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물명칭 :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
국적/시대 : 중국(中國)/ 송(宋)
재질 : 사직(絲織) / 견(絹)
크기 세로(세로) : 143 cm / 가로(가로) : 87.6 cm
작자/필자 : 장택단(張擇端)
용도기능 : 문화예술(文化藝術) / 서화(書畵) / 회화(繪畵) / 일반회화(一般繪畵)/ 계화(界畵:起畵)
소장기관 : 상해박물관
북송(北宋) 말 한림학사(翰林學士)로 있던 장택단(張擇端)은 계화(界畵:起畵)에 능하여 주거(舟車)·시교(市橋)·곽경(郭徑) 등을 교묘하게 잘 그린 화가로서, 특히 북송의 도성인 변경(京:開封)의 청명절을 그린 두루마리가 유명하다. 이러한 풍속도·시가도는 사회경제사 자료로서 가치가 높다. 청명상하도는 장택단의 최고의 명작으로 중국 청명절의 도성 내외의 번화한 정경을 절묘하게 묘사한 그림이다. 북송의 수도 개봉의 활발한 경제 활동을 세밀하게 묘사하였고 그를 통하여 북송의 사회와 경제사 연구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http://culturedic.daum.net/dictionary_content.asp?Dictionary_Id=10027483&mode=title&query=%C3%BB%B8%ED%BB%F3%C7%CF%B5%B5 <다음 문화원형 백과사전>
송대에 그려졌다는 청명상하도 입니다. 북송의 수도 개봉이라네요.. 복송의 수도 개봉이라면, 송고려의 수도 松都=宋都를 말하는 것이 겠지요.. 그림이 매우 길고 크니 클릭 하셔서 자세하게 보셔야 할 겁니다. 장택단은 한림학사 라는데 한림학사는 천자 조서를 대리 작성,발표하는 비서로 현재의 청와대 정무수석 정도 된다고 보여집니다. 그렇게 공사 다망하다는 사람이 이런 그림을 그릴 시간도 안되고, 황제의 실직적인 최측근이 수도의 모습을 그린다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입니다. 기밀 문서 관리자인데... 조서 받아적고, 상소 및 공문서 검토하고, 하느라 시간이 없을 텐데..
그리고 한림학사라는 직책은 정 3,4품으로 고려에도 있었고 중추원으로 나중에 진출하는 중요 진급 코스 입니다. 황제를 최측근에서 보필하는 1급 기밀을 다루는 직책이지요... 송나라는 고려와 관제도 똑같고 명조와 조선 보다도 더 판박이 입니다. 송태조와 고려태조가 황제가 되는 과정도 판박이 입니다. 조선사는 이렇게 중국사와 흐름을 같이하고 스토리 전개개 과정이 서로를 배낀듯 쌍둥이 같은 모습을 가지고 있읍니다. 대륙조선사 관점에서 보면 둘중에 하나는 가짜라는 소리인데 요즘 해무님께서 아주 상세하고 날카로운 지적을 해주고 계십니다. 매우 감사 드립니다.
일단 그림을 보면,,,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보면 도성으로 보이는 성벽이 있고,, 주위에 큰 호수가 있읍니다. 수양버들,소나무.,대나무, 온갖 초목이 있읍니다. 시내에는 우마와 사람들로 문전성시를 이루고 있고, 락타에 짐을 싫고 이동하는 상인 행렬, 상인, 선비, 중간의 우측위에는 격구장겸 , 승마장도 있는데 말타면서 활을 쏘는 사람과 여러 신하들의 호위에 비교적 높은 계단위에서 경연인지, 무과 시험을 보는 것인지는 확실치 않으나, 왕이나, 고관쯤 되는 사람이 경연을 지켜보고 있으며, 물소도 보이고, 초원,전답, 운하, 쌀을 싫는 선박 등등 다양한 수도의 모습이 그려져 있읍니다.
성벽 높이는 대략 15미터 이상으로 보이고 중간 중간에 다리도 많은에 동방견문록에 나오는 폴리상긴 강과 연결되어 있는 운하로 보입니다. 그 돌다리에 대해 길이가 거의 300보 폭이 8보 이며 10명의 기사들이 나란이 서서 갈 수 있다고 하였는데 다리가 그정도 폭은 되지 않네요,, 다리에는 사자 석상이 있다는데 보이지 않고, 물론 캄발룩/대도/북경에서 10마일 떨어져 있는 강이라고 는 했으니 동일한 부분은 아닌 것 같읍니다만, 폴로의 기록을 참고해서 보면 도움이 될 듯합니다 . 그림은 물론 원본은 아니라고 봅니다. 조선 태조의 팔준마를 안견이 그렸는데 서울대 박물관인가, 국립 중앙박물관인가 기억이 잘 나지 않네요 ,, 아무튼 원본이 소실되었다고 하였는데 하물며 이 그림도 원본은 아니라 봅니다. 그래도 모사본이나 가짜도 원본을 참고로 해서 그렸을테니 그 속에 팩트는 분명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네를 타는 처자들도 보니네요.. 중국인들 그네 안타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 아무튼 그림이 크고 내용도 많으니 자세히 설명은 못드리겠네요.. 제작 연도는 에 건륭 원년 춘삼월로 되어 있읍니다. 백과사전에는 송대에 그렸다는데 제작중간에 많은 복사본이 제작되었답니다. 그러한 걸로 봐서 개봉이 개경이고 북경으로 보입니다.그런데 사의 궁성이라는데, 궁성이 자세히 보이지도 않고 규모도 기록보다 작고, 사람들도 대부분 키가 왜소합니다. 여자들이 키가 더 큰 것으로 보입니다.
얼마전에 상해 박람회에 소개가 되었답니다. 동영상도 있으니 링크 걸어 둡니다.
참고로 翰林學士의 대표적 인물에는 고려 광종 때의 쌍기雙冀-원래 後周사람, 宋 소동파蘇東坡,사마광司馬光 高麗 이규보李奎報가 있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