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직류-급행특급][특급형] 287계(특급 코우노토리, 쿠로시오) - JR서일본

작성자787-ARIAKE|작성시간14.04.22|조회수2,539 댓글 0


287계 편성DB 보러가기

- 287계 FA/FC 편성(3,4량/후쿠치야마전차구/키타긴키지역)

- 287계 HC 편성(6,3량/히네노전차구/쿠로시오)



1. 키타긴키의 원동력 키타긴키 빅X네트워크.

 JR서일본의 관서권 지역 열차 운용망의 두 큰 축으로서 교토-오사카-고베권의 "어반 네트워크"와 함께 교토-후쿠치야마-톳토리간의 산인본선축과 오사카-후쿠치야마-아마노하시다테간의 X형태의 노선망을 "키타긴키 빅X네트워크"로 칭하여 이 지역에서의 열차운용을 집약하고 있다. 그 중 키타긴키 빅X네트워크는 산인본선 교토-키노사키온천까지의 185km구간과 키타긴키탱고철도 미야후쿠선과 미야즈선의 전철화로 후쿠치야마를 중심으로 한 후쿠치야마선, 산인본선, 키타킨키탱고철도 구간을 합쳐 이 구간의 특급열차망을 1996년부터 싹 정비하여 운용을 통합하고 차량을 일신하여 지금의 형태를 이루게 되었다. 현재 이 키타긴키 빅X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특급열차는 오사카-도요오카/키노사키온천간의 "코우노토리"(구 키타긴키), 교토-키노사키온천간의 "키노사키", 교토-아마노하시다테 간의 "하시다테", 교토-히가시마이즈루간의 "마이즈루", 여기에 반탄선을 경유하는 "하마카제" 등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본래 183계 전동차와 키타긴키탱고철도의 KTR8000형 디젤동차 "탱고익스플로러", "하마카제"는 키하 181계(2010년 키하 189계로 대체) 등이 투입되었는데 이 중 183계의 경우 노후된 차들이 많았기 때문에 2011년부터 신형 전동차인 287계가 투입되었다.


- 키타긴키 빅X네트워크의 개략도. 후쿠치야마역 동일홈 환승이나 승차권 연계 등 다양한 연계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2. "밥통형" 선두부로 대세가 다시 돌아온 시점

 287계는 기존 특급형 전동차들이 가진 "파노라마"형 선두부 대신 밥통처럼 커다랗고 높은 선두부에 운전실을 고상위치에 배치했다. 기존 683계 4000번대부터 유선형 선두차 대신 이렇게 높은 고상형 선두차를 채택한데에는 후쿠치야마 탈선사고 등 충돌사고등에 대해 운전사를 충분히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1980년대 까지의 183계 등의 "밥통" 선두차로 다시 돌아오게 된 셈이었다. 차체는 알루미늄 더블스킨으로 제작되었으며 683계 4000번대와 같이 차체강성을 높인 설계로 되어있다. 

 제어기기와 유닛 구성 또한 기존 321계와 동일한 형태로 되어있다. 1C2M의 인버터와 보조전원장치가 일체화된 차량제어장치를 모든 차량에 장착한 전 동력차(실제 MT비 1:1) 구조로 되어있으며 마찬가지로 보조전원장치 고장시 주인버터 한쪽이 보조전원장치의 역할을 대신하도록 되어있다. 제어시스템은 기존 차량과 같은 TICS가 장치되어 있으며 그외 공기압축기와 팬터그래프, 축전지등이 287형에, 화장실 및 물탱크는 286형에 설치되어 있다. 

대차는 225계의 대차를 베이스로 한 대차를 사용했다. 병행해서 운행되는 283계나 381계와 같은 틸팅대차가 아니기 때문에 곡선통과속도가 빠르진 않지만 차량 성능 자체가 월등하기 때문에 같은 정차역수로 비교해도 약 6~8분정도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 287계도 225계 처럼 싱글암 팬터그래프를 사용하고 있다.




- 287계 키타긴키 지역용은 이렇게 관통문을 사용하지만.




- 키세이반도 버전 287계는 중련시에도 관통문을 사용하지 않는다. 285계도 마찬가지.



3. 683계를 이어받은 준수한 차내설비

 287계는 플래그쉽 차량이 아니기 때문에 준수한 차내설비만을 갖춘 평범한 특급형 전동차이다. 683계의 내장등을 이어받았으며 2+1의 그린샤와 2+2의 보통차로 되어있다. 그린샤는 선두차쪽에 반실 형태로 되어있어 국철 이래 처음으로 "쿠모로하"의 형식명칭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린샤의 전 좌석 팔걸이 아랫쪽에 110V 콘센트가 있어서 노트북이나 핸드폰 충전등을 할 수 있으며 보통차는 맨 앞-뒷쪽의 노트북 테이블이 갖춰진 자리에서 사용할 수 있다. LED로 된 정차역 안내 전광판과 배리어 프리를 위해 휠체어 스페이스와 다목적실이 갖춰져 있다.




- 287계의 출입문. 683계와 똑같다. 




- 코우노토리로 운행되는 287계의 그린샤. 반실구조로서 왼쪽 팔걸이에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다. 




- 287계의 보통차. 그냥 준수하다. 



4. 후쿠치야마를 주름잡는걸로도 모잘라 키세이반도까지.

 287계는 처음 3량과 4량편성으로 나뉘어 후쿠치야마 전차구에 총 46량이 도입되었다. 2011년 3월부터 영업운행을 시작하면서 서서히 183계를 교체해나가기 시작해 2013년 특급 "쿠로시오"에서 넘어온 381계까지 투입되며 183계를 모두 교체하며 키타긴키 빅X네트워크의 주력차량으로 활약하고 있다.

 한편 2012년 3월부터 특급 "쿠로시오"에도 287계가 투입되었다. 기존 쿠로시오와 마찬가지로 6량 본편성과 3량 부속편성으로 총 51량이 도입되었으며 일부 381계를 후쿠치야마로 보내면서 키세이반도의 주력차량이 되었다. 이들 또한 285계와 마찬가지로 해안지대를 운행하는 특성에 따라 쓰나미 대피용 설비가 갖춰져 있다. 




- 도요오카까지 운행되는 특급 "코우노토리" 287계. 마찬가지로 애칭표시기와 행선표시기가 별도로 되어있다. 




-287계 "쿠로시오" 버전. 오션색 줄로 구별이 가능하다. 


- Last Updated : 2014. 4. 24

- 글 : ARIAKE

- 사진 : 본인, 일철연 공동사진DB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