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8장
大道廢, 有仁義, 慧智出, 有大僞. 六親不和, 有孝慈, 國家昏亂, 有忠臣.
(세상에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이) 큰 도道가 사그라든 다음에, (사람들이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붙인) 인仁과 의義를 가지는 바가 있게 되었고, (세상에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이 큰) 지혜가 생겨난 다음에, (사람들이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이) 큰 거짓을 가지는 바가 있게 되었다. (세상에) 육친이 어우러지지 못한 다음에, (사람들이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붙인) 효성스러움과 자애로움을 가지는 바가 있게 되었고, 나라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이 큰 도道에 대해) 어두워지고 어지러워진 다음에, (사람들이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붙인) 충성스러움과 신하다움을 가지는 바가 있게 되었다.
國家, 昏亂, 而後知有忠臣. 失, 在昏亂. 非忠臣之過也.
(노자에 따르면) 나라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큰 도道에 대해) 어두워지고 어지러워진 다음에, (사람들이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붙인) 충성스러움과 신하다움을 알아차리게 되고, 가지는 바가 있게 되었다. (따라서 사람들에게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붙인 충성스러움과 신하다움을 알아차리게 하고, 가지는 바가 있게 한) 잘못은 (나라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에 대해) 어두워지고 어지러워진 바에 자리한다. (따라서 사람들이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붙인 충성스러움과 신하다움을 알아차리게 되고, 가지는 바가 있게 된 것은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자리하는) 충성스러움과 신하다움의 잘못이 아닌 것이다.
六親, 不和, 而後知有孝慈, 失, 在不和, 非孝慈之過也.
(세상에) 육친이 어우러지지 못한 다음에, (사람들이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붙인) 효성스러움과 자애로움을 알아차리게 되고, 가지는 바가 있게 되었다. (따라서 사람들에게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붙인 효성스러움과 자애로움을 알아차리게 하고, 가지는 바가 있게 한) 잘못은 (육친이) 어우러지지 못한 바에 자리한다. (따라서 사람들이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붙인 효성스러움과 자애로움을 알아차리게 되고, 가지는 바가 있게 된 것은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자리하는) 효성스러움과 자애로움의 잘못이 아닌 것이다.
大道, 廢, 而後知有仁義, 失, 在道廢, 非仁義之過也.
(세상에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큰 도道가 사그라든 다음에, (사람들이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붙인) 인仁과 의義를 알아차리게 되고, 가지는 바가 있게 되었다. (따라서 사람들에게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붙인 인仁과 의義를 알아차리게 하고, 가지는 바가 있게 한) 잘못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큰) 도道가 사그라든 바에 자리한다, (따라서 사람들이 일부러 일삼아 이름 지어 붙인 인仁과 의義를 알아차리게 되고, 가지는 바가 있게 된 것은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자리하는) 인仁과 의義의 잘못이 아닌 것이다.
老子, 於此, 可謂不揣其本矣.
(따라서) 노자는 이 점에서 (이렇게) 일컬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 (세상 사람들에게 저절로 그러하게 자리하는 바인 인仁과 의義, 효성스러움과 자애로움, 충성스러움과 신하다움의) 본래 (면모)를 미루어 헤아리지 못했다.”
國家治, 雖無忠臣之名, 不害其爲忠臣也. 六親和, 雖無孝慈之名, 不害其爲孝慈也. 大道行, 雖無仁義之名, 不害其爲仁義也.
(따라서) 나라가 (잘) 다스려지게 되면, (세상 사람들은 저절로 그러하게) 충성스러움과 신하다움이라는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붙인) 이름을 (알아차리거나) 가지는 바가 없게 되고, 그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일삼아진 충성스러움과 신하다움을 해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육친이 (잘) 어우러지게 되면, (세상 사람들은 저절로 그러하게) 효성스러움과 자애로움이라는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붙인) 이름을 (알아차리거나) 가지는 바가 없게 되고, 그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일삼아진 효성스러움과 자애로움을 해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큰 도道가 일삼아지게 되면, (세상 사람들은 저절로 그러하게) 인仁과 의義라는 (일부러 일삼아 지어 붙인) 이름을 (알아차리거나) 가지는 바가 없게 되고, 그 (본래 저절로 그렇게) 일삼아진 인仁과 의義를 해치지 않게 되는 것이다.
人, 皆欲爲忠臣. 則國家治矣. 人, 皆欲爲孝慈. 則六親和矣. 人, 皆欲爲仁義. 則大道行矣.
(따라서) 세상 사람들은 모두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충성스러움과 신하다움을 일삼고자 하게 되고, 일삼게 된다. 따라서 나라가 (잘) 다스려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세상 사람들은 모두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효성스러움과 자애로움을 일삼고자 하게 되고, 일삼게 된다. 따라서 육친이 (잘) 어우러지게 되는 것이다. 세상 사람들은 모두 (본래 저절로 그러하게) 인仁과 의義를 일삼고자 하게 되고, 일삼게 된다. 따라서 (일부러 일삼는 바가 없음無爲이) 큰 도道가 일삼아지게 되는 것이다.
此, 聖人, 所以貴仁義也.
이것이 성인이 인仁과 의義를 귀하게 여기는 까닭이다.
或, 曰此, 老子憤世之辭也.
어떤 사람은 주석했다. “이 장은 노자가 (일부러 일삼는 바가 있음有爲이 컸던 당시) 세상을 탄식한 장이다.”
해 설
박세당은 인仁·의義, 효孝·자慈 충忠·신臣을 사회적 덕목이 아니라, 자연적 본성으로 이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