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자동차 전문지식

조기점화(Preignition)

작성자Корея|작성시간13.05.27|조회수1,145 목록 댓글 0

비정상적인 연소의 하나로, 압축 행정 말기에 전기 스파크에 의해 점화가 되어야 하는데 연소실에 카본, 탄소등의 누적 생성으로 인한 카본등의 과열로 불씨가 되었을때 또는 피스톤 상단부나 연소실 내부에 뾰족한 돌기가 형성 되었을때 조기 점화의 원인이 됩니다.
다른 본질적인 원인 하나로는 연소실의 카본 누적은 연소실의 체적의 감소라고 할수 있으며, 연소실의 체적 감소는 압축비의 상승 이라고도 말할 수 있습니다.
같은 맥락으로 연소실에 터보로 단순히 과급압을 높이면 점화시기를 늦추어야 합니다.
이유는 공기는 압축하면 공기 입자가 서로 충돌하여 에너지(열)가 생깁니다.
이것을 압력이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즉 온도가 상승 한다는 말입니다.
고압축이 될수록 고열이 되므로 혼합기는 자연히 온도가 상승하여 불이 붙기 쉽게 됩니다.
이와 같은 연소실에 보통의 점화시기로 불꽃을 튀겨주면 플러그 주변에서 불이 붙은 혼합기의 압력으로 나머지 혼합기는 점점 압축되어 더욱 고온이 되어 결국에는 자연발화가 됩니다.
이렇게 되면 실린더내의 혼합기는 한꺼번에 폭발적으로 연소하기 시작하여 압력과 연소온도가 급격하게 굉장히 높아지는 이상연소상태가 됩니다.
이것을 노킹 또는 디토네이션(폭발적인 연소)이라고 말하는 것으로 점화시기를 과진각시켰을 때도 같은 상태가 일어 납니다.
한마디로 정리 하자면, 조기점화란... 연소실의 과열로 인하여 혼합 가스가 자연 발화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