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3계 편성정보 보러가기
313계 0번대 Y편성 (도카이도본선, 오오가키 전차구, 4량)
313계 300번대 Y편성 (도카이도본선, 오오가키 전차구, 2량)
313계 1000번대 B편성 (츄오본선, 진료 전차구, 3/4량)
313계 1300번대 B편성 (츄오본선, 진료 전차구, 2량)
313계 2000번대 T,N,W편성 (도카이도본선 등, 시즈오카 전차구, 2/3량)
313계 3000번대 V편성 (미노부선/고덴바선 원맨, 시즈오카 전차구, 2량)
313계 3000번대 R100편성 (이이다선, 오오가키 전차구, 2량)
313계 5000번대 Y100편성 (도카이도본선, 오오가키 전차구, 6량)
313계 1100, 5300번대 J,Z편성 (도카이도본선, 오오가키 전차구, 2/4량)
313계 8000번대 B200편성 (구 센트럴라이너, 진료 전차구, 3량)
1.JR동해의 돈상자가 풀렸다!
1987년 민영화 후 나고야 지역의 수송력을 강화하기 위해 신쾌속 열차를 신설하고 311계 신형 차량을 투입한 JR동해는 1990년대 들어 도카이도신간선 노조미 신설 등 고속철도 운영이 호조를 보이면서 도카이도 신간선 운임수입이 전체 운임수입의 85%를 차지하는 상황이었다. 이렇게 풍부해진 자금력을 바탕으로 JR동해 관내 기존선의 노후차량 교체를 위해 311계를 제작한 10년 뒤인 1998년부터 신형 전동차 313계를 제작해 투입했다. 313계는 1998~1999년 2년간 182량의 물량이 생산되고 2014년까지 계속 제작된 차량으로서 JR동해의 월등한 자금력을 보여주었다.
2. 근교형 차량으로서는 충분한 성능
기존 JR동해가 제작했던 211계, 311계등은 모두 쵸퍼제어 차량이었고 373, 383계등은 GTO인버터를 사용했으나 313계에서는 본격적으로 IGBT제어의 VVVF인버터를 채용했다. 기본적으로 1개의 제어기기가 2개의 전동기를 제어하는 1C2M제어를 채택했다. 따라서 3량편성의 경우 중간 동력차 한량은 전동기를 한쪽 대차에만 탑재해 1.5M1.5T의 MT비를 구성하는것도 가능해졌다. 대차는 JR동해가 표준적으로 사용하는 원추고무스프링식의 볼스터리스 대차를 채용했으며 120km/h운행을 위해 요댐퍼도 장착했다. 기본적으로 억속제동이 들어있지만 운행밀도가 낮은 이이다선이나 시즈오카 지역에 투입되는 차량에는 회생실효를 대비한 브레이크쵸퍼 기능을 추가했으며 수요에 따라 병결운행이 많은 운용 특성을 반영해 전공일체식 밀착연결기를 장착하고 311계,211계등의 쵸퍼제어 차량과 연결했을때 견인력 셋팅을 쵸퍼제어 차량에 맞춰주는 기능이 갖춰져 있다. 최근 전동차들의 추세에 맞춰 전동차의 제어는 TIS컴퓨터에 의해 일괄 제어되며 2006년 투입분 부터는 10Mbps급의 통신기능으로 업그레이드되어 TIMS만큼의 기능은 아니지만 꽤 다양한 제어능력을 가지게 되었다.
- 313계의 제어기기. 도시바의 IGBT 인버터로서 1C2M으로 강력한 성능을 자랑한다.
- 313계의 제어대. JR동일본 차량과 마찬가지로 왼손잡이식 원핸들 마스콘이 채용되었다.
- 313계는 211계 등 다른 차량과의 병결운행이 가능하다. 보통 211계에 화장실이 없기 때문에 211계와의 병결은 필수조건에 가깝다.
3. 오오가키에서 이이다선 산골까지 다양한 접수대와 차량구성
313계는 나고야 중심의 근교급행부터 이이다선의 산골짜기 노선까지 다양한 수요처에 대응하고 있다. 도입 시기와 운용 선구에 따라 아래와 같은 복잡한 접수대로 구분하고 있다. 크게 0번대는 도카이도본선(오오가키), 1000번대는 츄오본선(진료), 2000번대는 시즈오카 지역, 3000번대는 원맨전용 차량 정도로 구분되며 후기형으로 도입된 6량짜리 5000번대와 초기 "센트럴 라이너"로 도입된 8000번대가 있다.
- 초기 도입분
초기 도입분은 1998년 최초도입부터 2001년까지 도입된 초기형 차량으로서 구분 포인트는 행선표시기가 필름(롤지)로 되어있으며 일반 전조등으로 되어있다는 점이다.
0번대, 300번대(Y편성) : 오오가키 전차구 소속으로 4량편성이 0번대, 2량편성이 300번대를 부여받았으며 실내는 전환식 크로스시트로 되어있다. 초기에는 도카이도본선 쾌속계를 주름잡았지만 5000번대의 도입으로 밀려나 도카이도본선의 보통열차로 폭넓게 운용되고 있다. 300번대는 증결용 차량으로 운용되거나 이이다선에 팔려가 119계를 밀어내고 로컬열차로 활약하고 있다.
1000번대, 1500번대(B편성) : 진료전차구 소속으로 4량편성이 1000번대, 3량편성이 1500번대이다. 0번대와 마찬가지로 전환식 크로스시트로 되어있으며 츄오본선 나고야-나카츠카와 구간을 주력으로 간사이본선 나고야-카메야마 구간이나 아이치환상철도 구간에도 직통운행 하고있다.
3000번대(V, R편성) : 시즈오카(V)와 오오가키(R) 전차구에 배치된 2량편성의 1인승무 대응용 차량으로 세미크로스시트로 되어있으며 한적한 구간을 운행하는 특성을 반영해 발전제동 기능(브레이크쵸퍼)을 추가했다. 시즈오카 지구의 차량은 주로 고덴바선, 미노부선에서 운용되어 그곳에 있던 123계나 165계등을 모두 퇴출시키는데 앞장섰다. 오오가키 전차구 소속의 차량은 본래 진료전차구에서 츄오본선 나카츠카와-마츠모토 구간이나 간사이본선 구간에서 운용됐으나 1300번대의 투입으로 오오가키로 이적해 이이다선과 도카이도본선 미노아카사카 지선 열차로 운용되고 있다.
8000번대 : "센트럴 라이너"용으로 도입된 차량으로서 유일하게 130km/h까지 낼 수 있다. 센트럴 라이너가 폐지된 현재는 도카이도본선 쾌속, 보통열차로 충당되고 있다.
- 313계 초기형. 행선표시기가 기존 필름롤지 식으로 되어있다.
- 간사이본선에 운행중인 313계 3000번대 편성에 따라 1인승무 대응용 차량도 갖춰졌다.
- 2006년 도입분
2006년에 도입된 차량들로서 초기형보다 많은 부분이 개량되어 장족의 발전을 이룩했다. 구별 포인트는 풀컬러 LED를 사용한 행선표시기와 HID로 된 헤드라이트이며 장애인 대응 화장실을 갖추고 공기압축기를 2대로 나누어 장착하는 한편 완전전기제동 사용이 가능해졌다.
1100번대, 1600번대, 1700번대 : 진료전차구 소속 차량들로서 1000번대, 1500번대에 대한 증비차로 도입되었다. 1700번대는 3량 편성으로 이이다선과 시오지리-나가노까지 운행하는 쾌속 "미스즈"용으로 운용되고 있으며 한랭지 운용 대응과 발전제동, 급구배에 대응하기 위한 세라믹 분사장치등을 갖추고 있다.
2000번대 : 시즈오카 지구에 대량으로 도입된 차량들로서 3량짜리 2500번대, 발전제동 기능이 있는 2300번대와 2량짜리 2600번대로 구성되어 있다. 모두 롱시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즈오카 지역과 고덴바선, 미노부선 등에서 운용되고 있다.
3100번대 : 3000번대의 증비차로 고덴바선, 미노부선 1인승무 열차로 운용되고 있다.
5000번대 : 도카이도본선에 운용되는 첫 6량편성 차량으로 신간선에서나 사용되는 세미액티브서스펜션, 차량간 댐퍼등을 장착해 철도팬들을 놀라게 했다. 물론 신쾌속 열차와 같은 쾌속열차에 집중 운용되어 메이테츠와의 경쟁을 벌이고 있다.
- 313계 5000번대. 이것이 바로 메이테츠와의 경쟁을 위한 최종병기!
- 313계 5000번대를 상징하는 차량간 댐퍼와 대차 옆에 붙어있는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의 제어함. 주가가 주당 100만원을 오가는 JR동해이기에 가능하다.
- 313계 2500번대는 시즈오카 지역의 대표 차량이 되었다.
- 2010년 도입분
117계나 211계 국철시절 차량과 같은 구형차량을 모두 대체하기 위해 2010년부터 2012년까지 투입한 313계는 기존 2006년 도입분과는 큰 차이는 없다.
1300번대 : 2량편성 1인승무 대응 차량으로 진료전차구와 오오가키전차구에 배치되어 각 로컬구간에서 운용되고 있다.
5300번대 : 기존 5000번대의 증비차와 더불어 2량 증결용 차량으로서 도입되었다. 5300번대는 차량간 댐퍼가 설치되어있지 않은것이 특징.
- 313계 후기형 차량인 1300번대. 큰 특징은 없다. 2량편성의 경우 한량에 팬터그래프 2개가 설치되며 모두 사용한다.
- 최근에 제작된 313계 1300번대는 운임 표시판이 LCD 모니터화 되었다.
4. 나고야를 주름잡는 도카이도본선/츄오본선의 313계
나고야를 중심으로한 도카이도본선 마이바라-도요하시 구간, 츄오본선 나고야-나카츠카와 구간, 간사이본선 나고야-카메야마까지의 구간에서 기존 113계등을 몰아내고 주력 차량으로 운용중인 313계는 신쾌속과 같은 쾌속열차는 물론이고 보통열차까지 넓은 범위에서 활약하고 있다. 211계가 120km/h에 대응하면서 부터는 311계나 211계와도 병결되어 운용되고 있다. 2006년부터 도입된 5000번대의 경우 신쾌속, 쾌속열차에 집중 투입되어 메이테츠와 경쟁에서 밀리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기도 하다.
- 신쾌속으로 운용중인 313계 0번대.
- LED 안내기는 문 위에 설치되어 있어 간단한 정보만을 표출한다.
- 313계는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다. 211계 일부 편성에 화장실이 없어 이 차량들은 대부분 313계와 병결 운행을 한다.
- 도카이도본선, 츄오본선등에 운용중인 313계는 이렇게 전환식 크로스시트를 채용했다. 223계등 타회사 주력차량과 비교해도 준수한 편.
5. 장거리 여행자의 주적(?) 시즈오카 지구의 313계
시즈오카 지역 또한 211계와 더불어 313계가 대량으로 투입되었다. 초기 3000번대는 크로스시트지만 후기에 도입된 2000번대는 모두 롱시트로 이곳에서 운용되는 211계 또한 대부분이 롱시트기 때문에 청춘18 티켓을 가지고 장거리를 여행하는 철도팬들에게 시즈오카 지구는 적은 열차수와 장거리 여행에 불편한 롱시트로 악명(?)을 떨치고 있다.
- 보기만 해도 허리가 아파온다! 313계 시즈오카 지구 차량의 롱시트. 물론 여기는 단거리 이용객이 많고 타사와 경합하는 구간이 아니기 때문에 혼잡해서 롱시트 위주의 운용이 될 수밖에 없다.
6. 이이다선, 미노부선 산골짜기의 313계
313계 중 2량편성 차량은 로컬선에서도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였다. 1인승무 대응으로 제작된 3000번대와 1300번대와 3량편성의 300번대 등이 이이다선, 미노부선, 고덴바선, 도카이도본선 미노아카사카 지선, 간사이본선 등에서 원맨열차로 투입되어 노후화된 123계, 119계, 165계, 115계등의 국철 차량들을 모두 퇴역시켜버렸다.
- 313계 1100번대. 3량편성이기 때문에 차장이 승무한다.
- 3000번대는 원맨 운행이기 때문에 운임함, 운임표시기, 반사경등이 갖춰져 있다.
- 3000번대 등 2량 원맨대응용 차량은 고정식의 세미 크로스시트를 채용했다.
7. 낮에도 운용되었던 거의 유일한 라이너열차 "센트럴 라이너" 8000번대
한편 츄오본선의 고급 수요를 노려 1999년 12월 나고야-나카츠카와간의 쾌속 "센트럴 라이너"를 신설하고 전용 차량인 313계 8000번대를 도입했다. 313계 8000번대는 기존 313계와 차별화를 두기위해 최고속도를 130km/h로 올리는 한편 내장을 고급화 하고 전환식 크로스시트의 시트피치 확대(875mm→910mm), 시트 등받이 길이 증가(+50mm), 연결부 좌석의 컴파트먼트 좌석 설치 등 나름대로의 고급화를 꾀했다. 310엔의 라이너 정리권이 필요하며 정리권 검표를 위해 정차역에서는 일부 출입문만을 개방하여 승객을 취급했다. "센트럴 라이너"는 출퇴근 시간 뿐만 아니라 낮시간대에도 시간당 한편성 정도의 열차가 운용되어 낮시간에도 운용하는 거의 유일한 라이너 열차였는데 130km/h로 달리더라도 소요시간 단축이 거의 없었고, 313계 일반 쾌속열차도 똑같은 전환식 크로스시트였기 때문에 고급화에도 별 메리트가 없었던 이유로 승객수는 그리 많지 않아 결국 2013년 3월 전면 폐지되었다. 폐지된 후 8000번대는 츄오본선 쾌속, 보통열차나 퇴근시간대에 운용되는 "홈라이너 미즈나미"등에 충당되고 있다.
- 센트럴 라이너로 운용되던 당시의 313계 8000번대.
- 라이너 운용시에는 일부 출입문만 개방해 정리권 검사를 한다.
- 간이 데크가 갖춰진 나름 고급화된 실내. 입석용 손잡이가 없다.
- 차량 연결부쪽에는 이렇게 4인 컴파트먼트도 갖췄다.
8. 나도 있다! 아이치환상철도용 차량.
JR동해 일부구간과 직통운행을 하는 아이치환상철도에도 2002년 313계 300번대를 베이스로 한 2000계 차량을 도입하였다. 세미 크로스시트를 기본으로 하며 일부 롱시트전용 차량과 이벤트 행사용으로 사용되는 차량이 존재한다. 총 20편성 40량이 도입되어 기존에 운행되던 100계 차량을 에치젠 철도에 양도하였다.
- 아이치 환상철도의 2000계. 그냥 313계를 똑같이 들여온 것이다.
- Last Updated : 2014. 7. 7
- 글 : 송승학(부운영자,787-ARIAKE)
- 사진 : 본인, 김성수, CASSIOPEIA님, 일철연 공동사진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