계년요록 9.3조북맹회편
10.송원통감 11.통감후편 12.畢沅의 속통감 13.명기와 명
통감 14.통감보정 15.통감강목 16.통감속편 17.통감강목3
편 18.통감집람 19. 요금정사강목
3.기사본말체
1.통감기사본말 2.송이후의 기사본말 3.통감장편기
사본말 4.속통감기사본말 5.左傳事緯와 繹史6.청사
기사본말
4.통지에 속
한 통사와
전문사서
1.劉秩의 통전 2.두의의 통전 3.통전의 장점 4.두우의
이도요결 5.마단림의 문헌통고 6.문헌통고 명명의 연
고 7.통고와 통감 8.통고와 통전 9.宋白의 속통전 10.
王圻의 속통고 11.주기령의 속통고보 12.청속통전,
통고와 청통전통고, 통지 13.서건학의 독례통고 14.
秦蕙田의 오례통고 15.4통과 5통 16.명유학안과 송원
학안 17.국조학안소식 18.양한삼국학안 19.한학사승
기와 송학연원기 20.각체전사 21.배수와 가탐의 지도
학 22.원화군현도지 23.태평환우기 24.대원혼일방여
승람과 요람 25.독사방여기요 26.천하군국이병서 27.
춘추대사표 28.청대저명한 府廳의 주현지
*이 시기의 사가의 상각과 사학의 추세
중국 사학사 연구 서설 99
8.유지기와
장학성의
사학
1.역시저작자와 역사평론가
2.석륵에서 시작된 사학이란 명칭
3.劉宋代에 세운 사학과 사료
4.山謙之의 사학
5.유지기와 사통; 사통의 명칭, 사통의 차례와 뜻, 사통의 상각과
의례, 사통의 논의, 논의의 節取, 典要不可, 비분강개, 三長, 유지기
의 다른 책, 판본, 刊正, 속편, 속사통
6.장학성과 문사통의 ; 장씨의 생평, 육경개사, 기주와 찬술, 통사,
방지학, 교수학, 사학의 闡明, 역사저작의 極則, 義例, 유장의 비교,
校刊, 編刊, 주수의 방법, 속작, 정초와의 비교.
청대
사학
9.청대사
가의 업적
1.청대사가와 절동사학 2.황종희 3.만사동 4.전조망 5.전대흔, 왕명성,
조익 6.소진함 7.紀8.최술 9.서송 10.장목과 하추도 11.西北史地연
구자 12.東北사지연구자 13.修史患憂14. 과 기타 15.청대사가의
취향
부록
근대사학
略述
1.왕국유의 사학
2.사료의 수집과 정리; 은허의 갑골학, 돈황 및 서역의 간독, 돈황석실,
내각대고, 각민족문자, 길금문자, 무문자 사료, 양계초의 방법론
3.신사학의 건설; 양계초와 하병송, 통사와 전사, 장병린, 양계초의
목록, 진정충과 증운건, 주제연구법,
4.疑古派학의 비평
결론 1.사학의 분기, 2.문헌목록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표의 앞에 구분해 놓은 시대는 필자가 정리한 것이다.
김육불의 중국사학사 정리는 시대별로 각 시대의 역사가, 역사서, 역사서술의
태도나 제도 등을 시대별로 정리하였으며, 특히 당대 이전과 이후를 구분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한 점에서 사학사를 왕조라는 구분법을 사용
하였음에도 각 시대의 역사학의 특징을 찾아내려는 노력이 있었다고 하겠다.
그는 그의 책 결론에서 다음과 같이 사학사의 시대를 구분하겠다고 말하고 있다.
나는 우리나라의 史學을 5期로 나눌 수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는 상고시기에서
漢代까지인데 사학의 초창기이다. 처음에는 史官이 바로 史家였으며, 史籍은 史官이
관장하였다. 이어서 공자가 尙書를 刪述하고 춘추를 짓고……두 번째는 양한시대이
다. 이것은 사학의 성립기이다. 이 시기에 사가는 아주 적었고, 사마천과 반고가 가
장 걸출한 인물이고 荀悅이 그 다음이다. …… 세 번째는 위진남북조에서 당대까지
100 韓國史學史學報5 (2002. 3)
인데 사학의 발전기이다. 이 시기에는 私撰史書가 가장 많이 나온 시기이다. 후한
서에만 11家가 있었고, 晋書에는 18家, …… 네번째는 당대부터 청말까지인데, 이는
역사학의 變期이다. 이 시기는 현대에 가까운 시기여서 모두 官에서 역사를 편찬
하여 한 역사책 만을 높이는 바람에 개인적인 찬술이 있었지만 禍를 만나기도 하였
다. …… 그러나 역사서를 개조하게 되어 典禮學術史가 많이 찬술되었다. …… 다섯
째로 청말에서 민국초기인데 역사학의 혁신기이다. …… 章太炎은 역사를 논하였고,
梁啓超는 新史學을 부르짖었으며, 王國維는 文字,器物로 古史를 고증하였다.8)
여기서 김육불은 중국의 역사학도 시대에 다른 특징을 찾아보려고 노력하
였지만, 결국은 초창기<초창기부터 공자시기까지>, 성립기<양한시기>, 발전기
<위진시대부터 당대까지>, 태변기<당말부터 청말까지>, 혁신기<청말부터
국초까지>라는 중국의 시대변화관을 그대로 사학사에 적용한 것일 뿐이다.
양계초의 청대학술개론 에서 보이는 역사변천의 4 단계의 변화론의 변형이
라고 볼 수 있다. 양계초는 이 책에서
불교에서는 모든 것이 유전하는 현상을 말하고 있는데, 예컨대 네 시기로 구
분하여 말하여 生住異滅이라고 하였다. 思潮의 流轉도 바로 그러하여 예컨대
네 시기로 구분하면 1기는 계몽기(生), 2기는 전성기(住), 3기는 分期(異), 4기
는 쇠락기(滅)이다. 어떤 나라 어떤 시대의 사조를 막론하고 그 발전과 변천은
대부분 이러한 궤도를 돌고 있다.9)
라고 한 것에 혁신기라는 말을 하나 덧붙인 것이었다. 따라서 그 시대구분이
라는 것도 고전적인 관념의 한 변형 정도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3) 이종동의 중국사학사 와 사학개론
앞에서 말한대로 이종동은 1953년에 현대국민기본지식총서의 2집으로 중
국사학사 를 출간하였고, 다시 1968년에 사학개요 를 출간하였다.
8) 金靜庵, 중국사학사 , 대북, 漢聲출판사, 1972 臺1판, 329~330쪽.
9) 양계초, 청대학술개론 , 商務印書館, 1969 대3판, 2쪽.
중국 사학사 연구 서설 101
여기서 먼저 중국사학사 의 목차를 살펴보기로 하자. 이 책을 일별하면,
전체적으로는 시대별로 정리하였고, 중간에 역사 이론, 방법을 통시대적으로
다루었지만 전체적으로는 역사책의 역사라는 인상을 크게 벗어 날 수가 없
다고 하겠다. 그 목차는 다음과 같다.
시 대 주 제 세 부 내 용
선진시대 1.史의 기원 1.史의 처음 뜻 ; 사관, 2,귀족에게 장악된 史, 3.史書
의 변천, 4.史의 분류와 그 범위
2.상고시대의 史書1.상서 2.춘추와 죽서기년 3.좌전과 국어 4.그외의 史書
한대 3.양한시대의 사서 1.사기 2.한서 3.한대에 쓰여진 한왕조사
위진남북조
시대
4.위진남북조의
史學
1.여러 사람들의 후한서 2.삼국시대의 사서 3.여러 사
람들의 晉書4.16국사 5.남북조사
당대 5.당대의 사학 1.전시대사의 官撰2.전시대사의 개인편찬
3.當代국사의 관찬 4.기거주와 실록
6.유지기의 史通
오대,
송원
시대
7.五代宋元의 史

1.오대와 송대에 편찬한 唐書2.송대에 편찬한 오대
사 3.송대인이 편찬한 실록과 국사 4.송대에 편찬된
중요한 史書5.원대에 편찬된 송대사 6.원대에 편찬
된 요사 7.원대에 편찬된 금사.
8.자치통감과 그
와 유사한 책들
1.자치통감 2. 속자치통감장편 등의 책 3.여러 사람들
의 속자치통감 4.통감강목 5.통감기사본말
9.송대의 역사고
증학
1.신당서 糾謬2.오대사 纂誤, 양한시대에 간행된 잘
못의 補遺4.자치통감 考異
10.通史와 鄭樵
특수사
11.專門史1.典制史2. 學術史
12.지방사, 종족
사, 家譜와 年譜1.지방사 2.종족사와 家譜3.類傳및 別傳年譜
명대 13.明代의 사학 1.원사의 관찬 2.명사의 관찬과 개인편찬
청대
14.청대의 사학
1.명사의 관찬 2.청대의 국사 관찬 3.청대 초기의 역
사가 4.청 후기의 역사가
15.注史와 補史1.注史2.補史
16.장학성의 사학
통론
17 .수당이후의
史官과 史館
18.25사 통론 1.본기 2.志3.表4.類傳5.自序6.論贊
19 .중국사학의
특징
1.여러 세대를 끊임 없이 이어 온 史籍과 記注를 전담한
史官2.정통관념 3.書法4.존왕과 양이
20.사료범위의 확충
과역사학의장래
1.사료의 보존, 유전방법의 증가와 사료 범위의 확충
2.통사, 전문사 연구와 공동저작
102 韓國史學史學報5 (2002. 3)
여기서 이 중국사학사 를 보충하여 다시 집필한 사학개요 의 목차를 보
기로 하자.
시 대 주 제 세 부 내 용
총론 1.총론
1.중국역사학의 특징 ①중국사학의 기원과 후대의 史官②존
왕과 양이 ③書法2.사관제도 3.사관의 기원 4.춘추시대 각국
의 사관조직과 명칭 5.귀족이 장악하고 있는 춘추시대의 사
관 6.巫와 史의 구별이 덜 된 춘추시대 7.사서의 변천 8. 史
의 분류와 범위
漢代2.양한시대의고사서 1.상서 2.국어 3.양한이전의 다른 사서들



3.史書(上)
1.紀傳體史書(상)// 1.사기 2.한서 3.후한서 4.진수 삼국지 5.
新晉書,16國史6.沈約의 宋書7.남제서 8.양서 9.陳書10.북위
서 11.북제서 12.북주서 13.隋書14./ 15. 남사와 북사
2.기전체사서(하)// 16.구당서 17.신당서 18.구오대사 19.신오
대사 20.송사 21.요사 22.금사 23.원사 24.신원사 25.명사 26
25사총론
3.亞正史
4.史書(中)/ 編年
體史書
1.춘추와 좌전과 죽서기년// 1.춘추 2.좌전 3.죽서기년
2.東漢이후 편년체사서// 1.순열의 漢紀2. 袁宏의 後漢紀3.習
鑿齒,干寶, 孫盛의 晉代편년사 4. 남조편년사/裴子野의 宋略
5.북조의 편년체 사서 편찬 附.남북조에서 당대까지 저작된
편년체사서표
3.자치통감과 같은 종류의 책들// 1.자치통감 2.속자치통감장
편 등 3. 여러 사람들의 속자치통감 4. 통감강목
5.史書(下)/최후로
나타난紀事本末體
唐代6.劉知幾의 史通



7.당대 이후의
史官과 史館
附. 역대 사관제도의 연혁
8.起居注와 實錄
9.漢이후 편찬된
本王朝史
1.후한대에 편찬된 本王朝史2.삼국시대에 각국에서 편찬된
本國史3.晉代에 편찬된 當時國史4.唐代에 관청에서 편찬한
國史5.明代에 관청에서 편찬한 명대사와 개인이 편찬한 明
代史6.청대에 편찬한 國史.
宋代
10.宋代의 역사
고증학
1.신당서 糾謬2.오대사 纂誤3.兩漢刊誤補遺4.자치통감 考異
5.舊聞證誤.



11.典志史가운
데있는 通史와
專門史
附.通史와 鄭樵
중국 사학사 연구 서설 103
淸代
12.청대의 몇몇
역사가
13.章學誠의 史
學과 校讐學
통시대 14. 註史와 補史1.註史2.補史



15.장래 중국사
학 발전의 길 1.학술사 2.지방사 3.종족사와 가보 4.類傳과 別傳및 年譜
16.근대 新史學
의 발전 1.章太炎2.梁啓楚3.羅家倫
17.중국에서 최
근에 발견된 신
사료(상)
1.은허갑골문자의 발견 2.고대 金石과 陶器의 出土3.滿文老
4.內閣案5.軍機處案
18.중국에서 최
근에 발견된 신
사료(하)
6.敦煌學7.敦煌漢簡8.居延漢簡9.高昌墓10.西夏文大藏經
과 遼金金石刻
이종동의 경우에는 먼저 집필하였던 중국사학사 에서는 물론 역사서술
의 방법도 간단히 취급하였지만, 대체적으로 시대에 따라서 역사를 쓴 사
람과 그들이 쓴 역사서, 그리고 그 역사서의 성격을 서술하였다. 그리고 이
책을 다시 개편한 책인 사학개요 에서는 중간 중간에 한 시대의 역사학의
성격을 다룬 부분이 있다고 하더라도 대체적으로 역사서의 성격, 즉, 서술
방법으로서의 기전체냐, 편년체냐, 기사본말체냐 그리고 제도사이냐를 보고
이를 통시대적으로 서술한 것이 특징이었다. 그리고 중간에 역사서를 쓴
특수한 역사가를 서술하고 있다.
4) 초기적 저작의 문제점.
중국에는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과거를 기록하는 오랜 전통을 갖고 있었
고, 이러한 제도까지도 갖고 있었기 때문에 중국에도 분명이 역사를 기록하
는 방법과 그 방향, 목표를 갖고 있었다. 따라서 과거의 사건을 기록한 저서
와 과거를 기록하는 방법과 원칙, 또 이일을 담당한 사람 즉, 역사가가 오래
104 韓國史學史學報5 (2002. 3)
존재하였으므로 이를 종합하여 역사학이라고 한다면 중국에서의 역사학은
아주 오래 전부터 존재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중국에서 근세에 들어오면서 중국에 이미 존재하였던 역사이론과
방법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서양의 역사학 방법을 수용하여 서양의 역사학
연구방법에 따라서 연구를 시작한 것이다. 이것을 양계초는 新史學이라고 말
하였고, 새로운 역사연구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즉 양계초는
중국의 역사는 읽을 수 있을까? 24史, 두 종류의 通鑑, 九通, 다섯 종류의
기사본말에서 그 외의 別史, 雜史등 모두 합하여 수 만권 밑으로 돌지 않을
것이니, 어린 아이 때부터 익힌다고 하여 머리가 희어질 때까지도 꺼리지 않
고 읽는 다고 한다면 옛날에도 고생스러웠는데, 하물며 공부해야할 백 가지
의 학문을 기다리고 있는 오늘 날 공부하는 사람 가운데 이러한 정력을 쏟을
사람이 얼마나 될까? 그렇다면 중국 역사는 읽지 않아도 될까? 그렇다면 이
수 만권의 책을 엎어놓고, 땔감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수천년 동안 내려 온
우리 조상들이 활동한 흔적은 文獻속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하나의 가치
도 없다고 하여 여러 인류 문명의 圈外에 울타리를 쳐 놓아야 된다고 생각하
는 것은 우리처럼 자손 된 사람들이 차마 그렇게 할 수 없을 뿐 만 아니라
또한 전 인류가 허락하지 않을 것이다. 이렇게 읽지 않으면 안될 것이며, 또
한 읽을 수 없지만 그것을 반드시 읽어야 할 것 같은 사람이 있다면 그의 마
음과 정력을 다하여 이것을 잘 읽고, 그러한 다음에 그가 읽은 것을 다른 사
람이 읽도록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연고로 새로운 역사의 저작은 우리 학계
오늘날 가장 절박한 요구이다.10)
이러한 필요에서 양계초는 중국역사연구법 과 중국역사연구법 보편 을
차례로 출간한 것이 1911년의 일이다. 이러한 이유로 김육불은 그의 중국사
학사 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는 것이다.
무엇을 新史學의 건설과 새로운 역사서의 편찬이라고 하는가? 신사학의
건설을 부르짖은 것은 양계초에서 시작하였고, 何炳松이 더욱 누차에 걸쳐
서 이를 말하면서도 싫은 기색을 하지 않았는데, 이른 바 신사학과 새로운
10) 양계초, 중국역사연구법 , 自序, 대북, 상무인서관, 1966 대1판. 1쪽.
중국 사학사 연구 서설 105
역사책은 바로 근대의 최신 방법을 이용하여 舊史를 개조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11)
이러한 상황으로 볼 때에 우리가 말하는 근대적 학문 방법을 가지고
중국역사를 새롭게 다시 쓰려고 시작한 때는 1922년이라고 보아야 할 것
이다. 이러한 새로운 방법론으로 역사를 쓰기 시작한 새로운 역사학의 도
입하였다고 하여도 이 방법으로는 아직은 역사사건의 서술 방법을 바꾼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것은 우리가 지금 말하는 역사학의 역사로 정리
하기까지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였고, 그것은 대체로 일본과 중국에서 앞
에서 말한 바와 같이 몇 권의 중국사학사가 출간되었으나, 1960년대 이전
까지의 중국사학사에 대한 저작은 중국사학사에서는 초창기적 저작이라
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초기 적지 않은 중국역사학의 역사를 써야하고, 쓸 필요성을 절
감하면서도 이를 어떻게 정리할까하는 문제는 아직도 실험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과거의 역사책이 시대별로 사건과 인물을 나열하며 그
상관성을 설명한 것처럼 사학사에서도 시대별로 역사 저작물과 역사가, 혹
은 역사저작의 제작과 경향을 서술하는 방법을 채택한 셈이다. 그러한 방
법이 흡족하지 못하다고 생각하면 이종동처럼 역사서를 예컨대, 기전체, 편
년체, 기사본말체 등으로 분류해 놓고, 이를 각기 시대별로 배열해 놓고 내
용과 상황을 설명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사학사는 역사학의 역사의 극히 일부분을 정리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할 수 있고, 특히 매 시대별 존재하였던 역사학을 정리하
고 그 각 시대의 역사학이 어떻게 전 시대에서 후 시대로 이어오고 변하
는지 그 원인은 무엇인지를 천착하지는 못하였다. 그러한 점에서 이러한
사학사는 엄격하게 말한다면 역사서의 역사라고는 범위에 속한다고 보아
야 할 것이다.
11) 김정암, 중국사학사 , 294쪽.
106 韓國史學史學報5 (2002. 3)
그러나 아는 바와 같이 역사학도 역사 속에 존재하는 것인 만큼 매 시대
별로 역사책이나 역사가가 출현하게되는 역사적 사상적 배경을 통하여 그
시대적 성격과 연관지어 가지고 시대별 역사학의 성격을 종합적으로 서술하
고, 그것이 다음 시대에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살피는 것이 진정한 의미에서
역사학의 역사인 것이다. 그러한 점에서 초창기의 역사학은 역사학의 극히
일부만을 다룬 아주 불완전한 사학사라고 할 수 있다.
3. 후속한 중국 사학사
1) 대만에서의 중국사학사
초기 대가들의 중국사학사 저작이 나온 이후로 중국사학사 범위에 속하는
개별 논문들은 꾸준히 발표되어 온 셈이다. 특히 대만에서는 단일 저서로 나
오기에 앞서서 중국사학사논문선집 이 杜維運과 黃進興이 1976년에 2 책으
로 묶어 출간되었는데, 이 책에서는 근대의 역사학자로써 胡適, 沈剛伯등
원로 학자에서부터 최근의 중진학자라고 할 수 있는 余英時까지 3~40명이
쓴 논문을 모아 놓았다. 그 내용은 史에 대한 해설에서부터 시작하여 청대
역사학과 관련된 논문이 망라되어 있다.
그리고 이어서 杜維運과 陳錦忠이 중국사학사 논문선집 ③을 편집하여 출
간하였다. 이 책은 여러 사람의 글을 모아 놓은 것은 사실이지만 어떤 점에
서는 하나의 공저적 성격을 띄고 있다고 보아도 좋을 듯 싶다. 이 책의 목차
를 보면 11개의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글쓴이는 10명이었다.
중국 사학사 연구 서설 107
장 절 집필자
前言陳錦忠
原史;
종교에서
인문학을
향한 史學의
성립
1.관련된 글자형태의 正誤2.史의 원시직무로 史字의 원형을
해석한 原義3.史의 직책은 종교에서 인문적 성격으로 변화 4.
종교정신과 인문정신의 交織과 交融5.史가운데 특출한 인물
6.공자의 학문과 史와의 관계 7.공자의 춘추편찬 의의 8.공자
학문의 성격과 사학에 대한 공헌 9.춘추좌전의 약간문제의 이
해 10.좌씨의 史에서 經으로 변한 중대한 의미와 업적 11.사
학의 관점에서 좌씨전의 평가 12.좌씨 만년작인 국어와 좌씨전
에서 받은 제한의 보충
徐復觀
史記를 논함
1.太史公行年考의 약간문제 2.史公집안의 시대와 사상
3.사공의 사학정신과 그 저작목적 4.사기의 구조-본기와
세가 5.표 6.8서 7.열전의 약간문제 8.立傳의 선택 9.표현
방법의 약간 특징
徐復觀
사마천이
말한 古今의
변화를
관통한다.는
말을 試論함.
1.역사사고의 출발점 2.원시적으로 끝을 살피고, 번성한 것과
쇠퇴한 것을 본다. 3.고금의 큰 변화 1)봉건에서 군현으로 2)
예악의 淪亡3)儒術의 汚壞4.이익과 다툼 5.예의로 간사한
이익을 막음 6.춘추의 근본으로 돌아감.
阮芝生
裴松之와
三國志注연구
1.전언 2.배송지의 생평과 저작 3.注와 배송지의 삼국지주 1)注
와 經注와 史注2)배송지의 삼국지주 4.삼국지배주에서 인용한
재료. 5.삼국지배주와 魏晉시대 經注변천의 관계
耀東
呂祖謙의
史學
1.역사학 가운데 夷夏의 관념 2.사학 중의 명분사상 3.사학중의
정통사상 4. 史識5.史考6.史德
胡昌智
嘉靖, 道光년간의 사학-考據學에서 經世論까지 陸寶千
최근 50년간 중국의 新史學周予同
양계초의
신사학과
柳翼謨의
國史論을 논함.
1.서론 2.양임공의 신사학 3.유익모의 국사론 4.신사학과 국사
론의 비교
康虹麗
54운동과
민국시기
사학의 발전
1.문제의 제기 2.사학의 근대화 3.민국사학의 성립 1)양계초
2)陳寅恪3)顧剛4.54운동과 사학의 발전
汪榮祖
중국사학의 현단계 ; 반성과 전망 余英時
이 책은 여러 사람의 글을 모아서 편집한 것이기는 하지만 대체로 선진시대,
한 대, 위진시대, 송대, 청대와 근대시기로 나누어 그 시대의 역사학적 특징에 해
당하는 것을 골라 놓은 셈이다. 그러나 계획을 거쳐서 방향을 가지고 필자에게
108 韓國史學史學報5 (2002. 3)
부탁하여 집필하게 한 것은 아니므로 일관성을 찾기 도 힘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학사 논문을 모아 편집하여 출간하는 일은 중국사학사를 일
관되게 정리하는데 도움을 주었을 것이다. 그리하여 나온 책이 劉節의 中國史
學史稿이다. 이 책은 1986년 대북에서 출간되었고 우리나라에서도 번역된 바 있
다. 이 책의 목차를 보면 다음과 같이 모두 19개의 장으로 나뉘어 있다.
시대 장 절
도론
1.서론
2.釋史1.언어문자상의 해석 2.사회제도상의 해석 3.나의 견해
선진
시대
3.고대사적
의 원형과
그 변화
1.은허 복사 중의 기사방식 2.兩周彛銘中의 기사방식 3.상서 중의
기사방식 4.좌전 중의 기사방식
4. 고대의 사
관과 사학 1.고대 사관 2.고대의 史職3.고대의 史籍4.고대의 史學
한대
5.양한 사학
의 개관
1.사관 2.사가 3.사적 4.사학
6.사마천과
반고
1.약전 2.마반 양가의 사학비교 3.史記와 漢書의 체례 4.후세전습의
경과
위진
남북

7.위진남북
조사학개관
1.사관과 사직 2.사가와 사적 3.신사료발견과 사적목록
8.文學, 玄
學과 史學
1.일반사학가의 생활태도 2.일반사학가의 철학사상 3.단대사의 연
한문제와 국사조례
수당
9.수당오대
사학 개관
1.사관관 注記제도 2.수에서 당 전성기에 편찬한 新史3.통전과 通
歷4.당대에 새로 일어난 史體5.오대시의 사적 6.수당오대의 신사
료 7.당대의 역사가와 그들의 역사철학
10. 유지기
의 사학 1. 약전 2.사학에 대한 공헌 3.동시대의 학자 4.후래의 영향
송대
11. 양송 사
학의 개관
1.사관제도 2.사학과 사학가 3.新史體와 新史書4.신사료의 발견 5.
남송시대의 역사철학
12.사마광과
자치통감
1.약전 2.자치통감편집의 시말 3.통감에서 채용한 사료의 감별방법
4.통감사학 5.통감서법 6.통감의 缺誤
13 .鄭樵의
사학
1.약전 2.정초가 역사학에 끼친 공헌 3.통지 20략과 玉海, 通考의
비교
14. 송원 이
래 사적 간
각의 경과
1.도서판각의 시작과 조기의 판각한 史書2.송대에 도서를 판각한
4개지구와 판각된 사서 3.원명청 3대에 판각한 사서 4.백납본24사
가 송원이래 판각한 정사의 대결집을 보존함.
중국 사학사 연구 서설 109



15.요금원
명사학의
개관
1.사관제도와 실록의 수정 2.관에서 편수한 여러 사서의 수정과정 3.
개인편찬 사서의 수정과정 4.명대의 국사와 야사 5.원의 경세대전과
명회전
16.왕부지
의 사론
1.약전과 그의 저작 2.철학체계 3.인류사회의 발전 4.몇 개의 반전통
적 관점 5.역사가의 출처와 역사저작의 의의
17. 명사의
수정과정
1.명실록과 기타사료의 편면성 2.명사수정의 세 시기 3.현존하는 명
사의 고본 4.청대 저작된 명대편년사와 기타 명대와 관련된 역사저
작 5.명사와 청대의 史獄


18.청대의
사학 개관
1.사관제도 2.청사 수정의 과정 3.舊史를 수정하는 각파 4.舊史를 다
시 편집하는 각파 5.舊史에 주를 단 각파 6.사로 만든 사체와 사서
7.역사지리학과 史書8.古器物學과 古銘志學9.절동사학과 그 연원
10.고사학과 의고학파
19. 장학성
의 사학
1.약전 2.사상체계 3.사학이론 4.사체연혁과 사가비판 5.방지학과 교
수학 6.사적고
이 책을 보면 중간에 각 시대에 특수한 부분을 첨가 시켜 놓기는 하였지만
대체적인 구조는 각 왕조별로 사관, 사서, 사적, 사식을 정리하여 놓았다는 감
이 든다. 이러한 사학사의 구성은 좀 더 자세하냐 아니냐의 구분이 있을 망정
크게 초기의 사학사를 크게 개선했다고 보기 어려운 점이 있다고 하겠다.
적어도 역사학이 어떤 내용을 가지고 어떻게 변천하여 왔느냐를 조망하는
데 자료를 정리하여 제공했다고는 할 수 있어도 진정한 사학사에 이르기에
는 아직 먼 감이 있다.
이 책의 저자도 이 부분에 관하여 고민한 흔적은 보인다. 즉,
중국사학사의 시대구분문제도 해결되어야 좋을 것이다. 나는 과거에 왕조별
로 나누고 세 시대에 주목하였다. 즉, 위진남북조시대, 양송대, 청대이다. 착안
점은 史籍의 종류와 수량이 늘어가고 있다는 점과 역사 고거학이 싹트고 발전
하였다는 점에 두었다. 이러한 것은 당연히 편면적 성격을 많이 갖고 있다. 그
런데 현재의 시각에서 보면, 선진시대, 이 시기는 중국사학의 맹아시기이다. 또
사마천은 시대를 긋는 인물이다. 天人의 범위를 연구하고, 고금의 변화를 관통
하여 일가를 이룬 말이다. 현대적인 용어를 가지고 번역한다면 자연법칙과 인
간사의 복잡한 관계를 연구하고, 사회발전의 객관적인 규율을 말하며, 책으로
써내어 하나의 체계를 이루었다.일 것이다. …… 사마천에서 유지기 까지를 하
110 韓國史學史學報5 (2002. 3)
나의 시기로 볼 수 있다. …… 나는 또한 유지기에서 명사에 이르기까지를 하
나의 시대로 보는데 동의한다.12)
이러한 그의 말을 보면 선진시대를 한 시기로 보고, 한 대부터 당대까지를
한시기로 보며, 다시 유지기부터 청초 건륭 가정년간까지를 한 시기로 보아
야 하며 건가 이후를 또 다른 한 시기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그의
구분법은 그 나름대로 이유를 달고 있지만 아직은 분명한 조리와 논리를 가
지고 정리되었다고 보이지 않는다.
2) 중국 대륙에서의 중국사학사 연구
중국대륙에서는 1949년에 중국공산당이 중화인민공화국을 성립시킨 이래
역사학자들은 맑시즘의 유물사관으로 역사를 해석하라는 정치적 요구를 받
았다. 그리하여 유물사관이란 무엇인지도 모르는 상황에 처해 있던 역사학자
들은 유물사관으로 역사교육을 받았던 새시대의 학자들이 배출되기까지에는
역사연구의 방향자체가 뒤흔들리는 상황이었다.13)
이러한 상황에서도 역사연구는 비록 유물사관에 입각하여 과거 중국의 역
사를 해석하는 작업이 진행되었다고 하여도 유물사관 자체가 역사적 현상에
서 이론을 끌어 낸 것이므로 끊임없이 역사해석 작업은 계속 되었다. 그리하
여 문화대혁명이 끝난 1980년대에 이르면 역시 사학사 즉, 역사학의 역사에
대하여서도 저작이 나오게 되었다.
그 가운데, 1985년에 출간된 高國坑의 中國史學史槪要와 尹達이 主編한
中國史學發展史가 주목할 만하다. 특히 고국갱의 책은 국내에 번역 소개되
12) 유절, 중국사학사고 , 대북, 홍문관출판사, 1985, 5쪽.
13) 필자 편역, 문화대혁명전후의 중국의 역사인식 , 집문당, 1991. 이 책은
曜東의 중국사학의 발전과 그 변화 를 중심으로 하여, 그 위에 윤달의 중
국사학발전사 그리고 대만 오안가의 중공사학신탐 가운데 일부를 번역
하여 첨가한 것이다.
중국 사학사 연구 서설 111
었다는 점에서 일단 중요한 저작으로 볼 수 있다.
먼저 고국갱의 중국사학사 개요 의 목차를 보자.
편 장 절
1.고대사학
의 창시,
은대-전
국의 사학
1.사학의 기

1.문자의 출현, 은대갑골문 2.사관의 발생과 최초의 역사기록,
은대 사관 및 그 복사
2. 주대의 사관 및 작품
3.중국최초의 역사저술, 공자의 춘추
4.좌구명의 좌전 및 국어
2.고대사학
의 확립,
진-남북
조의 사학
1.진대사학 간설
2.양한사학
1.양한사학개설 2.전한 사마천과 그의 사기 3.후한 반고와 그
의 한서 4.순열의 한기와 관찬의 동관한기
3.중세사학
의 모색과
발전
1.삼국양진남
북조 사학
1.사학의 새로운 지위 확립 2.서진 진수의 삼국지와 남조 송
배송지의 삼국지주 3.남조송 범엽 및 그 후한서
2. 수당사학 1.수당대 사관제도의 확립 및 그 저작, 유지기의 사통
4.근세사학
의 성립과
전개
1.당말오대사
학 1.두우의 통전 2.오대 사학
2. 송대의 사

1.고대사학의 극성기 2.북송 사마광과 그의 자치통감 3.남송
호삼성의 자치통감 음주 4.자치통감 계열의 사서 5.남송 원
추의 통감기사본말과 주희의 통감강목 6.정초와 그의 통지
3. 원대의 사학과 마단림의 문헌통고
5.근세
사학의
발전
1. 명대 사학의 개괄
2. 명청교체
기의 사학
1.근세 사학의 중흥기 2.황종희와 절동사학 3.고염무와 그의
일지록 4.왕부지 및 그의 역사평론
3. 청대사학
1.청의 문화 전제 및 명사의 편찬 2.건·가역사고증학의 종
합서술 3.건·가시기 사학고증의 3부 명저 4.장학성 및 그의
문사통의
이 책을 보면 바로 일반 사의 시대구분법을 사학사에 그대로 적용한 감을
받는다. 물론 한 시대의 역사학도 끊임없이 일반사의 정치경제, 사회문화현
상과 연관을 맺는 것이지만 이러한 일반사에 대한 시대적 특징을 명확히 제
시하지 못한 현금의 상황에서 도식적으로 고대·중세·근세로 구분하는 것
은 왕조사적 시각을 크게 벗어난 것이 아니다.
112 韓國史學史學報5 (2002. 3)
그리하여 이 책의 서문을 쓴 朱杰勤도 이러한 지적을 하였다.
이 책은 체례면에서 기본적으로 朝代에 따라 구분하여 당해조대의 역사가 및
저작을 일일이 비평하고, 따라서 그 시대의 역사학의 성취와 특색을 지적했다. 14)
서문자는 작자의 이 책이 종합, 분석과 논단의 측면에서 흔히 독창적인 점
이 있다고 말하였다고 하더라도 왕조사적 서술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였고,
왕조사적 서술을 하더라도 그 왕조의 역사적 특징을 지적하고 이 특징과 역
사학을 연관짓지 못한 한에서는 과거의 저작과 크게 다르다고 하기가 어렵
다. 더구나 저자는
중국사학사의 학습과 연구를 통하여 우리들은 중국사학의 발전과정과 그
찬란한 성과를 이해할 수 있으며, 우리들의 위대한 중국의 전통, 유구하고 찬란
한 문화를 인식할 수 있다. 15)
고 한 것으로 보아 이 저작이 순수한 학술적 목표나 인류문화 발전을 이해
하려는 것과는 다소 거리가 있으며, 중국의 역사 저작에서 흔히 찾아 볼 수
있는 것처럼 그는
특히 유물사관과 유심사관의 격렬한 투쟁과정을 규명하는 사학사 또한 우리들
이 마르크스주의 역사 유물주의 이론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16)
고 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했는가의 여부는 그만두고라도 사학사를 통하여
역사를 대립과 투쟁의 과정으로 보는 한계성을 지니는 것이었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전체적으로 보아 마르크스 유물사관에 의한 중국사의 시대구분과
이 사학사가 일치하는 측면을 가졌는가 하는 문제에서도 약간의 이의가 있
14) 高國抗著, 오상훈·이개석·조병한 옮김. 중국사학사 상, 풀빛, 1998, 21쪽.
15) 동상 35쪽.
16) 동상.
중국 사학사 연구 서설 113
을 수 있다. 그러한 점에서는 마르크스 유물사관에 의하여 중국 역사학의 역
사를 기술하려는 의도를 가긴 것은 사실이지만 이를 실제로 실현하는데는
다른 역사 분야와 마찬가지로 어려움이 있었다고 이해할 수 잇을 것이다.
이제 다시 1985년에 중국대륙에서 출간된 尹達의 中國史學發展史를 살
펴보자. 먼저 이 책의 編者說明을 보면,
중국사학 발전사는 윤달 동지가 주관 하에 여러 사람이 集體로 편집되고
집필된 것이다. …… 불행하게도 이 책 초고의 기본이 완성될 즈음에 윤달 동
지는 우리를 영원히 떠났다. 그 이후에 우리들은 그가 생전에 초고에 대한 의
견과 이와 관련된 이야기에 근거하여 토론과 수정을 가하였다. 이 책의 출판은
윤달 동지가 역사학 연구에 바친 일생을 기념이라고 할 수 있다. 17)
라고 되어 있다. 이러한 내용으로 보아서 중국에서는 공산주의를 이념으로
받아들인 정부가 들어 선 이후 근 40년이 지난 다음에 가서야 중국사학사를
정리하려는 움직임이 있었고, 또한 대 원로 학자인 윤달의 지도 아래에서 진
행되기는 했지만 집단적인 집필이라는 형태를 띄고 나타났으며, 그것도 그가
죽은 후의 일이었다.
이 책은 한 책으로 묶었지만 상하 두 권으로 나누어 서술하고 있다. 먼저
상권의 목차를 살펴보도록 하자.
편 장 절
1.
노예
사회

사학
개설
1. 원시역사의식과
노예사회의 사관
1.상고시대의 전설과 원시의 역사의식 2.고대의 사관과 그
직책
2. 상주이래의 기
술과 史書
1.상주이래의 기술 2.상에서 춘추시기 까지의 역사관점 3.첫
번째 관에서 편수한 편년사의 추형-춘추
3. 첫 번째 완비한
편년체 사서-좌전
1.좌전과 국어의 완성 2.좌전 편찬의 특징 3.좌전의 사상적
경향 4.좌전의 사학사상의 지위와 영향
개 설
1. 역사대 변동기의 역
사학의새로운추세
1.제자의 역사관과 그 영향 2.전국시대 중엽에서 진한대에
이르는 시기의 역사전적.
17) 윤달주 편, 중국사학발전사 , 중주고적출판사, 1984.
114 韓國史學史學報5 (2002. 3)
2.
봉건
사회

사학
(상)
2. 봉건 사학의 개
창-사마천의 사기
1.초한춘추와 사기의 저작 2.사기저작의 특점 3.사마천의 역
사관 4.사기의 사학사에 있어서의 지위와 영향
3. 봉건 사학의 확
립-한서와 삼국
지, 후한서
1.반고가 편찬한 한서와 그 학술적 성과 2.한서의 봉건정통
사상과 역사변화의 관점 3.삼국지와 후한서 4.한서등 기전체
단대사의 지위와 영향
4. 한기와 후한기
등 편년체 단대사
1.순열과 한기 2.원굉과 후한기 3.두 한기의 지위와 영향
5. 사회변동시기의
사학의 신 발전
1.관찬, 사찬 역사 편찬의 열기와 업적 2.문벌제도와 역사학
사의 반영. 3.각민족의 사학과 사학 중에 나타난 민족문제
4.사학발전을 통한 독립학문의 성립
6. 당초 史館을 설치
와 전시대사의 편찬
1.개인편찬에서 관청 편찬으로의 과도 2.전왕의 득실을 감계로
삼은 수서등 오대사, 진서의 황제편찬과 남사 북사의 編綴
7. 유지기의 사학
1.유지기가 개인 편찬한 사통 2.유지기의 사학이론 3.사통의
역사 편찬학.
3.
봉건
사회

사학
(중)
개설
1. 사학발전의 새
로운 길-삼통 등
제도사의 출현
1.삼통의 편저 2.삼통 사상내용의 새로운 특점 3.삼통의 지
위와 영향 4.회요, 회전 등 단대제도사
2. 관찬사서와 사찬
사서의 발전과 소
수민족사의 저작
1.관부편찬의 실록, 국사와 전시대사의 계속편찬 2.관찬 전
시대사의 정치사상적 특징 3.소수민족사 편저의 발전 4.개인
기록 역사편찬의 흥성
3. 사마광의 자치
통감과 편년체 사
서의 새로운 발전
1.사마광이 주편한 자치통감 2.자치통감 저작의 특징 3.사마
광의 정통역사사상 4.편년체 역사의 계속적 발전
4. 통감기사본말과
본말체의 역사서
1.본말체의 기원과 독립 2.통감기사본말의 특징 3.본말체 사
서의 계속과 변화
5. 송명 사이의 史
論과 史考
1.송명간 사회사조의 역사학에 대한 영향 2.송명간의 사론 3.
송명간의 史考
4.
봉건
사회

사학
(하)
개설
1. 명청시대 역사
사상의 진보성
1.李摯의 반이학적 역사사상 2.황종희, 왕부지, 고염무의 역사를 통
함경세치용 3.황종희, 왕부지, 고염무 사학의 반전제주의적 경향
2. 청조의 역사 편찬
에대한엄격한통제
1.청초 史館개설과 개인역사편찬 사건 2.명사의 편찬과 그
특징 3.청왕조의 실록과 관찬한 여러 역사서
3. 각종 전문 역사
서의 업적
1.명유학안과 학술사의 흥기 2.독사방여기요와 역사지리학의 성과
3.방지 편차의 열기와 성과 4.구역사서에 대한 보수의 검토
4. 乾·嘉史學
1.乾嘉皇朝의 역사학 통제 2.건가황조의 역사학사상 3.개인
역사연구의 博古경향
5. 장학성의 사학
1.장학성의 문사통의 저작 2.장학성의 역사학 이론 3.장학성
의 방지학
중국 사학사 연구 서설 115
하권의 목차는 다음과 같다.
편 장 절
1.
반식민
반봉건
사회의
사학
(상)
개설
1. 아편전쟁후 역사
학의 중대한 변화
1.공자진, 위원의 사학사상과 사학연구의 새로운 풍조 2.변
강지역역사지리 연구의 발흥 3.남명사연구의 새로운 국면
2. 자산계급사학
연구의 맹아
1.서학의 전입과 新學의 흥기 2.외국사의 소개와 연구 3.강
유위의 역사진화관
3.자선계급사학의
창립과 성장
1.양계초의 신사학이론 2.하증우와 중국고대사 3.왕국유의
고대사 연구 4.장태염의 사학사상과 성과
4. 봉건사학의 회
귀적 경향과 몰락
1.민국초기 복고사조의 약사학에 대한 영향 2.청사고의 편
찬 3.봉건사학에 대한 재비판
2.
반식민
반봉건
사회의
사학
(하)
개설
1. 유물사관의 전
파와 마르크스 사
학의 맹아
1.마르크스 유물사관의 광범한 점파 2.사회발전사 연구의
흥기 3.이대교의 현대사학에 대한 공헌.
2. 자산계급사학
의 진일보한 발전
1.역사철학,역사연구법의 탐색 2.양계초, 호적의 사상문화
사의 연구 3.고힐강과 고사변파의 흥기 4.신사료의 발굴과
정리.
3. 곽말약과 마르
크스주의 역사학
의 형성
1.곽말약과 중국고대사회연구 2.중국사회사문제 논전 3.마
르크스주의 사학의 건설과 그 대열의 성장
4. 전시 역사학과
그 발전의 추세
1.모택동사상의 역사학연구에 지도의 의미 2.마르크스주의
사학의 신속한 발전과 그 업적(상) 3.마르크스주의 사학의
신속한 발전과 그 업적(하) 4.자산계급 사학 가운데 존재
하는 애국과 진보의 경향 5.각종 반동사학 유파에 대한 비

이 책은 마르크스 유물주의 사관에 의하여 중국 역사학을 서술한 것으로
보이고, 그러한 점에서 중국 사학사에 대한 종합적 견해를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다. 우선 시대구분을 노예시대, 봉건시대, 반식민지 반봉건시대라는 도식
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내용에서는 역사학 전변의 계기를 몇 가지 지적하고
있는 것은 연구자들에게 상당한 시사점을 주고 있다. 좌전의 등장을 편년체
사서의 완비라고 하든지, 사마천의 사시를 봉건사학의 개창이라고 하였으며,
116 韓國史學史學報5 (2002. 3)
당초에 관찬사서의 등장, 자치통감의 편년체 사서의 새로운 발전이라고 하는
등 사학사를 설명하면서, 개창 또는 새로운, 진보성, 중대 변화 같은 용어를
동원하여 역사학 전변의 계기가 되는 것을 지적한 것이다. 마르크스 유물사
관이라는 한계를 벗어나기만 한다면 이렇게 역사학의 변화를 사학사를 통하
여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3) 중국대륙과 대만에서 출간된 미완성 사학사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은 문제점은 대륙에서나 대만에서나 똑 같이 나타
나고 있었으리라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어떻게 하든 역사학의 역사를 학문
단계적 발전 혹은 단계적 轉變을 합리적으로 서술하고자 하는 노력은 계속
되고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경향에서 출간 된 것이 대만에서는 이미 중국사학사 논문선집을
편집한 바 있는 杜維雲이 중국사학사 1책, 2책을 출간하여 당대의 역사학
까지 정리하였으며, 대륙에서는 白壽彛가 중국사학사 제1책을 출간하여 서
편과1편 선진시기, 중국사학의 童年期까지 집필하고 출간하였다.
먼저 백수이의 중국사학사 를 보면 비록 구체적인 서술은 선진시대까지 밖에
집필하지 못하였다고 하더라도 그의 서편은 그가 역사학의 역사를 어떻게 보려
고 하는가를 알 수 있게 되어있다. 여기서 잠시 그의 서편 목록을 보기로 하자.
장 절 항
1.
사학사
연구의
임무와
범위
1.역사라는 용어의
여러 가지 다른

*객관적 역사와 쓰여진 역사 *역사라는 용어에 포함된
의미의 변화-史는 원래 관직임 *문자의 구조로 본 史의
원 뜻 *역사기록을 史라고 하는 것과 두 가지 개념의 혼
동 *두 개념을 구별할 필요성
2. 역사학의 임무
와 범위
*역사이론1-사회가 사회를 결정한다는 의식 *역사
이론2-물질생산과 물질생산자의 역사 *역사이론3-
사회사의 변증적 발전과 그 규칙성 *사료학 *역사편
찬학 *역사문학
중국 사학사 연구 서설 117
3. 사학사의 임무
와 범위
1.사학사의 임무와 범위 *사학발전의 규칙성-유물주의
사관과 유물주의 역사관의 요소 *유물주의적 요소가 역
사학 발전 과정에 대한 작용 *역사학 발전과 기타학문과
의 관계 *역사학의 시대특징과 그 사회적 영향
2.
중국사학
사의
시대구분
(상)
1. 선진시대
*.전설시대 *갑골문출현 이후와 宗周후기 이후 *공자와
전국시대 개인적 편찬 *선진시대 사학발전이 특징
2. 진한시대
*馬班의 사학 대저서와 유향의 문헌정리 *진시황분서에
서 한무제의 유가존중까지 *石渠閣奏議와 白虎觀奏議*
진한시기 이후의 역사학의 성과
3. 위진남북조 수
당시기
*역사책의 수량상의 발전 *문벌지주의 요구를 반영한 시
대적 특징 * 기타 시대적 특징을 반영함. *3단계
4. 송원시기
*3부 통사의 대저작 *王義利의 辨*민족사,지방사와 역
외사 *역사문헌학의 발전 *원원대 사학의 특징과 3단계
5.명청시기
*명청시기의 특징 *명대사학 *명말청초의 역사학과 경세
치용 *청대 학술과 乾嘉고거학
3.
중국사학
사의
시대구분
(상)
1. 근대전기
*민족위기의 절박감 *변법과 역사는 반드시 변한다는 관
점 *역사학작업과 혁명사상의 선전
2. 근대후기
*중국사학의 현대화와 마르크스주의의 중국에서의 전파,
*이대교동지의 공헌 *마르크스주의 사학의 여러 가지 성
과 *중국마르크스주의 사학의 투쟁중의 건립
3. 근대 후기 중
의 고거학파 *고힐강선생과 호적 *양계초 *왕국유 *진인각 *陳垣선생
4.
사학사와
관련된
고금의
논술
1. 한당시대의 논

*사마천의 논술 *반표의 논술 *문심조룡의 史傳편 *진서
권82와 수서 경적지의 史部저록 *유지기의 논술
2. 송원청시기의
논술
*정초의 논술, 이지의 논술, 장학성의 논술
3. 근대인들의 논

*양계초의 사학사 전문저서에 대한 생각과 영향 *마르크
스주의자의 관련된 논저
5.
나의
모색과
생각
1. 모색의 경력
*모색의 시작 *1961년 이후 *10년 동란이 끝난 후 *두 가
지 과거보다 좋은 점
2. 모색하는 가운
데 얻은 몇 가지
체험
*진실되게 중점적으로 독서함 *점진적 진보와 博約관계
의 처리 *師友들의 이로움
3. 나의 구상
*전문적인 책을 많이 쓸 것 *사학사 연구에 관한 네 가
지 사건
이것은 분명히 백수이가 사학사를 새로 정리하기 위하여 얼마나 고심하고
있었는가를 잘 살필 수 있다. 특히 그는 스스로 시대구분을 하여 역사학의
118 韓國史學史學報5 (2002. 3)
역사를 정리하려고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선 사학사에 포함된 전문적인
책을 많이 써야겠다는 것이다. 그는
근년에 출판된 중국사학사는 重要史籍의 解題式의 영향이 아직도 상당히
많고 이것도 사학사 연구 작업 과정 가운데 면하기 어려운 과정이라는 것이라
고 말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은 반드시 고쳐져야 하고, 이러한 개변
자체는 바로 換骨脫胎의 의 과정이며 가볍게 넘어갈 것이 아니다. 18)
라고 하여 종전의 사학사 논문에 대하여 비판하고 환골탈태하는 탈바꿈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그의 주장은 상당한 설득력을 가진
다고 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아직 자기의 목표대로 중국사학사를
완결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중국 사학사의 시대구분에서 여전히 왕조사
적 구분을 골간으로 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이에 대하여 대만에서 출간된 두유운의 중국사학사 1, 2의 목록을 보기로 하자.
장 절 항
1. 引論
2. 역사학의
기원과 史官의
성립
1.민족, 문화와 사학
2. 동방사학의 요람
3.사관의 설비
3. 역사학의
원리의 출현
1.사실의 기록
2. 빠진 곳에 대한 의심
3.진실을 찾음.
4. 의심을 품음
4.몇몇 조기의
史書와
역사학에서
발휘한 異彩
1. 상서
2. 춘추
3. 좌전
1.좌전의 작자문제 2. 좌전의 서사에서의 사실성,
생동감, 아름다움 3. 좌전의 내용.
4. 기타
1.공양전, 곡량전 2.국어 3.전국책 4.세본 5.죽서기년
6.산해경 7.목천자전
18) 백수이, 중국사학사 , 상해, 인문출판사, 1986, 192쪽.
중국 사학사 연구 서설 119
5. 역사학
성숙시기의
도래
1.춘추이후 역사학
분위기의보편화
1.선진제자들의 역사에 근거한 논설/맹자,순자,장자,묵자,
한비자 2.일반사대부의 역사에 근거하여 발휘한 언론
2. 사기의 출현 1.사기의역사학상의지위2.사마천이당한일과사기의저작
3. 사마천의역사학세계 1.진실의세계 2.넓은세계3.美善의세계4.심오한세계
4. 사학의 성숙시기
6. 경학이
성하던 시기의
역사학의 발전
1.한무제이후 번성한 경학
2. 서한 후기 사학과 경학
3. 후한 초기사학
의 새로운 이채의
발휘
1.반고와 한서의 저작 ①.단대사의 개창 ②자세한
기록과 온아한 서술 ③넓지만 史栽와 史識을 갖임
3.반고의 유가사상
4. 후한역사편찬과
유가사학사상의
농후
1.동한 한기의 저작 2.경학번성시대의 반동사상-
왕충의 논형 3.순열의 유가사학사상의 농후함
7. 중국고대 사학의 세계적 위치
8. 위진
남북조의
쇠란과
역사학의 번성
1. 위진남북조의 쇠란
2. 역사학의 번성
3. 역사학 번성의
원인
1.사회환경의 자극과 학술창성의 상응 2.역사학전
통의 계승과 사회의식이 역사학에 대한 존귀함과
위엄을 받음 3.역사로 징계하고 권고하는 관념의
성행 4.역사로 군주를 제한하한 것과 군주의 제창
5.세월의 무상함과 장래에 대한 희망/세월의 무상
함을 느낌. 장래에 섞지 않기를 바람.
4..결론
9. 역사학
방법의 새로운
창안과
역사범위의
확대
1. 역사학 방법의 새로운 창안
2. 역사학 범위의
확대
1.기거주와 실록의 편찬 2.전장제도사의 대량출현
3.인물 전기 족보의 저작과 이를 숭상하는 기풍 4.
방지와 지리서의 대거출현 5.많은 역사가의 출현
3.문심조룡과 사학
10. 정통사학
사상의 출현과
정사관의 형성
1. 정통사학사상의 출현
2. 정사관념의 형성
과정사의다량출현 1.상국지 2.후한서 3.송서 4.남제서 5.위서
11. 전성기
당대 사학의
특생과 성과
1.수당전성기와 역사학의 발전
2. 당태종과 전성기 당대 사학
3. 전성기 당대 사
학의 특색
1.옛것을 잇고 새로 창조함. 2.사관의 설립과 기주제
도의 건재 3.집단적 역사편찬-역사편찬의 국영화
4. 전성기 당대 사
학의 성과
1.8부정사의 저작/진서,양서와 진서, 북제서, 주서,
주서,수서,남사와 북사, 결론, 2.많은 역사학 인재와
뛰어난 역사가의 배출
120 韓國史學史學報5 (2002. 3)
12. 유지기의
사학
1. 개설
2.사학사의 창출
3. 사학방법론의
개벽
1.박식론 2.사로론 3.채택과 편찬 4.사실의 서술론
5.史體論
4. 진리를 찾는 역사학의 경지
5. 결론
13. 댕대 혼란
이후의 역사학
1. 당대의 혼란이 역사학에 준 상처
2. 댕대혼란이 역
사학에 준 자극
1.역사학 토온의 조장 2.치용사학의 출현/두우와
통전 3.역사필기의 대량생산
14. 중국 중고사학의 세계상의 위치
두유운은 아직 다 완성하지 못하기는 했어도 그가 제1책의 말미에 중국고
대 역사학의 세계적 위치라는 글을 넣었고, 제2책의 말미에 중국중고사학의
세계적인 위치라는 글을 넣어 놓은 것으로 보아 제1책은 고대사학, 제2책은
중고사학으로 나눈 것 같다. 그러므로 중국의 사학사를 상고시대부터 진한대
까지를 한 단락으로 보고, 그 다음으로 위진시대부터 당대까지를 한 단락으
로 본 것 같다. 아직은 다 출간되지 않았지만 그의 자서를 보자.
나의 계획은 세 개의 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여 세 책을 쓰려고 한다. 제1단
계는 선진시대부터 진과 양한의 사학을 쓰고, 제2단계에는 위진시대에서 당 중
엽까지를 쓰며, 제3단계에서는 당말기부터 청말까지를 쓰려고 한다. 이렇게 단
계를 나누는 것에 문제가 있는지는 좀더 두고 볼 일이다. 19)
이러한 말로 보아 대체적인 계획을 갖고 있지만 집필해 가면서 기술적으
로 조절하겠다는 뜻을 갖고 있는 것이다. 두유운이 사학사 연구에 매진해 온
과정을 짐작하거니와 사학사의 정리는 그만큼 어려운 것일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이 저작은 상당한 시사를 주고 있다.
춘추 의 출현 이전과 이후를 구별하고 있다는 점이고, 사기 가 출현한
이후 경학과 사학의 관계, 혹은 경학이 지배하는 사학을 하나의 단계로 보았
19) 두유운, 중국사학사 , 자서, 대만, 삼민서국, 1998.
중국 사학사 연구 서설 121
으며, 그 후 위진시대를 역사학 창성의 시기로 보고, 위진시대에 正史의 체
례가 등장한 것을 이 시대의 특징으로 보았다. 또 당대에 관찬사서의 등장과
유지기의 사통 이 등장한 것을 특징적으로 말하고 있다. 이것은 역사학의
변화양상을 이해하는 데 많은 시사를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춘추 와 사기 의 등장을 한 묶음으로 묶어 놓은 점
이다. 춘추 를 지은 춘추시대와 한초의 시기가 다르기도 하거니와 현재의
입장에서는 춘추 는 경서이고 사기 는 역사서의 비조로 불리는 만큼 이렇
게 큰 변화가 있음에도 이를 한데 묶어서 논한 것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는 역사학의 범위문제를 사학사에서 크게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
이다. 고대의 역사학을 논할 경우에는 상서 춘추 국어 세본 등을 역
사서의 범위에 넣고서, 후대에 이와 유사한 저작들을 역사서에 집어넣지 않
은 이유를 충분하게 설명하지 않은 점이 있다.
다음으로는 경학과 역사학의 혼동과 독립이라는 문제를 깊이 고려하지 않
은 점이 있는 것 같다.
4. 중국 사학사 연구 서설
앞에서 거론한 연구자들이 중국사학사를 정리하기 위하여 대단히 많은 고
심을 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정리하는 방법이나 원칙에 확고한
태도를 보이지 못한 것 같다. 최근의 저작을 보더라도 중국대륙에서는 마르
크스 유물사관으로 사학사를 정리하려는 시도를 하였지만 결국 이념에 역사
사실을 꿰어 맞추려고 한다는 인상을 벗어나지 못하였고, 결국 백수이 같은
사람도 과거의 사학사를 사적의 역사라고 평가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대
만에서는 두유운이 그의 정열을 기울이고, 서양사학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토대로 정리하려고 하였지만 그의 마음 속 깊이에는 중국의 역사학을 서양
역사학과 비교하려는 경향이 짙게 배어 있다.
122 韓國史學史學報5 (2002. 3)
중국 사학사에서 정리하려고 하는 것은 중국 역사에 나타난 역사학이 어떤 과
정을 통하여 오늘날까지 이어 오고 있으며, 그 연속과 전변 과정을 밝히며, 그
연속과 전변의 배경은 무엇인가를 밝혀야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먼저는 역사학
이 커다란 방향을 전환한 시기는 언제이며 그 증거는 무엇인가를 밝혀야 하고,
그리고 역사학도 역사적 산물이라는 점에서 그 전변의 원인으로서의 역사배경을
살펴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생각한다면 중국사학사는 중국사 전체와 끊임없이
상호 영향을 주는 것이므로 이를 정리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다. 그러므로 단순
히 어떤 역사책이, 또는 어떤 역사가가, 어떤 제도가 있었다고 정리하는 것을 역
사를 유기적이고 종합적으로 정리한 것이라고 볼 수 없다.
그러므로 중국사학사를 정리하는데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를 고려하
여야 할 것이다.
1) 중국 역사학의 雛形
일반적으로 중국사학사를 쓰는 경우에 어디서부터 시작할 것인가의 문제
의식을 갖고 있지 않은 것 같다. 이 문제는 역사학은 무엇인가라는 문제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역사란 과거 사건의 기록이라고 말한다면,
문자의 출현에서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문자가 왜 나타났는가는 미래에 대
한 계획을 세우는 일보다는 지나간 일을 기록해 둠으로써 기억을 오래 할
수 있고, 그것이 결국 앞으로 일을 추진하는데 중요한 참고가 된다는데 기초
하였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것은 과거를 기록하는 일이며, 동시에 그 기록이 현재의 참고
용이라는 유용성을 상정한 것이므로 雛形이기는 하지만 역사학의 시작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거의 기록이 유용하다는 것이 전체적으로 인정
된다면 이 문자의 발달과 기록도구의 발달을 가져오고, 특히 과거의 기록을
잘 하는 사람이 나타날 것이다. 이것은 역사가, 역사서, 역사기록 방법, 그
내용까지를 다 포함하게 되는 것이다. 중국에서 이러한 역사학의 추형이 나
중국 사학사 연구 서설 123
타난 것은 은대의 갑골문과 금석문 등과 죽간, 목간의 등장으로 정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상황에서는 오늘날의 입장에서 보면 모든 것이
미분화한 상태인 것이다.
2) 기록의 1차 정리 : 공자의 6경 刪述
은대에 문자가 나타나고, 기록이 만들어지며, 그것이 상당한 지식을 공급
하고, 그 지식이 현실적으로 유용하게 응용될 수 있다는 사실이 전반적으로
인식됨에 따라서 춘추시대에 까지 이르면 문자를 인식하는 사람도 많아지고,
기록도구도 발달하며, 기록내용도 다양하게 되어 결국에는 대단히 많은 기록
이 나타나고 있다.
이들 기록은 하나 하나가 다 중요하다고 하더라도 기록이 많이 쌓여지면
이를 참고하려고 한다 하여도 쉽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 이르면 과거에는 유
용하였던 기록이라도 너무 많아서 이를 정리하여 전체를 쉽게 이해할 수 있
게 편집할 전문가가 필요하게 되었다면, 초기의 직업적인 역사가가 출현하는
셈이다. 그러한 점에서 역사가라는 새로운 직업이 탄생하는 것이기도 하다.
역사상 史官의 등장이 이것을 말해 준다. 그러나 비록 직업적인 史官이 존
재한다고 하더라도 기록 더미 속에서는 일정한 한계를 갖게 마련이고, 이 경
우가 되면, 결국 斷爛朝報20)라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이 시기가 되면 결
국 기록이란 현실적으로 사업을 진행하는데 유용한 지식이라는 측면을 효과
적으로 달성하지 못하는 상황에 빠지고 마는 것이다.
이리하여 많은 기록을 정리하여 그 중심 의미만 알 수 있게 할 필요성이
끊임없이 대두된다. 그 상황에서 공자는 과거의 기록을 刪述하는 것이다. 공
자는 述而不作이라는 말로 과거문헌 정리를 함축하여 표현하였다. 그는 詩
3천을 300으로 정리하였고, 魯나라의 朝報를 기준으로 춘추 를 정리하였다.
이러한 것들을 포함한 6경 의 산술은 바로 과거 기록의 정리이고, 이를 통
20) 왕안석이 역사기록을 비판한 내용이다.
124 韓國史學史學報5 (2002. 3)
하여 과거의 기록에서 얻으려 하였던 방향까지 제시하였으니, 이는 정리되지
않았던 기록의 더미 속에 처해 있던 사람들에게는 전환점을 제시한 것이었
다. 따라서 사학사에서 본다면 중요한 전환점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아직은 후에 나타나는 역사라는 개념이 없이 역사와 철학이 混在되
어 있는 상황이었다.
3) 종합적 기록에서 역사의 독립 : 司馬遷의 史記
공자의 육경산술과 같이 과거의 문헌에 대한 정리 작업을 하고 나면, 과
거에 일정한 형식과 이론을 갖지 않고 기록하였던 것에 비하여 많은 유용성
과 편리성을 제공하였다. 그 결과 이를 모방한 많은 저작들이 출현하고 있
다. 새로이 기록을 편집하는 일에서부터 이왕에 정리된 기록에 주석을 다는
일까지 성행하게 된다.
그러나 공자의 경우에는 과거의 문헌을 정리하면서 독자들로 하여금 그
기록에서 찾아보아야 하는 의미까지를 제시하려고 하였다. 다시 말하면 공자
가 微言大義를 밝힌 것은 독자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였는데, 그 뒤에 나타
난 기록의 정리자들도 이 방법을 모방하게 되었다.
그러나, 공자가 과거의 문헌을 정리하면서 미언대의를 밝힌 것은 공자의
안목과 학문적 통찰력을 바탕으로 이루어 진 것이다. 그러나 공자의 저작 방
법이 유용하다고 하여 공자만큼의 안목과 통찰력을 갖지 못하고, 그 방법만
을 모방하여 기록에서 찾을 수 있는 의미를 제시하게 된다면, 그 해석된 의
미란 경우에 따라서는 의미의 혼돈을 가져 올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
황에 이르면 정리된 저작을 가지고 그 저작에서 제시하는 의미는 누구에게
나 공감되지 않을 수도 있다. 더구나 전국시대를 거치면서부터는 더욱 그러
하였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 이르자, 과거의 사실 속에서 유용성을 찾아내려고 한다면
과거의 사실을 찾아보기 좋게 정리하여 기록해 놓고, 그 속에서 어떤 의미를
중국 사학사 연구 서설 125
찾아 낼 것인가는 독자에게 맡길 필요가 생기었다. 이것은 공자이후 500년만
의 일이었고, 그 작업은 司馬遷에 의하여 史記로 정리된 것이다.
그는 夏代에서부터 자기가 살았던 한초까지를 紀傳體라는 방법을 창안하여
일목요연하게 과거를 정리하였다. 이것을 역사학이라고 한다면, 한편 과거의
사건을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였던 부분은 철학 혹은 經學이라는 명칭으로
남아 있게 되어 경학과 사학은 분리되었다. 그리하여 과거를 정리하였던 춘
추 라고 하여도 과거 사건에 의미를 부여하고 해석하였다는 점에서 기본적으
로 경학으로 남아 있게 되고 후세에는 역사서로 분류되지 않게 되었다. 그리
하여 도서분류법에서도 유흠의 7략 에서는 역사서적을 춘추류에 부속시켰지
만 위진남북조시대에 와서는 荀勖의 中經簿에서는 이미 역사기록만 따로
丙部에 수록하였고, 다시 王儉의 7志에서는 역사서적을 經典志에 포하시켰
으나, 阮孝緖의 7錄에서는 經典類와 記傳類가 분리되게 된다.
이러한 객관적으로 과거를 기록하는 것이 역사의 중심과제로 등장한 이후
사마천의 기전체 방법은 모방되고, 약간 변형되면서 많은 저작이 나타난다.
그 후 특히 기전체 斷代史인 漢書가 등장한 이후에 실제 권력을 가진 황
실이나 황제는 여러 정치적 이유에서 역사 기록을 황제 중심으로 기록하려
는 조치가 취해지게 된다.
그러한 결과 위진남북조시대에 오면 후한대에 발명된 종이와 필기구의 발
달과 짝하여 여러 영웅들이 각기 중국을 나누어 통치하였던 분열의 시대에
는 특히 많은 역사책이 등장한다. 이러한 권력자의 역사기록을 이용하려는
노력은 正史개념을 낳았고, 정통론의 문제도 역사에 빈번하게 등장한다. 이
것은 권력의 영향을 받는 역사가 된 것이며, 역사가는 사마천과 같이 독자적
이고 객관적인 입장에서 역사를 기록하기 어려운 처지에 놓인다.
4) 官撰正史의 등장과 개인 史家의 역사이론 종합
기전체는 사마천이 창안하였고, 그는 이미 권력자와 상관성을 갖지 않고
126 韓國史學史學報5 (2002. 3)
과거를 객관적으로 기록하려 하였다. 그리하여 사마천 스스로 자기의 저작을
石室金庫에 넣어 두어야 할 것이라고 말한 것이다. 이는 권력자조차도 객관
적으로 비판하려하였던 것을 반영하는 말이다. 그 후 漢書에서 단대사를
창안하고, 왕조 중심의 紀傳體가 발달하였다. 그리하여 제왕들은 각기 좋은
역사적 평가를 받기 위하여 역사기록자에게 압력을 가하는 예가 나타나고
있다. 삼국시대 吳의 말제는 領左國史겸 侍中인 韋昭에게 황제를 지내지 않
은 자기의 親父를 帝紀에 올려놓기를 바랐으나 이를 거절하자 不忠하다는
죄목으로 誅殺하였다.21)
이러한 사건은 비단 오나라의 말제 때에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었고, 후위
때의 崔浩가 국사를 편찬하였다가 화를 당하는 상황이 나타난다. 이렇게 권
력자들은 끊임없이 역사서를 통하여 황제 자신뿐만 아니고, 자기의 조상과
그 행사한 일들까지 좋은 평가로 기록되기를 바랬다. 그리하여 후한대에서
위진시대에 이르기까지도 얼마간은 정부에서 여러 사람을 모아 역사를 편찬
하였으나, 당왕조가 중국을 통일하게 되자 바로 史館을 설치하고 집단적으로
역사를 편찬하기에 이른다. 물론 이때에 史館을 설치하여 기전체 정사만을
편찬한 것은 아니다. 편년체의 실록 편찬사업이 주였다고 할 수 있지만 여하
간 역사편찬을 권력자가 소유한 셈22)이 되었다.
21) 자치통감 세계서국본 권80, 무제태시 9년 <272AD>조.
22) 官撰, 私撰別로 25사를 정리한 25사 술요 의 부표 325~328쪽을 보면 다음
과 같다.
史記<漢, 사마천, 사관의 직책을 가지고 私撰>, 한서<후한, 반고, 私撰>, 후한
서<宋, 범엽, 私撰>, 삼국지<晉, 진수, 私撰>, 진서<唐, 방원령, 관찬>, 송서<
심약, 奉勅私撰>, 남제서<梁, 소자통, 사찬>, 양서<唐, 奉勅私撰>, 진서<당,
사염, 奉勅私撰>, 위서<北齊, 위수, 奉勅私撰>, 북제서<당, 이백약, 봉칙사찬
주서<당, 영호덕분, 봉칙사찬>, 남사<당, 이연수, 사찬>, 북사<당, 이연수, 사찬
수서<당, 위징, 官撰>, 구당서<후진 유구,관찬>, 신당서<송, 구양수, 관의 감
하에 사찬>, 구오대사<송, 설거정, 관찬>, 신오대사<송, 구양수, 사찬>, 송
<원, 탁극탁, 관찬>, 요사<원, 탁극탁, 관찬>, 금사<원, 탁극탁, 관찬>, 원사<
송렴, 관찬>, 신원사<민국, 가소문, 사찬>, 명사<청, 장정옥, 관찬>
중국 사학사 연구 서설 127
이러한 상황하에서 개인 역사가는 정부의 부속품으로 전락하여 자기의 견
해대로 역사를 서술하는데는 많은 제약을 받게 되자, 다른 방향으로 눈을 돌
리게 될 수밖에 없었다. 그리하여 위진남북조시기에는 隋書경적지에 역사
책을 모아 놓은 기록에 817부, 13,264권이나 되었으며, 逸失된 책까지 포함하
면 16,558권이나 된다. 이러한 역사서의 출현은 각기 나름대로의 이유와 방
법을 갖고 있었을 것이고, 역사기록의 방법과 이론을 창출하는 계기가 될 수
도 있었다.
그리하여 개인 역사가는 관찬사서에 영향력이 감소하자 역사이론서를 정
리하여 역사서를 쓰는 방법에서 평가하는 방법까지 다루게 되고 그것은 당
대 유지기의 史通이었다.
그러한 점에서 사관을 설치하여 역사를 관찬하는 상황과 개인 역사가들이
역사를 저작하는 역사서의 홍수 속에서는 역사이론의 발달을 재촉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이 중국 사학사의 또 하나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본다.
5) 제2차 역사사실의 종합과 역사의 의미화
사마천의 사기 이후에 경학과 역사의 분리와 역사에 대한 관심의 고조는
많은 역사서를 낳았다. 그것은 관찬사서이든, 개인편찬 사서이든 형식이 무
엇이든 간에 대단히 많은 역사책이 출현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그 많
은 역사책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인간에게 어떻게 유용하게 쓰일 것이냐 하
는 문제에 부딪친다. 제도적으로 역사책이 쓰여지는 것과는 별도로 역사를
쓰는 이유가 인간에게 유용성을 제공하려는 것이라면 실제적으로 그 많은
역사서는 읽을 수도 없고, 개인으로서는 정리하여 이해하기도 어려운 처지에
놓이게 된다.
이 시대에는 文以載道를 부르짖고, 문학에서도 道를 갖고 있지 않은 문학
은 이미 비판의 대상이 되었고, 질박하지만 의미를 담고 있는 古文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또 경학에서도 그 많은 경전과 주석서에서 무엇을 찾을
128 韓國史學史學報5 (2002. 3)
것이냐의 문제를 앞에 놓고, 새로운 경향의 유학 즉 정주학이 탄생하여 우주
론에서 인생론, 윤리론, 수양론을 정립해 가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역사에서도 구체적인 사실을 다시 기록하는 것은 그대로
두더라도 이를 다시 정리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에 놓인다. 이것이 사마광
의 資治通鑑이다. 이 책은 전국시대부터 오대까지 1362년간의 역사를 편년
체로 재구성하였다. 이 기간을 다룬 기전체만 하여도 25사 가운데 그후에 저
작된 송사 , 요사 , 금사 , 원사 , 신원사 , 명사 등 6정사를 제외한 19개
의 정사가 존재하였고 그 분량은 1,950권이나 되었다. 그 위에 실록과 개인
편찬 역사서를 합치면 그 분량은 대단히 많은 것이었다. 이 역사서들이 개별
적으로는 독자성을 갖는다고 하여도 송대인의 입장에서 이 많은 역사서를
읽어서 그 속에서 유용한 의미를 찾아내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마치
공자시대에 많은 기록들이 존재하였던 것과 유사한 상황이었고, 이러한 상황
에서 나온 왕안석의 斷爛朝報論도 우연한 것은 아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 사람은 사마광이었고 자치통감 에서 294권으로
정리하였다. 만약에 이것을 그 이전에 있었던 정사 1,950권과 비교한다면
15%정도 에 머문 것이다. 분량을 줄이기 위하여 기전체의 중복성을 피하여
편년체를 택한 것이고, 편년체를 채택하였다는 점에서 공자의 춘추 적 방법
으로 회귀한 것이다. 그러한 점에서 역사에서 저작자가 의미를 바로 독자들
에게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방향의 등장은 바로 남송대에 이르러 주
희에 의하여 이 책을 다시 더 줄이고, 기록하는 역사 사건의 줄기를 확실하
게 제시하는 자치통감강목 으로 개편되어졌다. 그리고 이 자치통감강목 은
주자학의 권위와 더불어 이미 경서적 지위를 갖는 것이었고, 역사의 철학적
회귀라고 볼 수도 있다.
6) 經學과 史學의 재분리와 이론의 정립
역사가 주자학적 지도를 받게 된 다음부터 역사의 기록은 존재하였지만,
중국 사학사 연구 서설 129
도통의 문제, 정통의 문제를 기준으로 정리되었다고 볼 수 있다. 모든 역사
기록의 가치 기준은 주자학적이었으므로 재료를 역사사실에서 취하였다고
하지만 역사는 주자학의 하부구조라고 볼 수 있었다. 이 문제가 풀어지려면
주자학적 권위가 비판받는 시점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가능해 질 수 있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주자학의 비판은 明중기 이후에 왕양명에 의하여 이
루어지고 있다. 그리하여 양명은 드디어 五經皆史論을 제시하고 있다. 종전
까지 우리가 진리를 내포하고 있다고 보았던 經典도 역사적 기록의 일부일
뿐이라는 것이다. 이 논리에서 5경은 통시대적인 진리를 내포하고 있다고 믿
었던 종전의 사상을 뿌리째 흔든 결과였다. 이러한 그의 논리는 그의 후학들
에 의하여 역사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였고, 보통 양명학 우파로 불리는 황
종희에 의하여 학술사인 명유학안 이 저작되었고, 그의 제자인 만사동, 만
사대에 의하여 명사 를 편찬하게 되어 역사의 중요성이 제기 된 것이다.
물론 황종희와 같은 시대를 산 왕부지는 역사를 철학적으로 해석하여 주
자학적 입장을 고수하고 있었고, 고염무는 진리를 찾기 위한 새로운 방법으
로 고증학을 창시하였다. 그리하여 청말에 오면 황종희, 만사동, 만사대를 이
은 浙東學派가운데서 역사이론을 정립한 장학성이 文史通義를 저작한다.
반대로 고염무에서 연결된 浙西學派의 戴震은 맹자자의 소증 으로 철학적
이론을 수립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博學의 사학과 約學의 철학은 분리되
는 과정을 걷는다.23) 이것은 또 하나의 중요한 중국사학사의 변화이고, 이러
한 상황이 서양사학의 영향을 받아 철학과 역사는 완전히 분리하는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중국사학사는 기록과 정리, 정리와 철학화, 그리고 다시 철
학으로부터의 분리라는 과정을 거치면서 진행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23) 졸고, 중국근세사상사연구 , 장실제의 박약, 중앙대학교 출판국, 1998, 참고.
130 韓國史學史學報5 (2002. 3)
The introduction of the study on
Chinese history of historical
science
Kwon, Joong- dal
In China, there have been an enormous number of historical material
since Pre Chin(先秦) dynasty period and there are the most in the world
Among these historical materials, nearly 4,000 of materials are related wi
Chinese history of historical science. Following with great historic
achievements, it was almost obvious to clarify how in every period of tim
the historical science had changed and that was supposed to introduce th
history of historical science earlier. Nevertheless, Chinese history
historical science was introduced in 20th century and organized by th
influences in according to the imports of European historical scienc
expecially the European study.
The examples of Chinese history of historical science writers, there a
Naito Horochiro(內藤虎次郞) as a Japanese scholar, also Jin Yufu(金毓)
and Li Zongdong(李宗) as a Chinese scholar who are comparably
primary characters. Since then, the history of historical science books we
published by the Chinese sholars Gao Guokang(高國抗), Yin Da(尹達) and
중국 사학사 연구 서설 131
Bai Shouyi(白壽彛), and Tawanese scholar, Liu Jie(劉節) and Du Weiyun
(杜維運). Some of these books are currently being written and published.
Although the story of those books had the difference in each other, th
arrangements of history books and historians in the order of dynasti
could not be free from their original. The historical science is to grasp t
way of recognizing and stating the past, and also to understand th
backgrounds of each period and the person who arranged and stated abou
the past. In addition, defining how each existed historical science change
to the next century and the reasons why, are very essential to be an actu
history of historical science. At this point, it ' s not improper to say that th
history of historical science is related with vicissitudes of dynasty, and al
it is not that it should be completely dominated by the dynasty. So it is
necessary to rearrange the Chinese history of historical science from t
change of historical science' s point of view.
This treatise consists of six stages to explain the Chinese history
historical science as a tentative plan.
1) Historical science of original shape's formating period of Chine
history of historical science.
It is the period that the necessity of records about the past wa
organized and the invention of the word and also writing tools we
introduced. However, the effective recording method was still undoable an
generally that was the time before Spring-Autumn(春秋) period.
132 韓國史學史學報5 (2002. 3)
2) Organizing period of the records;
The necessity of records about the past was recognized and a word or
letter was introduced. As the writing tool developed, many records of th
past were stored, but then it became too difficult to understand eac
records because they were basically too many. Thus some rearranging jo
were required to comprehend each records all at once without reading o
by one. This job was appeared as the shape of arithmetic of six classics(
經) by Conficious in Spring-Autumn(春秋) Period. At that moment, the
history of historical science was once again changed and gone up to t
upper level.
3) The record of an objective fact;
The reason of recording the incidents of the past has the basic meanin
which is to be used usefully in present time. And as the records g
accumulated, the summary of the record appeared but that was only th
summary done by inexpert people. Moreover, if the inexpert person tries
conceptualize the incidents of the past, then it could make the reader mor
confused. If so, the summarizing jobs would only remain in organizing t
incidents objectively in standard orders. Hence, the historical science becam
independent from Jingxue(經學) or philosophy and this was started by
Shiji(史記) of Sima Qian(司馬遷)
중국 사학사 연구 서설 133
4) The historical materials by governmental control and appearanc
of historical theory:
As the objective historical description developed, a governor had a
insight into the possibilities that the historical books could be used as th
material which admits the legitimacy of the governor. Consequently, th
government took over the publishing jobs from the individuals who used
arrange the fact of the past. This means that the government conquere
and dominated the history of historical science. This is the work
governmental made historical books, and this policy started in Han(漢)
dynasty period and completed in Tang(唐) dynasty period. Then individua
historians arranged the way of recording the past and the theory.
5) The second synthesis of the historical fact and grant of meanin
of history:
Sima Qian(司馬遷) adopted history as the objective records of past and
become independent from Jingxue(經學). As time went by, the objectiv
records kept being accumulated and it ended up having great difficulties
reading and understanding all at once. Therefore, rearrangement of th
accumulated records were required and the work which was for the reade
to comprehend the records better, was simultaneously proceeded. Th
procedure was quite similar to the one which Conficius proceeded for th
first time. This period is represented by the Zizhitongjiangangmu(資治通鑑
綱目) of Zhu Xi (朱熹)and the writer of Zizhitongjian(資治通鑑) of Sima
Guang(司馬光) of Sung(宋) dynasty period.
134 韓國史學史學報5 (2002. 3)
6) Separation and Settlement of Jinghsue(經學) and historica
science:
There had been a strong tendency in finding the meaning from the pa
so that historical science once again became an imitator of Jinghsue(經學
and philosophy. However, the philosophy itself was differentiated so it mad
the Yangming(陽明) studies, which has an emphasis on importance o
actual fact, stood out. And the logic, that a scripture is also the record o
history, was introduced by Yangming school(陽明學派). So the importanc
of historical science was appeared with the philosophy, which concer
about the detail facts a lot. This is represented by Wang Yangming(王陽
明) in the late Ming(明) dynasty period and Zhang Xuecheng(章學誠) of
Qing(淸) dynasy period.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