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지 여행[경기 고양] 인천옹주 묘

작성자광나루|작성시간10.03.07|조회수646 목록 댓글 0

인천옹주 묘                                                                                                                                  written by 한국의 능원묘

▲ 정종의 서7녀인 인천옹주와 이관식의 묘역 전경

인천옹주의 본관은 전주(全州). 정종의 일곱 번째 딸로 숙의 윤씨 소생의 4남 2녀 가운데 첫째 딸이다. 1431년(세종 13) 10월 인천(仁川) 군주(郡主 : 조선시대 정2품 외명부의 품계)에 책봉되었고, 사후인 1872년(고종 9) 인천옹주로 개봉되었다. 수원부사를 지낸 이성간(李成幹)의 아들 이관식(李冠植)과 혼인하여 이관식은 정종의 부마도위가 되었다.

▲ 봉분 앞의 묘비와 묘역 전방 우측 한켠에 세운 묘역 단장 내용을 적은 부비(附碑)

묘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오금동에 있으며, 생모 숙의 윤씨 묘소 아래쪽에 자리하고 있다. 묘는 쌍분(雙墳)이며 묘갈은 묘단실개석(墓壇室蓋石)이 있는 오석으로 폭 50cm 두께 30cm 높이 120cm이다. 1966년에 입석하였으며 비문은 화산(花山) 권순명(權純命)이 짓고 여산(礪山)안성용(安成鏞)이 썼다.

▲ 양성재 이관식과 인천옹주 묘역 전경

양성재 이관식은 전의 이씨로 자는 덕후요 호는 양성재 이니 1380년(우왕 6년)에 출생하였다. 일찌기 정종의 일곱째 따님인 인천군주가 되어 담양 부사를 지내고 1436년(세종18년)에 졸하니 부사로 치적이 많아 그의 유덕을 추모하여 담양의 월산사에 배향했다. 1872년(고종9년)에 옹주로 개봉하고 부조전을 버리니 출생지인 원당리에 부조묘를 세웠다.

▲ 쌍분 뒤에 있는 봉분은 이관식의 부친 이성간(李成幹)의 묘입니다.

제2대 정종대왕(定宗大王) [1357 ~ 1419]

 

정비 정안왕후 김씨(定安王后 金氏) [1355 ~ 1412]
소생 없음

 

서1남 의평군(義平君) [미상 ~ 1461] (숙의 지씨)
서2남 순평군(順平君) [1392 ~ 1462] (숙의 기씨)
서3남 금평군(錦平君) [미상 ~ 1435] (숙의 기씨)
서4남 선성군(宣城君) [생몰년 미상] (숙의 지씨)
서5남 종의군(從義君) [1393 ~ 1451] (숙의 문씨)
서6남 진남군(鎭南君) [1396 ~ 1470] (숙의 이씨)
서7남 수도군(守道君) [생몰년 미상] (숙의 윤씨)
서8남 임언군(林堰君) [1399 ~ 1432] (숙의 윤씨)
서9남 석보군(石保君) [1399 ~ 1447] (숙의 윤씨)
서10남 덕천군(德泉君) [1397 ~ 1456] (성빈 지씨)
서11남 임성군(任城君) [생몰년 미상] (숙의 지씨)
서12남 도평군(桃平君) [1402 ~ 1439] (성빈 지씨)
서13남 장천군(長川君) [생몰년 미상] (숙의 윤씨)
서14남 정석군(貞石君) [1409 ~ 1464] (숙의 기씨)
서15남 무림군(茂林君) [1410 ~ 1474] (숙의 기씨)
서1녀 함양옹주(咸陽翁主) [생몰년 미상] (숙의 지씨)
서2녀 숙신옹주(淑愼翁主) [생몰년 미상] (숙의 기씨)
서3녀 덕천옹주(德川翁主) [생몰년 미상] (미상)
서4녀 고성옹주(高城翁主) [생몰년 미상] (미상)
서5녀 상원옹주(祥原翁主) [생몰년 미상] (숙의 기씨)
서6녀 전산옹주(全山翁主) [생몰년 미상] (미상)
서7녀 인천옹주(仁川翁主) [생몰년 미상] (숙의 윤씨)
서8녀 함안옹주(咸安翁主) [생몰년 미상 (미상)

함양박씨 묘역 세장지도

▶ 함양박씨 묘역 세장도는 함양박씨 관련 홈페이지에서 가져 왔습니다.

 

▶ 좌측 세장도에서 빨간 글씨의 전의이씨로 표기된 곳이 인천옹주 묘역입니다.

함양박씨 묘역 위치도

 소재지 : 경기 고양시 덕양구 오금동 산120-1                                         화살표 ↑ 위치에 인천옹주 묘역이 있습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