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시사야 놀자~~~

[[펌 글]][북현대사] 우리의 또 한 형제, 재일동포의 역사

작성자미네르바|작성시간22.11.02|조회수37 목록 댓글 0

[북현대사] 우리의 또 한 형제, 재일동포의 역사


조국 땅 밖에 살면서도 우리 민족의 현대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이들이 있다. 바로 재일동포들이다. 이들은 남북의 민중 못지않게 우리 민족 근현대사의 비극과 풍랑을 겪어왔다. 식민지 시기 일제의 착취와 만행으로 고국을 떠나야 했는데 일본에서도 갖은 탄압과 차별에 시달려야 했다.

현재도 재일동포들은 일본 사회에서 소수자로서 각종 차별(조선학교 고교 무상화 배제, 지자체 보조금 정지 등)과 증오범죄(이른바 ‘헤이트스피치’)를 겪고 있다. 동포단체들도 고국의 분단과 냉전 대결의 영향으로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와 재일본대한민국민단(약칭 민단)으로 갈려 있다. 식민지배~분단체제의 비극은 동포사회에서도 현재진행형이다. 이런 어려운 상황에서도 재일동포들은 조선학교에서 민족교육을 통해 민족의 정체성과 문화를 오랫동안 지키고 계승해오고 있으며, 고국의 식민지배-분단 현실을 외면하지 않고 민족의 자주독립을 위해 싸워 왔으며, 현재도 고국의 통일운동에 연대하고 투쟁해 오고 있다.

재일동포와 관련해 많은 연구와 대중서들이 나와 있고, 그 역사도 방대하다. 또 <박치기(パッチギ!)>(井筒和幸, 2004), <우리 학교>(김명준, 2006), <60만 번의 트라이>(김명준, 2014), <그라운드의 이방인>(김명준, 2012), <나는 조선사람입니다(私はチョソンサラムです)>(김철민, 2020) 등 재일동포의 삶과 역사를 영화화한 작품도 여럿 소개돼있다.

여기선 통일지향적 관점에서 재일동포의 역사를 간략하게 다루려는데, 특히 북과 긴밀한 재일본조선인총연합(재일총련)의 역사와 조선학교로 대표되는 민족교육, 그리고 왜 동포사회가 북에 대해 각별히 생각하는지를 살피려 한다.

 

1)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재일총련)의 결성과 북의 지원


1945년 해방의 기쁨을 맞으며 재일동포들(1945년 당시 약 236만 명)은 ‘재일본조선인연맹(在日本朝鮮人聯盟, 약칭 조련)’을 결성하고 고국에서 새 조국 건설, 고국으로의 귀환, 일본에서의 생활보장과 민족교육 등을 추진하였다. 하지만 전후 일본을 점령한 미연합군사령부(GHQ)와 일본 당국의 탄압과 방해, 고국의 남북분단 등 어려운 상황이 겹치며 조련은 1949년 9월8일 강제 해산 당한다.

미군과 일본 당국의 탄압 속에서도 재일동포들은 조직을 보존·재건하고자 투쟁하였고, 1951년 1월8일 재일본조선민주통일전선(在日本朝鮮民主統一戰線, 약칭 ‘민전’)을 결성하였다. 그러나 민전 역시 민족허무주의, 교조주의, 사대주의, 좌경모험주의 등의 폐해로 적잖은 어려움을 겪었고, 일본 당국의 탄압과 일본 사회 내 고립까지 겹쳐 위기에 빠진다.

1950년대 말 재일동포들의 어려운 상황에 대해 북은 전쟁 때와 전후복구 와중에도 지지와 연대를 보냈다. 전쟁이 한창이던 1952년 12월 김일성 수상은 방북한 재일동포 연락원과 회담을 갖고 재일동포운동에서 주제적 노선과 방침을 제시하였다. 북의 재일동포운동에 대한 노선 제시와 지원에 힘입어 한덕수(총련 초대 의장) 등 재일동포 활동가들은 기존의 민전을 개혁하고 주체적 노선과 통일전선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동포조직을 세우려 했다. 북의 지원과 재일동포들의 노력 끝에 1955년 5월25일 일본 도쿄에서 새 동포단체인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在日本朝鮮人總聯合會, 약칭 총련 또는 재일총련)이 결성되었다.

총련은 북에서 적잖은 지원(1955년 12월 131만5,350원 원호금과 위문편지 2,039통, 원호물자 수천 점 등)을 받으며 일본 전역에서 동포사회 조직을 재건해갔다. 기관지 <조선신보>를 복간·발행하는 한편, 학우서방, 구월서방, 조선문제연구소, 조선통신사 등 출판기관을 설립하고 동포사회에서 언론출판사업, 학술연구, 민족교육 등을 활발히 전개하였다. 또 1959년부터는 총련의 동포 귀국운동과 북-일간 협상 결과로 적잖은 수의 재일동포들이 ‘사회주의 조국’으로 귀환, 정착하였고(재일동포 귀국사업), 이를 계기로 북과 총련의 관계는 더 공고해졌다.

그리고 1960년대에 북에선 재일동포들에 대해 국적(조선적, 대한민국 등)을 불문하고 공민권(재외국민)과 민주주의적 민족권 권리를 법적으로 보장하는 내용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적법’(1963년 10월9일)을 제정하였다. 또 1967년 11월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에서 7명의 재일동포 대표단이 선출된 것을 시작으로 매번 최고인민회의에서 재일동포 대표단(총련 소속 명의)을 선출하는 체계가 오늘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렇듯 북은 총련과 협력을 매개로 재일동포들에게 ‘조국’의 역할을 하였고, 그런 결과 재일동포 사회가 거리낌 없이 북을 ‘조국’이라 부르는 상황에 이르게 된 것이다.

 

2) 조선학교와 민족교육

해방 직후 재일동포들은 민족의 말과 글, 민족의 역사를 동포와 자녀들에게 가르칠 목적으로 일본 전역의 재일동포 집단 거주지를 중심으로 ‘국어강습소’(약 200여 개소, 수강인원 2만여 명)를 설치하고 민족교육을 실시하였다. 1945년 10월 결성된 조련은 국어강습소를 ‘조선인학교’로 확대·개편하여 초등학원-중학교-청년학교로 체계화된 민족교육을 실시하였다. 또 조련은 민족교육을 위해 자체로 교과서(약 100만 부)와 부교재(92점)를 출간·제작하였다.

그러나 1948년부터 미연합국사령부(GHQ)와 일본 당국은 재일동포의 민족교육을 대대적으로 탄압하였다. 1월에는 문부성 명의로 재일동포들의 학교설립을 불허하고 일본 학제에 강제로 동화·편입시키는 내용의 통첩문(‘조선인학교 설립 취급에 대하여’ 1948년 1월24일)을 발표하고, 일본 전역에 설립된 조선인학교를 강제로 폐쇄했다(제1차 민족학교 폐쇄령). 미군과 일본 당국의 민족교육 탄압에 맞서 재일동포들은 적극 투쟁하였다. 1948년 4.24 한신교육투쟁(阪神敎育鬪爭)이 재일동포들의 민족교육 수호투쟁의 대표 사례이다. 투쟁의 결과로 일시적이나마 일본 당국에게서 폐교령 철회와 민족교육 인정을 이끌어내기도 했지만 이듬해인 1949년에 미군은 조련을 강제해산하는 동시에 조선학교를 다시금 폐쇄해 민족교육은 큰 위기를 맞게 되었다(제2차 민족학교 폐쇄령).

미군과 일본 당국의 탄압 속에서도 재일동포들은 ‘자주학교’, ‘공립학교’, ‘민족학급’ 등 다양한 형태로 민족교육을 지켜갔다. 그러다 1955년 5월 총련이 결성되었고, 총련이 조선학교를 통한 민족교육을 다시금 주도하였다. 여기에 1957년엔 북에서 전후복구가 한창인 속에서도 두 차례에 걸쳐 민족교육을 위한 교육원조비 9,156만2,000원(약 2억2,000만 엔)을 동포들에게 지원하면서 조선학교의 민족교육은 부활할 수 있었다. 이후도 북은 국가예산에 ‘재일동포 자녀들을 위한 교육원조비 및 장학금’을 책정해 매년 조선학교에 교육비를 지원하고 있다.

총련의 주도적 역할과 북의 지원 아래 조선학교의 민족교육은 계속 발전하였다. 1956년에는 일본 도쿄에서 동포들의 첫 고등교육기관인 조선대학교(朝鮮大學校)가 설립되어 고등교육과 학술연구가 가능해졌다. 또 1966년에 일본 당국이 ‘외국인학교법안’을 통과시켜 다시금 재일동포들의 민족교육을 탄압하고 동화교육을 강요하려 할 때도 총련은 일본의 진보세력과 연대하여 단호히 투쟁해 나갔다. 결국 1966년 조선학교 41개소가 새롭게 학교법인(‘각종학교’) 설치인가를 받았고, 1968년 4월17일엔 조선대학교, 1975년 1월까지 일본 전역의 조선학교(정규학교 155개소, 비정규학교 수백 개소, 총 2,000명 교원 및 4만여 동포학생 규모)가 학교법인으로 등록하는 성과를 거뒀다.

총련의 결성과정과 조선학교 민족교육에서 보듯 재일동포들의 투쟁에 북은 ‘조국’으로서 초기부터 꾸준히 지지와 연대를 보냈다. 이는 재일동포의 민족교육이나 미군과 일본의 동포 탄압과 차별을 외면했던 남측의 이승만 정권과 군사독재정권과는 매우 다른 모습이었다.

세월이 흘러 현실적 요인(국적, 생활문제 등)으로 재일동포의 적잖은 수가 일본 국적이나 남측(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하며 ‘조선적’의 숫자는 크게 줄어들었다(2018년 기준 3만5,000여 명). 조선학교 역시 일본 당국의 각종 차별과 혐오범죄 등으로 숫자가 줄어 현재는 일본 전역에 64개소와 학생 8,000여 명 수준(2014년 기준)을 유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북은 현재도 재일동포들에 대한 연대와 지원을 꾸준히 보내고 있으며 총련 역시 과거와는 달라도 재일동포사회에서 일정한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다.

출처 : 통일시대(http://www.tongiltimes.com)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시사야 놀자~~~ 다른글

현재페이지 1234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