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Ⅱ 정보 & 자료실

[[설정자료]]2차대전 최강의 대전차 자주포 M36 잭슨 (M36 tank destroyer)

작성자mirageknight [왕성국]|작성시간14.10.30|조회수2,075 목록 댓글 3

안녕하세요~~ 미라지나이트 입니다.

 

벌써 10월도 진짜 몇일 안남았네요.. 벌서 아카데미에서는 11월 신제품 소식을 전해왔습니다.

 

11월에는 드디어 M36B1 잭슨대전차자주포가 출시된다고 합니다.

 

 

 

 

이번시간에는 2차대전 최강의 대전차자주포로 불리는 M36 잭슨 대전차자주포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M36 tank destroyer

 

 

제2차 세계대전기의 미군 기갑장비
전차 경전차 M3/M5 스튜어트, M22 로커스트, M24 채피
中전차 M3 리/그랜트, M4 셔먼
重전차 M26 퍼싱, M6
장갑차 장륜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 M3 스카웃 카, T17 스태그하운드, T18 보어하운드
반궤도장갑차 M2 하프트랙, M3 하프트랙
수륙양용차량 LVT, 포드 GPA 시프, DUKW
대전차자주포 M10 울버린, M18 헬캣, M36 잭슨
자주포 M7 프리스트, M12 GMC
프로토타입 T28, T34, T30, T92, T20, M38 울프하운드

 

 
[M36 잭슨 대전차자주포 (M36 tank destroyer) 는 2차대전 당시 미육군이 보유한 최강의 자주대전차포로 불리운다]

 

2차대전 당시 미 육군 최강의 대전차자주포.

목차

1. 제원
2. 개발
3. 2차 세계 대전에서의 실전
4. 전후
4.1. 대한민국
4.2. 기타 국가
5. 기타 매체에서의 등장
5.1. 월드 오브 탱크
5.2. 워게임: 레드 드래곤
5.3.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

1. 제원

M36 Jackson tank v Lešanech. Full HD

 

 

 

 

 

 

 

  • 중량: 29t
  • 전장: 7.46m (돌출된 포신 포함)
  • 전폭: 3.05m
  • 전고: 3.28m
  • 승무원: 5명 (전차장, 조종수, 포조작원 3명)
  • 장갑: 9mm ~ 108mm
  • 주무장: 90mm M3 전차포 1문 (47발)
  • 부무장: M2 중기관총 1정 (1,000발)
  • 엔진: 포드 GAA V-8 가솔린 엔진 (450hp)
  • 출력비: 15.5hp/t
  • 변속기: Synchromesh 기어박스형 (5단가속 1단후퇴)
  • 현가장치: 수직 벌류트 스프링 현가장치 (VVSS)
  • 항속거리: 240km
  • 속도: 42km/h
  • 생산량: 1,413대

2. 개발

미국 육군 최초의 구축전차인 M10 울버린은 단점인 얇은 장갑과 약한 화력이 지적되어 이를 보강하는 구축전차 개발이 추가로 필요했다. 미국 육군에서도 1942년 4월에는 90mm 대전차포의 전신인 90mm 대공포 M1을 M10에 탑재한다는 안을 내놓았다.

 

 

 

[2차대전 초기 미육군의 대전차자주포로 사용되던 M10 울버린 최대속도 80킬로를 능가하는 당시로는 고속을 낼수 있는 보병지원자주포로 개발되었으나 대전차 임무로는 어정쩡한  76.2mm M7 전차포로 이는 주력전차로 채용된 M4 셔먼의 주포와 별반차이 없는 주포구경이였다. 따라서 날로 발전하고 있는 독일군의 신형전차들에게는 다수 무리가 따라 울버린의 후속 대전차자주포를 필요로 했다]

 

 

 

 

 

 

[미국 육군 최초의 구축전차인 M10 울버린은 단점인 얇은 장갑과 약한 화력이 지적되어 이를 보강하는 구축전차 개발이 추가로 필요했다. 미국 육군에서도 1942년 4월에는 90mm 대전차포의 전신인 90mm 대공포 M1을 M10에 탑재한다는 안을 내놓았다. 이에 따라 차량 적재용으로 T7이라는 명칭이 부여된 이 90mm 포를 탑재한 시험 제작 차량은 M10A1을 기본으로 하는 T71E1의 2종류가 1942년 12월에 제작되어 각종 시험에 들어간 결과, 포탑을 개량하여 1944년 4월부터 생산에 들어갔는데, 이 차체를 M36으로 불렀다]



차량 적재용으로 T7이라는 명칭이 부여된 이 90mm 포를 탑재한 시험 제작 차량은 M10A1을 기본으로 하는 T71E1의 2종류가 1942년 12월에 제작되어 각종 시험에 들어간 결과, 포탑을 개량하여 1944년 4월부터 생산에 들어갔는데, 이 차체를 M36으로 불렀다.

 

 

 


[M36 은 M10 울버린에 대공포로 사용되던 M3 90mm 포를 장착한것으로 화력면에서는 당대의 무적전차로 불리던 티거나 티거2 전차를 상대할정도로 우수한 공격력을 가졌으나 울버린의 단점은 얆은장갑은 해결하지 못해 여전히 기관총탄만 겨우 막을 정도의 약한 장갑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장갑강화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사실상 M10 울버린의 화력강화를 위해 대공포를 개량한 M3 90mm 포를 얹은 것으로, 개발 초기에는 포탑도 M10의 것을 그대로 썼으나 구조적인 결함이 발견되어 포탑을 새로 설계하여 얹었다.

 

 

 

 

 

[M36 의 개발당시 장갑강화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사실상 M10 울버린의 화력강화를 위해 대공포를 개량한 M3 90mm 포를 얹은 것으로, 개발 초기에는 포탑도 M10의 것을 그대로 썼으나 구조적인 결함이 발견되어 포탑을 새로 설계하여 얹었다. ]

 

 

 

 



놀라운 것은 이 작품이 미국 구축전차의 아버지라고 할 앤드류 브루스 소장의 작품이 아니라, 오히려 반대파인 미국 병기국장 글래디언.M.반즈 중장의 작품이라는 점이라는 것이다. 오히려 브루스 소장은 자신이 생각하기에도 느린 울버린에 90mm 포를 장착하면 더 느려지니 영 쓸모없다고 생각하고 자신의 야심작인 88km/h의 속도를 자랑하는 M18 헬캣의 개발에 힘을 쏟고 있는 상황이었다.

 

 

 



이름은 남북전쟁 당시 남군의 명장 스톤월 잭슨(Thomas Jonathan Jackson)으로부터 따왔다.

3. 2차 세계 대전에서의 실전

 

[야크트판터의 전면장갑 관통 ]

 

 

 

 

[판터의 측면장갑 관통 ]

 

실전투입은 1944년 8월로 늦은 편이었으나 영국의 17파운더 대전차포와 비교 시 독일군티거판터를 상대로 관통력에선 조금 떨어질지는 몰라도 안좋은 명중률과 장거리로 갈 수록 관통력 하락이 큰 17파운더와는 달리 그 보다 더 원거리에서 정확한 사격으로 해치울 수 있는 좋은 명중률과 17파운더보다 더 큰 구경으로 강력한 파괴력을 갖추었다. 그래서 미군의 대전차능력을 우습게 보던 독일 전차들을 관광 보내며 상당한 전과를 올렸고, 덕분에 미군 병사들의 많은 사랑을 받았다.

 

 

 

[ M36의 실전투입은 1944년 8월로 늦은 편이었으나 영국의 17파운더 대전차포와 비교 시 독일군티거판터를 상대로 관통력에선 조금 떨어질지는 몰라도 안좋은 명중률과 장거리로 갈 수록 관통력 하락이 큰 17파운더와는 달리 그 보다 더 원거리에서 정확한 사격으로 해치울 수 있는 좋은 명중률과 17파운더보다 더 큰 구경으로 강력한 파괴력을 갖추었다. 그래서 미군의 대전차능력을 우습게 보던 독일 전차들을 관광 보내며 상당한 전과를 올렸고, 덕분에 미군 병사들의 많은 사랑을 받았다]



다만 태생적으로 장갑이 빈약한 미국의 대전차자주포 인데다가 앞서 말했듯 M10 이래로의 오픈탑식 포탑과 빈약한 장갑은 여전했는데, 이는 미국의 대전차 자주포는 방어진지 등에 숨거나 우회해서 측면을 노려 적 전차를 먼저 보고 먼저 쏘고 물러나 다음 기회를 잡는 것을 기본적인 생각으로 하는 전투교리를 가지고 있어서 자체 방어력이 부족했기 때문. 그렇다고 장갑을 강화하면 그냥 전차가 되어버리니 애초에 개념 자체가 좀 문제가 있었다.

 

 

 

 

 

 

[M36 잭슨은 당대의 최고의 공격력을 가진 90밀리 주포를 가지고 있어 공격력은 티거를 상대할 정도로 우수했으나 태생적으로 장갑이 빈약한 미국의 대전차자주포 인데다가 앞서 말했듯 M10 이래로의 오픈탑식 포탑과 빈약한 장갑은 여전했는데, 이는 미국의 대전차 자주포는 방어진지 등에 숨거나 우회해서 측면을 노려 적 전차를 먼저 보고 먼저 쏘고 물러나 다음 기회를 잡는 것을 기본적인 생각으로 하는 전투교리를 가지고 있어서 자체 방어력이 부족했기 때문. 그렇다고 장갑을 강화하면 그냥 전차가 되어버리니 애초에 개념 자체가 좀 문제가 있었다. 그래도 새로운 중전차의 등장까지 유일하게 독일군의 중전차를 상대할수 있는 몇 안되는 대전차임무차량중 하나였다]

 

 

 

 

 

 

 

 

 

 

 

 

 

 

 

 

 



즉 교리는 그럴듯했으나 현실은 시궁창. 방어력이 빈약함에도 불구하고 독일군 전차와 정면 승부를 벌이다 격파된 사례도 많았다. 판터와 티거같은 놈들을 잡을 수는 있지만, 사실 4호전차로도 이 녀석이나 파이어플라이와 동등하게 싸울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어디까지나 독일 중전차들보다는 아래. 덤으로 적 보병이 수류탄을 던지거나 박격포를 쏘면 격파하기 쉽다는 것은 M10 울버린과 마찬가지다. 이렇게 빈약한 방어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적의 기갑 전력이나 숙련된 보병과 정면승부를 벌여야 하는 이유는 실제 전선에서는 보병 지원용이라던 M4 셔먼이 소수라고는 하지만 종합성능이 워낙 우월한 티거와 판터에게 압도적으로 학살당하는 통에 보병전투를 위해서라도 사단에 배속된 TD부대들이 격파당한 셔먼을 보충하는 시간을 벌기 위해서 전장 정면에 나서야 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셔먼이 보충되도 곧 개발살나므로 다시 전면에 TD들이 등장... 그래서 현지 개수로 급조 지붕을 만드는등 노력을 기울였으나 그런다 해도 본질적으로 장갑이 얇아서 본격적인 전차 노릇을 하기엔 무리가 있었다.

 

 

 

 

 

 

[M36 은 방어력이 빈약함에도 불구하고 독일군 전차와 정면 승부를 벌이다 격파된 사례도 많았다. 판터와 티거같은 놈들을 잡을 수는 있지만, 사실 4호전차로도 이 녀석이나 파이어플라이와 동등하게 싸울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어디까지나 독일 중전차들보다는 아래. 덤으로 적 보병이 수류탄을 던지거나 박격포를 쏘면 격파하기 쉽다는 것은 M10 울버린과 마찬가지다. 이렇게 빈약한 방어력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적의 기갑 전력이나 숙련된 보병과 정면승부를 벌여야 하는 이유는 실제 전선에서는 보병 지원용이라던 M4 셔먼이 소수라고는 하지만 종합성능이 워낙 우월한 티거와 판터에게 압도적으로 학살당하는 통에 보병전투를 위해서라도 사단에 배속된 TD부대들이 격파당한 셔먼을 보충하는 시간을 벌기 위해서 전장 정면에 나서야 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셔먼이 보충되도 곧 개발살나므로 다시 전면에 TD들이 등장... 그래서 현지 개수로 급조 지붕을 만드는등 노력을 기울였으나 그런다 해도 본질적으로 장갑이 얇아서 본격적인 전차 노릇을 하기엔 무리가 있었다]

 

 

 

 



그래도 워낙 전선에서 요구량이 많았다. 당연한 일이지만 티거판터를 확실하게 격파할 수 있는 90mm 포를 갖춘 장갑차량은 1945년에 M26 퍼싱이 대량생산될 때까지 이 녀석이 유일했기 때문이다. 물론 화력만 강하고 방어력은 종잇장이라 만족스럽다고 보기에는 절대로 아니지만, 그럭저럭 주행능력도 양호하기 때문에 먼저보고 빨리 조준해서 정확하게 명중시켜도 적 전차보다 먼저 박살나는 셔먼보다는 당연하게도 평가가 좋았다. 종이장갑 그 딴 소리 집어치워! 두부 등 위에 얹어놔도 좋으니까 당장 90mm 포 전차를 내놔!

 

 

[그래도 워낙 전선에서 요구량이 많았다. 당연한 일이지만 티거판터를 확실하게 격파할 수 있는 90mm 포를 갖춘 장갑차량은 1945년에 M26 퍼싱이 대량생산될 때까지 이 녀석이 유일했기 때문이다. 물론 화력만 강하고 방어력은 종잇장이라 만족스럽다고 보기에는 절대로 아니지만, 그럭저럭 주행능력도 양호하기 때문에 먼저보고 빨리 조준해서 정확하게 명중시켜도 적 전차보다 먼저 박살나는 셔먼보다는 당연하게도 평가가 좋았다]

이런 이유로 인해 나중에는 전선에서 회수한 M10에다 포탑만 바꿔달아 보낼 정도(M36B2)로 인기가 높았다. 심지어 M4 셔먼의 차체에 M36의 포탑을 얹은 급조모델 M36B1도 존재한다. 덕분에 미국제 차량답지 않게 생산수량이 세밀하게 파악되지 않는다. 워낙 수요가 다급해서 중구난방으로 손에 잡히는대로 개조작업이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나중에는 전선에서 회수한 M10에다 포탑만 바꿔달아 보낼 정도(M36B2)로 인기가 높았다. 심지어 M4 셔먼의 차체에 M36의 포탑을 얹은 급조모델 M36B1도 존재한다. 덕분에 미국제 차량답지 않게 생산수량이 세밀하게 파악되지 않는다. 워낙 수요가 다급해서 중구난방으로 손에 잡히는대로 개조작업이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사진의 전차가 셔먼의 차대에 포탑을 얹은 M36B1 형이다 ]

 

 

 



또한 이 주포는 나중에 M26 퍼싱에도 장착되어 독일 전차 때려 잡기에 앞장서게 된다. 다 때려잡힌 다음에

4. 전후

원 운용제대인 TD대대는 1946년에 편제 자체가 사라졌지만 6.25 전쟁까지도 미군이 당시 운용하던 대전차화력으로서는 최강급이었기 때문에 보관처리된 차량이 많아서 사실상 현역에 준한 치장장비였으며, 아울러 상당수는 주변국에 공여되어 오랫동안 사용되기도 했기 때문에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상당수가 투입되기도 했다.

 

 

 

[원 운용제대인 TD대대는 1946년에 편제 자체가 사라졌지만 6.25 전쟁까지도 미군이 당시 운용하던 대전차화력으로서는 최강급이었기 때문에 보관처리된 차량이 많아서 사실상 현역에 준한 치장장비였으며, 아울러 상당수는 주변국에 공여되어 오랫동안 사용되기도 했기 때문에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상당수가 투입되기도 했다. 사진은 대만군으로 사용되던 모델]

 

 

 

 

 



4.1. 대한민국

당시 국군의 기갑장비는 정찰 장갑차M8 그레이하운드밖에 없었으므로 1950년 11월 29일 경남 동래에 위치한 육군종합학교에 전차과를 설치하게 됐다. 이때 미군으로부터 교육용으로 전차를 도입했다. 바로 M36 경전차 6대가 그것으로 우리 군이 보유하게 된 최초의 전차들이다. 1951년 10월5일에는 최초의 전차부대인 51, 52전차중대가 창설했으며 소년전차병을 주축으로 북진해 나갔다.

 

 

 

 

 

[1950년 북한의 침공으로 시작된 한국전쟁 당시 국군의 기갑장비는 정찰 장갑차M8 그레이하운드밖에 없었으므로 1950년 11월 29일 경남 동래에 위치한 육군종합학교에 전차과를 설치하게 됐다. 이때 미군으로부터 교육용으로 전차를 도입했다. 바로 M36 경전차 6대가 그것으로 우리 군이 보유하게 된 최초의 전차들이다. 1951년 10월5일에는 최초의 전차부대인 51, 52전차중대가 창설했으며 소년전차병을 주축으로 북진해 나갔다. 물론 M36은 본격적인 전차는 아니어서 사실상 경전차 취급을 받았지만 전차가 아쉬웠던 우리 육군 입장에서는 소중한 존재였다. 게다가 화력만큼은 당시 미국의 주력전차인 M46 패튼과 사실상 동일했으며, 구경도 90mm라 지원포격용으로도 쓸만했다]



물론 M36은 본격적인 전차는 아니어서 사실상 경전차 취급을 받았지만 전차가 아쉬웠던 우리 육군 입장에서는 소중한 존재였다. 게다가 화력만큼은 당시 미국의 주력전차인 M46 패튼과 사실상 동일했으며, 구경도 90mm라 지원포격용으로도 쓸만했다. 1953년 1월부터 정전 때까지 53전차중대 3소대장으로 M36 경전차를 몰고 전장을 누빈 김봉기(金鳳起·75·갑종24기)예비역 대령은 “보병을 지원하기 위해 우렁찬 굉음을 울리며 M36 경전차를 몰고 가서 90mm 주포를 사격하면 보병들의 사기가 오르는 것이 눈에 보일 정도였다.”고 회상했다.

 

 

 

[한국전쟁 당시 북한이 장비한 T-34 들은 사진의 M46 패튼전차나 M26 퍼싱전차들이 상대해서 한국군이 장비한 M36 잭슨이 대전차 임무에 나설일은 없었다 하지만 보병의 지원용으로 한국군 최초의 기갑차량인 M36은 활약은 대단했다고 한다.  1953년 1월부터 정전 때까지 53전차중대 3소대장으로 M36 경전차를 몰고 전장을 누빈 김봉기(金鳳起·75·갑종24기)예비역 대령은 “보병을 지원하기 위해 우렁찬 굉음을 울리며 M36 경전차를 몰고 가서 90mm 주포를 사격하면 보병들의 사기가 오르는 것이 눈에 보일 정도였다.”고 회상했다. 사진은 한국전쟁 당시 사용된 M46 패튼전차의 모습]

 

 



그는 “당시 M36 경전차는 주로 소대급 단위(전차 5대로 구성)로 실전에 투입돼 주로 보병의 돌격전에 기동간 화력지원을 하는 형태로 운용됐을 뿐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유럽과 같이 대규모 전차전을 벌인 사례는 없다”고 설명했다. 이미 북한의 주요 전차인 T-34/85는 퍼싱과 이지에잇, M46 패튼한테 다 갈갈갈 갈려나갔다.

한국 육군에서는 1959년 퇴역했으며 이후 상당 기간 전방 지역 고지에서 고정포로 운용됐다. 현재는 서울 용산의 전쟁기념관이나 상무대에 위치한 육군기계화학교에 실물이 전시되어 있다.

4.2. 기타 국가

이외에도 베트남 전쟁 초기에도 프랑스군에 의해 사용되었으며, 심지어 유고슬라비아에도 공여되어 소련의 500마력 엔진으로 개수된 다음 유고슬라비아 내전 및 코소보 사태에서도 모습을 드러냈다.

 

 

 


[이외에도 베트남 전쟁 초기에도 프랑스군에 의해 사용되었으며, 심지어 유고슬라비아에도 공여되어 소련의 500마력 엔진으로 개수된 다음 유고슬라비아 내전 및 코소보 사태에서도 모습을 드러냈다. 사진은 유고슬라비아 소속의 M36 의 모습 60여년전 모델이 현재에도 사용된다가는게 놀라울뿐.. ] 

여담이지만 M36은 영국군에 공여되지 않았기 때문에 애칭인 잭슨은 영국군이 붙인 것이 아니라 미군 병사들이 붙인 것으로 이외에도 강타자라는 뜻인 "슬러거"라는 애칭도 있었다고 한다.

5. 기타 매체에서의 등장

5.1. 월드 오브 탱크

미국 진영으로 나오며 6티어 목고자 라인 구축전차이지만 5티어인 울버린과 함께 목고자 라인에서 포탑을 가지고 돌릴 수 있는 둘 뿐인 전차다.

 

 

 

 

[전차 게임으로 유명한 월드오브탱크에서도 미국 진영으로 나오며 6티어 목고자 라인 구축전차이지만 5티어인 울버린과 함께 목고자 라인에서 포탑을 가지고 돌릴 수 있는 둘 뿐인 전차다.]


현가장치를 업그레이드 안해도 최종포를 달 수 있는 미국 내에서 흔치 않은 장점을 가지고 있고, 하부와 포탑 전면은 꽤나 탄탄하다. 울버린에서 풀업하고 가면 풀업하기도 쉬워 같은 6티어인 M18 헬캣보다 다루기 쉬우면서 풀업하기도 쉽다.

하부가 상당히 단단한 100mm라서 각을 심하게 주면 악명 높은 소련 장포신 122mm나 KV-2의 152mm 똥포 철갑탄도 튕겨내니 상대 봐가면서 낚시를 걸 수 있다. 단, 뚫리면 엔진 피격이다. 그나마 이 녀석은 디젤 판정이라서 똑같은 전면 하단 엔진 판정인 헬캣보다 화재 확률이 적고, 전면에 고폭탄만 맞아도 바로 엔진에 영향이 가는 것과는 달리 잭슨 그나마 일반적인 고폭탄에는 걱정하지 않아도 됀다.

하지만 그 다음 전차인 T25 AT의 경우 목고자인 흔한 구축전차라 다음 티어까지 간다면 적응하기가 쉽지않다.

울버린에서 티어업하는 것 외에도, 6티어 중형전차 이지에잇에서도 올라올 수 있다.[1] 이 경우 잭슨이 아무런 업그레이드도 안되어 있어 빌빌거리며 승무원 변환 효율도 안좋으니 울버린에서 가는게 정신건강에 이롭다.

미국 중형 전차에겐 7, 8티어 엔진이 모든 미국 7티어 구축전차와 밀접한데, 6티어 이지에잇 이후의 중형전차 라인에서 7티어 T20의 최종 엔진이 7티어 구축전차의 최초 엔진이며 최종 엔진은 8티어 M26 퍼싱의 최종 엔진임과 동시에 9티어 M46 패튼의 중간 엔진을 차지한다.

M26 퍼싱의 경우 스톡 엔진이 고증보다 20 높은 520밖에 안해서 704 마력을 지닌 T25 AT의 엔진을 달면 그나마 스톡 지옥을 헤쳐나오기가 편하다. 느끼고 싶다면 고증인 500 마력에 증축 장갑으로 더 느려진 슈퍼 퍼싱 사서 돌려보던가


5.2. 워게임: 레드 드래곤

70~90년대까지의 현대전을 다루는 게임인만큼 주력 전차는 아니지만, 차량으로 등장한다. 그런데 문제는 59년에 모두 퇴역된 전차가 이 시대까지 한국군 소속으로 등장한다.

5.3.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

서부전선 확장팩에서 미군 구축전차로 등장한다. 구축전차 답게 우월한 사거리인데 포탑이 돌아가는게 특징. 기동성도 좋아 목고자로 구축을 해야하는 다른 진영으로서는 부러운 전차다. 다만 동축기관총이 없고 대보병 명중률이 엄청 낮기 때문에 휴대용 대전차 화기를 지닌 보병을 상대하기 매우 매우 버겁다.또한 심히 물장이고 이 물장을 기동력으로 대충 피해보라는 컨셉이기 때문에 사거리와 기동을 이용한 하드한 컨드롤이 요구된다. 저번패치때 Hold Fire가 생겼으니 괜히 10발쏴서 한발 맞출까 말까한 땅깨들이랑 쏘지말고 대전차 라는 임무나 제대로 수행하자)

 

 

 


----
  • [1] 역으로 잭슨을 못 뚫으면 이지에잇을 정예로 만들지 못해서 승무원 급속 훈련이나, 자경변환 경험치를 쌓지 못한다.

출처 리그베다 위키 (http://rigvedawiki.net/r1/wiki.php/M36%20%EC%9E%AD%EC%8A%A8)

 

 

 

 

* Wrighten By Mirageknight (2014.10.30 Ver 1.0) *

(본 게시물의 권리는 미라지콤프(www.compmania.co.kr) 에 있습니다.)

본 게시물의 상업적 이용과 무단게재를 엄격히 금합니다. 게재를 원할시는

King331@hanmail.net 으로 메일 주시길 바랍니다. 단 개인적 사용하시는건 마음껏 퍼가

셔도 됩니다. 다만 출처는 꼭 밝혀주시길… 틀린내용이나 수정부분의 대한 지적은 언제

나 환영 합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ekeikgi [정영민] | 작성시간 14.11.02 용산 전쟁박물관에 실물이 전시되었던것으로 기억됨니다~ 생각보다 크더라구요~
  • 답댓글 작성자mirageknight [왕성국]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14.11.02 그런가여? 애들 데리고 보러가야겠네요..
  • 작성자ekeikgi [정영민] | 작성시간 14.11.02 m10 하고 나란히 전시되어있던것 같아요, 입장료도 무료니 볼게 많아요
댓글 전체보기

Ⅱ 정보 & 자료실 다른글

현재페이지 1234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