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음악이론

[스크랩] 음악 상식자료

작성자축복의 통로|작성시간10.03.10|조회수144 목록 댓글 0

1. 앙상블(Ensemble)이란?

프랑스어로 '같이' 라는 뜻으로 두명이상의 사람이 함께 노래하는 것.
보통 중창이라고 함.8명이 부르는 것을 복 4중창,12명이상이 함께 부르는
것을 합창이라고 한다.

 

2. 시대별 구분

중세 음악시대 1450년경
르네상스 음악시대 1450년~1600년
바로크 음악시대 1600년~1750년
고전 음악시대 1750년~1810년
낭만파 음악시대 1810년~1910년
현대 음악시대 1910년 이후

 

3. 돌림노래와 카논의 차이

돌림노래는 제1성부가 가사에 있어서 프레이즈의 끝에 도달했을때 제 2
성부가 들어오는 반면 카논은 제1성부가 아직 프레이즈의 중간에 있을 때
라도 제2성부가 나올수 있다는 것이다.

 

4. Anthem 이란?
성공회와 함께 시작된 예배식 합창곡.(카톨릭의 모테트와 흡사)
종류

1. Full Anthem - 전체가 합창으로 된 것
2. Verse Anthem - 합창과 독창이 번갈아 나오는 것.

특징

1. 영어로 되어 있다.
2. 오르간 반주가 동반된다.
3. Syllabic 하다.(한가사에 한음)
참고

Melismatic(한가사에 여러음)
작곡가

헨리 퍼슬,윌리엄 버들 본 윌리엄스,마틴 쇼

 

5. 페르마타의 의미
르네상스 - Caesura(숨을 쉬라),가사를 강조할 때
바로크 - 선율의 종지(마침표)
고전(1750-1825) - 끌어주라

 

6.프레이징(Phrasing)
우리말로 구절법이라고 한다.
프레이즈란 문장의 단락에 해당하는 선율선의 자연스런 단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 악구(프레이즈)를 구분하는 방법을 프레이징이라고 한다. 프레
이즈는 여러시대, 심지어는 같은 시대에 있어서도 그 길이가 일정하지 않
으며 대개 종지에 의해 끝나게 되는데 합창음악의 경우에 가사와 밀접하
게 연결 되어 있다.
잘못된 구절법 - 한 악구안에서 불필요하게 숨을 쉬는 것. 한 단어의 음
절 사이에 숨을 쉬어 말의 뜻을 잃어 버리는 것. 곡의 의미를 표현하기 위
해 끊어야 할 때를 숨쉬지 않고 지나갈 때,악센트를 붙이지 않아야 할 곳
에 지나치게 힘을 주어 강조하는 것. 올바른구절법 - 호흡을 미리 준비하
여 노래한다.

 

7. 데스칸트(descant)
옛날에는 다성악곡의 가장 높은 성부를 일컬어서 즉 소프라노와 같은 뜻
으로 쓰이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정선율 위에 다소 장식적인 음형의 가장
높은 성부를 붙여 노래하는 성가 창법을 가리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8. 포르타 멘토(portamento)
현악기의 일반 기술중 어떤 음표로부터 다른 음표 사이에 음을 미끄러 뜨
리는 것. 신중하게 사용하여야 하는데 낭만파 이전의 음악에 이것을 사용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9.바로크(baroque)
바로크란 말은 포르투칼 말로 '우그러진 진주'라는 말에서 유래된다. 처
음 미술에서 사용된 말이다.비발디나 바하의 음악소산을 안겨준 시대이며
오늘날의 오페라 기원도 이때이고 찬송가가 오늘날의 형태로 장,단조로 나
뉘어 등장한 것도 이 무렵이다. 종교에 많이 사용되는 오라토리오와 칸타
타,콘체르토,소나타등이 이 시대에 등장했다. 아카펠라나 모테트도 이 시
기에 성행하는 양식이다. 따라서 오늘날의 모든 음악의 기초는 이 시기에
등장한 소산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10.흑인 영가의 특징
1)아프리카 음악적 특성이 살아 있다. 예를 들면 샤우트(shout)와 할러
(holler) 같은 것들을 들 수 있는데 둘다 '외치다'라는 뜻을 지닌 말로,
음정을 미끄러 뜨리면서 외치듯이 노래하는 것이다. 링 샤우트(ring
shout)는 활기찬 리듬의 영가에 맞추어 발을 끌면서 박수를 치고 원을 그
리면서 춤을 추는 것이다.

2) 보통 유니즌으로 노래했는데, 높은 음높이로 울부짖듯이 노래하는 소리
들이 전율을 느끼게 한다.

3) 흑인 음악 본연의 특성중 하나는 즉흥성이다.현재의 재즈음악에서도 공
표되는 즉흥성의 묘미는 흑인 영가에도 들어난다.

4) 변화되는 가사 구절과 반복되는 가사 구절이 즉흥적인 감흥을 타면서
교대로 불려진다.

5) 여러 흑인들이 자신들의 고통을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과 관련지어 노래
하기도 했다. 많은 영가에는 '죽음'이라는 테마가 관통하기도 한다.

6) 흑인 영가는 듣는이의 마음을 움지이게 하는 스윙감이 충만하다. 그리
고 드럼 같은 타악기도 사용하여 거침없는 종교적 희열을 분출하기도 한
다.

 

11. 미사(Mass)

카톨릭 성당에서 중요한 의식때 부르는 성가. 미사에는 다음과 같은 부
분이 있다.Kyrie,Gloria,Credo,Sanctus,Benedictus,Agnus Dei

 

12. 모테트(Motet)

다성 음악의 종교적 합창곡.오르가눔(다성악곡)의 일부를 성악곡화 함으
로써 비롯함.15,6세기 르네상스 시대의 모테트는 새롭게 변천되어 미사 이
외의 모든 종교적 합창곡을 뜻했음. 바하는 짧은 종교적 합창곡에 이말을
사용하였음.

 

13. 오라토리오(Oratorio)

종교적인 이야기를 소재로 한 성악 및 관현악 곡이며 아리아,레시타티
브,중창,합창,관현악으로 연주하는 점은 오페라와 같으나 장치와 동작이
없는점이 다름.헨델의 메시아,하이든의 천지창조등.

 

14. 마니피카트(Magnificat)

성가중 성모마리아를 찬양하는 것. 다성부로 바하의 것이 유명함.

 

15. 테 데움(Te Deum)

"우리는 그대를 주님으로 받드나이다."라는 말. 암브로슈스,또는 아우구
스 티누스의 작품이라고 전해진 찬송가.500년대부터 성무 일과의 아침예배
의 마지막에 불려짐. 그뒤 이종류의 곡을 쓴 사람은 퍼셀,헨델,베를리오
즈,부르크너,베르디임.

 

16. 칸타타(Cantata)

교성곡 이라고도 함. 여러형태의 기악반주가 있는 성악 작품으로 아리
아,레시타티브,중창,합창이 섞임. 종교적인 것과 세속적인 것이 있음.

 

17. 마드리갈(madrigal)

13세기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2,3부의 무반주 성악곡

 

:자료출처/서칭페스티벌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Schola Cantorum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