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자동차 전문지식

트립 컴퓨터(Trip Computer)

작성자Корея|작성시간13.05.23|조회수408 목록 댓글 1

트립 컴퓨터(Trip Computer)는 엔진이 가동 되면 연료탱크 내의 연료센더(포텐셔미터)의 위치와 연료압력센서(유증기에 의한

탱크내의 압력 측정)신호 외에 또 다른 몇가지의 관련 신호를 더 받아 공회전수와 구동시간에 따라 소모된 연료량 정보를 트립컴퓨터에서 연산하여 잔량과 출발 시점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주행 적산 거리와 평균 속도, 주행 시간, 평균 외기 온도 등을 주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LCD 표시창을 통해 운전자에게 알려 주는 차량 정보 시스템을 말합니다.
차가 움직이게 되면 바퀴가 회전하고 차속센서의 신호가 입력이 되며, RPM의 변화가 생기고 트립컴퓨터는 계속 연료량과 주행가능거리등 주행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연산하게 됩니다.
그러나 CNG 개조차와 같이 전혀 다른 저장용기에서 다른 연료를 사용함으로써, 가솔린 연료탱크 내에 실제로 주행하여 소모되었을 연료량과 현재 잔량이 맞지 않아 트립 컴퓨터의 오류가 생깁니다. 증세로는 연료센더 고장이란 고장코드가 뜨게 되고, 트립 컴퓨터의 오작동이 생기며, 연료 잔량이 맞지 않고, 주행 가능한 연료량이 맞지 않는 현상등이 생깁니다.
그리고 연료압력센서가 있는 이유는 탱크에 연료량의 많고 적음에 따라 유증기의 발생량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예측하여 온도에 따른 탱크내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남은 연료량을 예측 보정하고 퍼지컨트롤솔레노이드밸브(PCSV)의 작동시점,시간결정등의 정보로 활용됩니다.
그리고 또하나의 역할은 연료주입구 켑의 불량이나 고장,분실에 의해 탱크내의 유증기(증발가스:HC)가 대기중으로 직접 날아가게 되면 대기오염의 요소중 하나인 탄화수소(HC)가 직접 방출되는 것과도 같아서 OBD2기능중의 하나로 엔진체크등이 점등되어 운전자에게 알리도록 되어 있습니다.
연료탱크 내에 과도한 연료가스가 차면 이것이 대기중으로 방출하게 되면 결국 유해가스(HC)로서 환경공해가 됩니다.
그러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료탱크 내의 연료(증발)가스를 "캐니스터"라는 곳에 일시 저장 하였다가 엔진이 작동이되면 엔진의 작동에 무리가 없는 범위내에서 소모되도록 합니다.
이때 캐니스터에 저장된 연료(증발)가스가 엔진에서 연소될 수 있도록 통로 역할을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있는데 이를 캐니스터솔레노이드밸브라 하며 일명 퍼지컨트롤솔레노이드밸브(PCSV)라고 합니다. 이 밸브를 ECU가 제어를 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CNG로만 주행 하여도 아주 미소한 양이지만 휘발유가 줄어들게 되는 것은 엔진제어 시스템상 불가피(不可避)한 현상입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Toney | 작성시간 13.05.23 깔끔한 설명입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