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북한사회의 실상

북한 식량문제와 식량분배 시스템, 북한 시장들

작성자정론직필|작성시간12.06.11|조회수1,338 목록 댓글 5

(정보자료 및 참고자료 차원에서 아래 내용을 발췌하여 올립니다.)


특별보고서


WFP  /  FAO /  UNICEF


북한 식량안보 실태 조사 긴급보고서

2011.  3.  24











http://ko.wfp.org/sites/default/files/korean_rfsa.pdf

=======================


2011년 05월 06일

WFP, 북한에 16년간 430만t 지원


북한은 1990년대 중반 이래 매년 국제사회의 식량지원에 의존해왔습니다. 북한에 지금까지 가장 많은 식량을 전달한 단체가 유엔 산하 세계식량계획 WFP인데요. 오늘은 WFP가 지난 16년 동안 북한에서 어떤 활동을 펼쳐왔고 향후 전망은 어떤지 조은정 기자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문) 조은정 기자. 대북 식량지원과 관련해서 대표적으로 떠오르는 단체가 세계식량계획 WFP인데요. WFP는 어떤 단체입니까?


답) WFP는 북한을 비롯한 세계 각국이 회원국으로 있는 유엔의 산하 기구로 1961년에 창설됐습니다. 기아 퇴치와 관련해서는 세계에서 가장 큰 조직인데요. 지난해에는 75개 국의 1억 9백2십만 명의 굶주린 사람들에게 식량을 제공했습니다. 전 세계 굶주리는 사람 9 명 중의 1명이 WFP가 지원하는 식량을 먹은 것입니다. 올해 예산만 해도 50억 달러가 넘고요. WFP는 주로 전쟁과 내전, 자연재해가 일어난 곳에서 활동합니다. 


문) 가장 많은 지원을 받고 있는 국가는 어디인가요?


답) 예. 2000년대 중반부터 현재까지 아프리카 수단이 가장 많은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내전으로 많은 난민들이 발생해 식량 위기가 심각한 상황인데요 올해 WFP는 680만 명의 수단 주민들에게 6억 8천만 달러 상당의 식량을 전달할 계획입니다. 


문) 북한도 상당한 지원을 받고 있죠?


답) 예. 1995년부터 2005년까지 WFP가 가장 많은 지원을 한 나라는 바로 북한입니다. WFP가 1995년부터 지금까지 북한에 전달한 식량은 4백30만 t에 달하는데요, 북한 인구 전체가 일년 동안 필요로 하는 식량보다도 조금 많은 수준입니다.     


문) 1995년은 북한에서 사상 최악의 대홍수가 일어난 해이죠?


답) 예. 이때 북한 인구 4명 중 한 명이 홍수로 집을 잃고, 국가기능이 마비됐으며 최악의 식량난이 닥쳤습니다.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식량지원은 시작된 해인데요. WFP도 북한 당국의 지원 요청을 받고 수재민 50만 명에게 3개월간 식량을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문) 이듬해에도 북한에서 대규모 자연재해는 계속되지 않았습니까? ‘고난의 행군’이라고 불리는 기간으로 굶어 죽는 사람이 대거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답) 예. 1996년에도 또 대규모 홍수가 발생하고, 1997년에는 가뭄이 들고 태풍 피해를 입으면서 북한의 식량 사정은 갈수록 악화됐고, WFP의 대북 지원 규모는 계속 확대됐습니다. 2001년에 WFP의 지원 규모가 사상 최대 수준인 90만t을 기록했습니다. 그런데 이듬해 규모가 40만t으로 대폭 줄었습니다. 


문) 식량 사정이 개선이 됐나 보죠?


답) 국제사회의 지원이 크게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WFP는 북한에서 사업을 시작한 이래 2002년에 처음으로 보유 식량이 떨어져서 지역에 따라 분배를 일시 중단하게 됩니다. 북한에 대한 긴급지원이 7년째에 접어들면서 각국이 ‘기부자 피로증’을 느끼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또 핵과 미사일 개발을 계속하는 북한 정권에 대한 불만도 있었고, 분배 감시에 대한 북한 당국의 제한도 악영향을 끼쳤습니다. 


문) 긴급지원으로 시작했는데 벌써 16년째 계속되고 있군요. 지금까지 북한이 WFP 도움으로부터 졸업할 가능성은 전혀 없었나요?


답) 2005년에 한 차례 있었습니다. 북한이 10년 만에 풍작을 거두고 한국으로부터 식량 지원도 대폭 확대된 해인데요. 북한은 이때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에 지원 축소를 요구했는데요. 이때 많은 비정부기구들이 철수했습니다. 하지만 2008년 북한의 식량 위기가 심화되면서 WFP의 지원이 다시 확대됐습니다.  


문) WFP가 지금까지 북한에서 활동하는 동안 가장 큰 어려움은 무엇으로 꼽고 있습니까? 


답) 예. 분배 감시의 투명성 확보도 어렵지만, 무엇보다 심각한 자금난이 WFP의 활동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디아 본 롤 WFP 평양사무소장의 말을 들어보시죠.


본 롤 소장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사람들을 고르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결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애초에 수혜자로 선정된 사람들은 모두 지원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라는 설명입니다. 본 롤 소장은 하지만 자금난을 감안해 어린이들과 산모, 수유모를 최우선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문) 지난 16년간 WFP를 통해 북한에 식량 지원을 가장 많이 한 국가는 어디입니까? 


답) 미국입니다. WFP가 북한에 전달한 식량의 절반 가량을 미국 정부가 지원했는데요. 한국 정부가 그 다음으로 많은 기부를 했습니다. WFP가 내년(2012년) 3월까지 북한에서 대규모 식량지원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는데요, 미국 정부가 지원에 나설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http://www.voanews.com/korean/news/WFP--16-430t---121407444.html

--------------------


WFP "자금부족으로 대북 식량지원 축소"

"임산부와 수유모, 어린이 등 210만 명 지원할 계획"

2012-05-09


세계식량계획이 2011년 북한에 제공한 식량은 8만 3천t으로 당초 계획의 25%에 그쳐 인민학교 어린이들과 노인들에게는 이미 몇 달째 배급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2137733




북한에 들어가 있는 대북식량지원 기구들이 단지 식량만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북한사회의 모든 시스템들을 염탐하는 간첩질도 함께 할 것으로 추측됩니다.


어쩌면 그런 목적이 더 클런지도 모를 일입니다.

그래서인지 북한의 방방곡곡 구석구석까지 돌아다니지요.


세계식량계획(WFP)의 대북식량지원량은....사실은

북미관계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요.


북미관계가 좋으면 대북식량지원량이 대폭 늘어나는 것이고

북미관계가 나빠지면 대폭 줄어듭니다.


한마디로.....WFP의 대북식량지원은

북한의 실제 식량사정에 따른 지원이 아니라는 의미이지요.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정론직필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12.06.11 WFP / FAO / UNICEF 보고서가
    완전히 객관적인 자료라기 보다는.....그들 서양인들의 시각에서
    수집 및 해석된 자료들에 불과하지요.

    따라서....그것들이 진정으로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는
    따로 분석되어야만 할 것입니다.

    예컨데, 탄수화물 류 식사....그것이 서양인들 시각으로는
    영양이 턱없이 부족한 식사로 보이겠지만...그러나 그것은
    한국인들의 전통적 식생활 방식이지요.

    기타, 북한주민들의 대부분은 사실상 국영상점 외의 시장들에는
    거의 의존하고 있지 않음이...위 보고서에서 은근히 밝혀지고 있군요.

  • 답댓글 작성자정론직필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12.06.11 그런데 갑자기 암시장 가격 운운하는데....
    국영상점, 농민들의 직거래 시장(시골장터), 도시 시장(도시 주민들의 직거래 시장) 외에
    또다른 시장이 있다는 말인지....???

    그리고 국영상점 외에는 곡물이 거래되지 않는다는데...
    그동안 찌라시들이 장마당 쌀 가격이 폭등했다느니 뭐라느니
    떠들어 온 것은 또 뭔소리인지....도무지 이해가 안되는군요.

    장마당이.....암시장이라는 의미인 것일까요?
  • 작성자정론직필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12.06.11 2001년에 WFP의 지원 규모가 사상 최대 수준인 90만t
    ----------------

    실로 어마어마한 량인데.....왜 당시 그런 내용은
    찌라시 언론들에 보도가 되지 않았던 것일까요?
  • 작성자知天命 | 작성시간 12.06.11 무슨 대가였을까요?
    2001년이전 사건들을 조사해봐야겠내요~
  • 작성자서흥남 | 작성시간 12.06.11 쩝~
댓글 전체보기

북한사회의 실상 다른글

현재페이지 1234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