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Ⅱ 정보 & 자료실

[[설정자료]]중국군의 주력전차 Type 96 (ZTZ96/ Type 88C) 전차 PT2

작성자mirageknight [왕성국]|작성시간10.12.18|조회수699 목록 댓글 5

PT1 에 이어

 

96식 전차의 기반이 된 85식 그리고 90식 전차

96식전차의 개발은 중국제 무기를 총괄 개발하는 국가기업인 NORINCO(중국북방공업공사)에서 맡아서 제작하고 있으며 80년대 개발완료한 Type 85 전차 씨리즈와 이를 개량한 Type 90 전차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파키스탄으로부터 개발을 의뢰받은 MBT-2000 (Al-Khalid) 전차의 개발기술등을 피드백하여 제작하게 됩니다.

 

[96식 전차의 개발에는 85식 전차와 더불어 90식 전차의 개발경험이 피드백되어 활용되었다]

 

여기서 중국의 90식 전차가 어떤 전차였는지 한번 알아보고 가자!!!

 

 

 

 

Al-Khalid 전차라고 불리는 90-II / MBT2000 제원

 

 

 

[96식전차의 개발에 큰 영향을 미친 전차로는 90식 전차를 빼놓고 이야기하기는 힘들다. 90-II 전차 혹은 MBT2000 /Al-Khalid 전차라고 불리는 이 전차는 96식 전차의 개발에 많은 영향과 기술축적에 도움이 되었다] 

 

1970년대말, 중국은 그들의 기갑전력으로는 소련에 맞설 수 없다고 결론을 내렸다. 사실 구형의 59식과 69식으로는 소련의 신 전차인 T-72를 당해낼 수 없었다. 중국은 신전차를 개발하기로 하는데, 우선 T-72를 입수하여 철저히 분석하였다. 초기 설계 개념은 T-72의 차체를 카피하고 새로운 용접포탑과 서방제 파워팩을 설치하는 것이었다. 1990, 201연구소와 617공장은 90II 라는 이름으로 프로토타입을 내놓는다. 이것은 T-72형태의 차체와 용접형 포탑에 125mm 활강포를 장착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것은 중군인민해방군의 성능 기대치에 못 미쳤다. 2003. 주로 기동력을 개량한 것을 선보이는데 T-72와 더욱 가까운 형태였다. 이것은 98식이라는 정식명칭을 받으면서 중국인민해방군에 채택되었다.

 

 

오리지날 90II식은 포기되지 않고 수출형으로 활로를 모색하였다. 부족한 기동력을 극복하기 위하여 외국제 파워팩을 고려하였다. 이렇게 다시 태어난 것이 90IIM형으로 2000년에 모습을 나타내었다. 2001년 아부 다비 방산전시장에서 첫 모습을 보인 90IIM형은 MBT2000이라는 이름으로 수출 전선에 나섰고, 곧 파키스탄이 알 칼리드라는 이름으로 라이센스 생산에 들어갔다. 알 칼리드 전차의 엔진은 우끄라이나제 1,200마력의 6TD 디젤 엔진이다.

 

 

l  디자인(Design)

 

 

 

 

 

[90식전차는 기존에 개발되던 85식 전차와는 별개로 개발되던 전차로  59식에서 10%, 69식에서 15%, 85/88C식에서 20% 정도만 차용하고, 나머지 55%는 완전히 새롭게 설계되었다 이는 초기에는 일종의 백업용으로 개발된 전차였으나 곧 파키스탄의 새로운 전차 개발프로젝트( MBT2000) 참여에 따라 이를 베이스로 Al-Khalid 전차라고 불리는 새로운 전차로 재탄생하였다  ]

 

90II MBT 59식에서 10%, 69식에서 15%, 85/88C식에서 20% 정도만 차용하고, 나머지 55%는 완전히 새롭게 설계하였다. 90II식 장갑에 복합장갑이 채용되어 포탑전방은 600mm, 주위는 450mm로 추정된다. 모듈식 장갑 팩키지가 채용되어 쉽게 교환이 가능하며 필요시에 는 ERA도 장착이 가능하다.

 

 

l  공격력(Offence Power)

 

 

 

[파키스탄의 의뢰로 제작된 알카히드 전차는 중국이 개발하던 90식 전차를 베이스로 서방제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개념의 전차로 주포는 물론 러시아제 125밀리 활강포가 사용되었다. 서방제 주포는 파키스탄이 핵보유로 서방의 압력을 받는 입장이라 불가능했다] 

 

주포는 2축으로 안정화 되어 있는 125mm활강포로 사용한다. 125mm 포탄은 APFSDS, HEAT, HEAT-FRAG이고 모두 39발을 수납한다. 또한, 러시아제 9M119 Refleks (NATO 코드명 : AT-11 Sniper)를 발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이미 중국은 1990년 말부터 9M119 미사일을 라이센스 방식으로 생산하고 있다. 차장용과 포수용의 안정화된 주간 영상장비 또는 열영상장비와 레이저 거리측정기, 자동추적장비, 탄도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진 FCS를 표준장비로 하고 있다. 부무장으로 7.62mm동축기관총과 12.7mm대공기관총을 장비하고 있다.

 

l  방어력(Defence Power)

 

차체와 포탑에 복합장갑을 채용하고 있는 90II식은 중국 최초로 시스템방식을 적용한 최초의 MBT이다. , 각 모듈식 장갑은 교체 및 업그레이드가 쉽게 가능하다. 포탑 양측에 연막탄 및 HE총류탄을 발사할 수 있는 6개의 발연기를 장착하고 있다.

 

 

l  기동력(Mobility Power)

 

 

 

[엔진은 세계에서 가장 컴팩트한 엔진으로 우크라이나의 2행정 수냉식 6TD 디젤엔진(T-80UD에도 장착된 형식의 엔진)이다. 수퍼차지를 장착한 6TD엔진으로 알 칼리드 MBT 72km/h의 최고 속도와 26마력/톤의 기동력을 자랑한다]

 

수출형으로 계획된 90II식은 여러 서방제 엔진을 탑재하였다. 영국 첼린저 1, 2 MBT에 탑재하고 있는 1,200마력의 CV-12 디젤엔진 과 퍼킨스 엔진에 각각 프랑스 르끌레르 MBT에 탑재되고 있는 SESM ESM 500 자동변속기를 장착한 형식이 있다. 또한 파키스탄에 알 칼리드란 이름으로 제공된 90II식의 엔진은 세계에서 가장 컴팩트한 엔진으로 우끄라이나의 2행정 수냉식 6TD 디젤엔진(T-80UD에도 장착된 형식의 엔진)이다. 수퍼차지를 장착한 6TD엔진으로 알 칼리드 MBT 72km/h의 최고 속도와 26마력/톤의 기동력을 자랑한다.

 

 

[중국의 90식 전차의 개량버젼인 알칼리드 전차는 파키스탄의 차기 주력전차로 채택되면서 저렴한 가격의 우수한 성능의 전차로 인정받게 되고 이때 획득한 전차개발 기술은 후에 중국의 96식/99식 전차의 개발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 알칼리드전차 90-II / MBT2000 제원 >

 

 

 

1. 승무원: 3

2. 전투중량 : 48

3. 엔진 : 우끄라이나제 6TD(1,200마력) 수냉식 디젤

4. 변속기 : 기계식

5. 현수장치 : 토션바

6. 크기 : 길이(10.07m), 높이(2.40m), 넓이(3.50m)

7. 항속거리 : 450km

8. 최고속도 : 65km/h(도로), 45km/h(야지)

9. 무장

- 125mm 활강포(자동장전시 8/, 수동장전시 1~2/)

- 7.62mm 동축기관총

- 12.7mm 대공기관총

=====================================================================================

 

 

l  Al-Khalid 전차

 

 

 

[Al-Khalid(알칼리드) 또는 MBT-2000(타입 90-IIM)은 파키스탄과 중국이 함께 개발한 신형 MBT이다. 사실 내용물른 중국이 개발하다 관두려한 90식 전차였다]

 

 

Al-Khalid 또는 MBT-2000(타입 90-IIM)은 파키스탄과 중국이 함께 개발한 신형 MBT이다. 이것은 파키스탄에서 개발이 진행되었으며, 현재 파키스탄 육군에 배치되어있다. 3명의 승무원으로 움직이며, 자동장전장치가 갖춰진 125밀리 활강포로 무장했으며, 대전차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고 신형 화력통제장치와 야시장비를 갖추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 계통의 디자인이 바탕으로 하고 있는 MBT-2000/-칼리드는 서방의 MBT에 비해서 상당히 작고 가볍다. -칼리드의 디자인은 소련과 서방전차의 기술이 결합된 중국의 Type-90 MBT 계획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널리 생산된 소련의 T-54의 최종적인 파생형이기도 하다. 드물게도 MBT-2000은 외국에서 개발된 어떤 변종의 트랜스미션과 엔진이라도 장착할 수 있다. -칼리드는 파키스탄에서는 생산된 MBT-2000의 한 종류이며, 우크라이나의 KMDB 디자인국에서 공급하는 컴팩트한 디젤엔진을 사용한다. 처음으로 완성된 탱크는 2001년 파키스탄 육군에 보급되었으며, 파키스탄은 2007년까지 600대를 인도할 계획이다.

 

 

l  개발사

 

1970년대, 중국 인민해방군의 지도부는 소련의 위협에 대해서 걱정을 했으며, 59식 전차를 대채할 개량된 주력전차를 필요로 했다. 기존의 중국 전차들은 소련의 T-54A의 후속기종이었으며, 소련의 T-62 T-64와 같은 보다 발전된 전차의 상대가 되어야 했다. 중국북방공업공사와 내몽골자치구의 제일기계공업사는 새로운 시리즈의 탱크 개발의 임무가 부여되었다. 1980년대 후반 이란(이라크와의 전쟁에서 노획)에 의해서 건네진 T-72의 시험을 통해서 중국군은 현대 중국 전차들은 취약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T-72와 몇몇 서방전차들의 설계 특징은 2세대 중국 전차의 개발에 적용되었고, 최종적으로는 새로 설계된 차체와 서스펜션, 용접식 포탑, 125밀리 자동장전 활강포가 포함되게 되었다. 80식과 85식은 90식으로 발전하였다. 90식은 중국군의 거부로 제식무기로 채용되지 않았으나 98식과 99식과 같은 중국 제3세대 전차의 개발에 영향을 주게된다.

 

 

[알칼리드 전차는 핵폭탄 보유로 왕따가 된 파키스탄이 돈을 대고 중국이 개발하게 된 전차로 원래는 중국이 개발하고 있었던 90식 전차를 베이스로 파키스탄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전차이다. ]

 

 

90식의 혁명적인 설계: 902 형식은 59식과 10%, 69식과 15%, 85/88C 20%의 부품을 공유하며, 새로운 55%의 부품으로 만들어졌다. 이 모델은 판매를 위해 세계시장에 내놓았다.

 

파키스탄과의 개발협정은 1990 1월에 맺었다. 최초로 중국에서 생산된 프로토타입은 1991 8월경 파키스탄에서 테스트를 받았다. 파키스탄은 그들의 요구에 맞는 모델을 공동개발하고 직접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위해 Mohammad Asaad 준장의 지휘 아래서 10년이 넘게 2천만 달러 정도를 썼다. 디자인 팀은 외국에서 생산된 파워팩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개조하였다. 많은 종류의 프로토타입이 평가되었다.

 

 

 

[알- 칼리드 전차는 소련제 전차에 서방의 FCS 및 엔진 그라고 현가장치등을 조합한 전차로 중국의 독특한 (소련제 하드웨어+ 서방제 소프트웨어) 설계를 실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초기 버전은 중국제 주포와 화력통제장치로 무장했으며, 독일에서 설계되고 중국이 라이센스 생산을 하는 MTU-396 디젤엔진을 사용하였다. 또 다른 버전은 좀 더 발전된 서방식 디지털 화력통제장치와 퍼킨스 1200마력 콘돌 디젤엔진(영국군의 첼린저에 사용되는), ESM-500 자동 트랜스미션이 포함되었다. 이 버전은 너무 고가였고 파키스탄 남부 지역의 높은 기온에서는 낮은 성능을 보였다. 최신 버전은 우크라이나의 6TD-2 1200마력 엔진(우크라이나는 또한 유사한 디젤엔진을 사용하는 T-80UD 탱크를 공급했다.) 이 형태가 생산버전으로 선택되었으며 알-칼리드 전차로 알려지게 된 것이다.

 

 

 

[알칼리드 전차는 소련제 전차와 서방의 우수한 화기관제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조합한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고 있으며 가격대비 훌륭한 성능으로 다른 나라의 전차개발에 대표적인 본보기가 되고 있다]

 

서방기술이 좀 더 많이 사용한 또 다른 버전이 파키스탄에 수출 될 것으로 예상되기도 했었다. 그 프로토타입은 1200마력의 MTU-871/TCM AVDS-1790 디젤엔진과 LSG-3000 트랜스미션을 장착한 모델이었다.

 

하지만 이 모델은 1998년 파키스탄의 핵실험으로 인한 무기수출금지가 설정되어 폐기되었다.

 

10년간의 공동개발로 만들어진 탱크 디자인은 TYPE 90-IIM으로 명명되었다. 중국의 NORINCO사는 2001 3월 아부다비에서 열린 디펜스엑스포에서 이 TPYE 90-IIM MBT-2000이라는 수출 명으로 공개했다. 이 버전은 우크라이나 공장에서 생산한 엔진을 사용했으며, -칼리드라는 이름을 붙여 파키스탄 국내에서 생산하도록 계획되었다.

 

 

l  생산

 

개발기간 동안 Taxila 중공업은 중국제 TYPE 85-II AP를 제작하는 경험을 얻었으며, 1999년에 알-칼리드 전차의 생산을 준비하였다. 2001 7 20 15대 달하는 탱크와 교관들이 파키스탄 기갑군단의 제31기병연대에 배속되었다. 파키스탄은 315개의 6TD-2 엔진을 3년에 걸쳐서 공급하기로 우크라이나의 Malyshev 공장과 2002 3월에 계약을 채결하였다. 추가로 생산된 알-칼리드 전차는 2004 9 23일에 인도되었다.

 

l  취역

 

파키스탄은 육군을 위해 총 600대의 알-칼리드 전차를 생산 할 계획이다. 2006 3 Jane's Defence Weekly는 사우디 아라비아가 2006 4월에 알-칼리드 전차의 평가를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파키스탄 국방부 관계자는 알-칼리드 전차 150대를 6억 달러에 구매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알칼리드 전차는 대당 25억 정도로 3세대급 전차로는 매우 저렴한 가격이다 참고로 K1A1 의 경우 대당 40억 이상 K-2 의 경우 약100억에 달한다. 독일제 레오파트2A5/6 나 M1A2 는  대당 110~120억 수준이다]

 

l  무장과 화력통제

 

 

[알칼리드 전차에는 구소련의 기본주포라 할 수 있는 2A46M 125mm(48구경장)활강포와 자동장전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며 서방제 FCS를 사용 구소련제 T-72 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칼리드는 APFSDS, HEAT-FS, HE-FS의 전통적인 탄약과 러시아에서 만든 9M119 Refleks ATGM(나토명 AT-11 스나이퍼, 라이센스로 중국에서 생산 된 모델)를 발사 할 수 있는 자동장전장치 와 크롬도금 된 48구경장 125밀리 활강포가 탑재된다. -칼리드는 DU탄을 사용하는 세계에서 몇 안되는 탱크이다. -칼리드 전차는 파키스탄 자체에서 생산하는 Niaza 125밀리 DU탄을 사용한다. (관통력 : 2km에서 550mm) -칼리드 전차는 muzzle reference system과 양축 안정장치를 장착하였다. 주포의 고각, 방위 조정은 전기-유압식으로 이루어진다. 자동장전장치는 분당 8발을 발사 할 수 있으며, 장전장치에는 24발의 탄약이 적재된다.

 

7.62밀리의 공축기관총과, 해치를 폐쇄한 후에도 발사가 가능한 12.7밀리의 외부 장착형 대공기관총, 연막탄 발사기를 장비하고 있다.

 

 

프로토타입은 중국과 서방전차에 사용된 다양한 화력통제 시스템을 실험하였다.

 

 

 

[알칼리드 전차에는 포수에게는 2배율 주간 관층장치가 제공되며, 전차장에게는 파노라마 관측장치 360도 관측이 가능한 독립 감시장치가 제공된다. 두 관측장치 모두 2축 이미지 안정화 장치를 사용하며 독립적인 거리측정장비를 가지고 있다. 전차장은 포수가 표적과 교전하고 있을 때도 독립적으로 또 다른 표적을 획득할 수 있다. 자동 표적 추적 시스템은 탱크와 표적이 모두 이동하고 있을 때에도 추적이 가능하다. 포수와 전차장의 야간 관측장비는 2배율 열상이미지 장치를 사용한다. 장갑은 복합장갑에 추가로 반응장갑을 장착하고 있으며 성형작약탄 기준 800~1000 밀리 급의 장갑두께를 가진것으로 알려져 있다]

 

포수에게는 2배율 주간 관층장치가 제공되며, 전차장에게는 파노라마 관측장치 360도 관측이 가능한 독립 감시장치가 제공된다. 두 관측장치 모두 2축 이미지 안정화 장치를 사용하며 독립적인 거리측정장비를 가지고 있다. 전차장은 포수가 표적과 교전하고 있을 때도 독립적으로 또 다른 표적을 획득할 수 있다. 자동 표적 추적 시스템은 탱크와 표적이 모두 이동하고 있을 때에도 추적이 가능하다. 포수와 전차장의 야간 관측장비는 2배율 열상이미지 장치를 사용한다. 두 관측장비 모두 화력통제 시스템에 통합되어 있다. -칼리드 전차의 생산에 사용되는 화력통제장치는 서방제를 사용한다. MBT-2000에는 다양한 센서 안에 중국 NORINCO의 화력통제시스템을 갖고 있다. 탄도계산기의 계산 시간은 1초보다 짧다. 생산자는 초탄이 2km 밖에서 2.4m의 정사각형 안에 명중하는 것을 요구한다.

 

유효사거리 : 200미터에서 5000미터

센서 : 레이저 조준 200미터에서 9990미터

 

자동추적장치, 4종류의 탄약 발사가능, 포수용 열상장비, 전차장용 강화 야시장비, 자이로 안정장치, UPS 전원공급장치, -칼리드 전차는 ATCOP LTS1 레이저 경고 장치를 장착하고 있다.

 

 

LTS1 레이저 경고장치는 2가지 중요 요소인 막대형 센서와 360도 전체를 표시해주는 운영자용 컨트롤 박스로 구성되어 있다. ATCOP에 따르면, LTS1 레이저 경고장치는 레이저 거리측정 장치 뿐만이 아니라 레이저 표적지시기까지 탐지 할 수 있다고 한다. 이 장치는 야전환경에서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레이저장치에 반응하며, 청각 경고장치와 연막발생장치나 그 외 대응수단과도 연계할 수 있다. LTS1 레이저 경고장치는 0.8-1.06μm 주파수대에서 작동하며, 수평으로는 360도 탐지 가능(최소 식별단위는 15)하고, 수직으로는 -15도에서 +90도의 탐지 범위를 가진다. 작동 전압은 12볼트나 24볼트의 직류를 사용하며 8와트의 소비전력을 가진다. 센서는 165mm의 직경에 35mm의 높이를 가지며 컨트롤박스는 80x130x55mm의 사이즈를 가진다.

 

 

l  기동

 

-칼리드 생산모델은 우크라이나의 6TD-2 1,200마력 슈퍼차지 디젤엔진과 반자동 트렌스미션을 장착한다. 보조동력장치는 전차의 전자시스템과 메인 엔진의 작동을 담당한다. 서스펜션은 토션바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압제동기와 완충기를 사용한다. 46톤의 알-칼리드 전차는 70톤에 달하는 M1 에이브럼스보다 수송하기 용이하다. 출력 대비 무게는 26hp/ton으로 최대 시속 70km/h에 달하며, 시속 30km에 이르는데 10초가 걸리는 우수한 기동성을 가지고 있다]

 

 

-칼리드 생산모델은 우크라이나의 6TD-2 1,200마력 슈퍼차지 디젤엔진과 반자동 트렌스미션을 장착한다. 보조동력장치는 전차의 전자시스템과 메인 엔진의 작동을 담당한다. 서스펜션은 토션바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압제동기와 완충기를 사용한다. 46톤의 알-칼리드 전차는 70톤에 달하는 M1 에이브럼스보다 수송하기 용이하다. 출력 대비 무게는 26hp/ton으로 최대 시속 70km/h에 달하며, 시속 30km에 이르는데 10초가 걸린다. 스노켈 장치를 이용해 5m 깊이를 통과 할 수 있다. 항법장치는 GPS/INS 시스템을 사용한다.

 

l  방호력

 

알칼리드 전차는 모듈식 복합장갑과 폭발반응 장갑, 화생방 방호장치, 열영역이 차단 가능한 연막발생장치, 내부소화장치, 폭발억제장치를 장비하고 있다. A1 Technique사에서 개발한 진보된 레이저 탐지장치도 갖추고 있다.

 

 

 

[알칼리드 전차의 성공적인 개발로 개발국가로서 중국에 있어 새로운 전차기술을 습득할수 있었던 좋은 기회로 파키스탄의 입장에서는 싼 가격에 서방제 3세대 전차에 준하는 우수한 성능의 전차를 가질수 있는 그야말로 누이좋고 매부좋은 윈-윈 전략중 하나로 남아있다]

 

(글출처 : http://weapon.tistory.com 무기상님)

 

 


[85식 전차의 기술과 파키스탄의 알-칼리드 (90식 전차) 의 개발로 얻어진 기술들은 바로 96/99식 전차에 개발에 적극활용되었다]

 

 

중국의 실질상 주력전차인 96식 전차

전반적인 스타일은 앞서 이야기한대로 구소련의 2세대급 전차인 T-72 를 모델로 하여 개발하여 낮은 차체 실루엣 그리고 작은 포탑 그리고 대구경 125밀리 활강포 (자동장전방식) 장착등이 이와 매우 비슷하나 여기에 1,000마력급 디젤엔진 과 고전적인 토션바 방식의 현가장치 그리고 톤당 21마력의 추진력을 가지고 있어 도로상 최고 70킬로 야지에서 60~65킬로의 양호한 기동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국은 성능은 우수하지만 그만큼 가격도 비싼 99식/98식 전차 대신 가격이 저렴하면서 그런대로 괜찮은 성능을 가진 96식 전차를 주력전차로 삼고 대량생상 배치중에 있다  이들 전차들은 구소련의 전략인 '질 보다 양!' 의 전술로 7000여대에 달하는 중국의 기갑전력의 중추적 역활을 할 예정이다]

또한 여기에 기본적인 복합장갑외에 추가의 반응장갑을 장착하여 전반적인 방호력은 3세대 전차의 기본에 해당되는 800~1,000밀리 (성형작약탄 기준/정면장갑기준)을 충족하는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기에 상대적으로 성능이 떨어지는 구소련제 FCS 대신 서방제 기술이 도입된 NORINCO 사제 ISFCS (레이져거리측정장치 도입 200~최대 10킬로까지 조준 및 추적이 가능) 를 도입하여 전반적인 성능은 서방의 3세대 전차에 근접하는 성능을 보여주는 전차로 알려져 있습니다.

 

 

 

[96식 전차는 현재 3천여대 이상이 생산되어 배치중에 있으며 개량형인 96G형도 개발되어 배치중에 있다]

96식 전차는 대량배치를 위해 열영상장비등의 고급사양은 배제하고 3세대전차가 갖추어야할 기본적인 성능만 채운 전차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그를 증명하듯 최신 3세대 전차들이 장비하는 고급 열영상조준장비나 버스데이타통신장비 그리고 CITV 등의 헌터-킬러 기능은 제공하지 않아 우리가 장비하고 있는 K1/K1A1 이나 K2 흑표전차에 비해서는 원거리 타격능력 이나 야간전투능력등 전반적인 성능은 열세이지만 대당 가격이 25~30억 정도로 저렴하여 대량배치가 가능하여 질보다 양으로 승부하는 본래의 목적에는 잘 부응하는 전차로 생각됩니다.

 

 

[96G형은 96식 전차에 열영상장비와 버스데이타 통신장비 그리고 능동대전차 방어시스템들을 추가한 개량형으로 최근에 배치되기 시작하였다]

현재 96식 전차는 2009년 현재 총 3천대 이상이 생산배치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추후에도 더 생산을 하여 중국군이 장비한 구형 전차들을 모두 교체할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09년 중국인민공화군 창립40주년 퍼레이드에 디지털픽셀 도장으로 출현한 96식전차 저렴한 가격에 125밀리 주포 그리고 서방제의 우수한 화기관제장치를 장착한 우수한 성능의 전차이지만 전차차체가 작아 추후 업그래이드 부분에서는 불리한 점이 없지는 않다]

 

최근에는 성능이 더 향상된 최신 열영상장비등과 데이터버스통신장비 그리고 99식 전차에 장비된것과 비슷한 대전차 유도미사일을 교란하는 능동방어장비 등을 추가한 96G형도 개발 배치되고 있는등 현재 중국군의 주력전차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전차가 바로 96식 전차 입니다.

 

 

[또한 1000 마력의 적은 출력을 가진 엔진으로 인해 야지에서 속도가 느린편이고 추가적인 장갑이나 장비의 장착이 힘들다는 단점도 있다. 어차피 대량생산하기 위한 싼 전차라는 지적이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만일 우리가 통일을 이룬다면 추후 있을지 모를 만주에서의 중국과의 국경문제가 있을경우 종종 마주치게 될 가상의 적전차 이기도 합니다.

[우리의 주력전차인 K1A1 에 비하면 K1A1 이 월등이 우수하지만 105밀리 주포를 장착한 K1은 원거리에서 격파는 다소 힘들어 이에 대한 주포의 강화가 절실히 필요하다]

 

[M1A2 나 LEOPARDII A6 와 비슷한 동급의 성능을 가진 우리의 차기 주력전차인 K2 흑표와는 비교조차 힘들지만 문제는 K2한대 살돈이면 96식전차는 두 대 반 을 살 수 있다는 점이다. 아무리 성능이 우수하다 하지만 여전히 '질보다 양' 이 나은면은 병기개발에 있어 명심해야 할 부분중 하나이다] 

 

 

[96식전차의 무서운 점은 구소련의 전차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진 3세대 전차로 가격 역시 저렴하다는 점이다. 아무리 우수하 성능을 가진 전차라 할지라도 양으로 밀도 들어오는 3새대급 전차를 제대로 막기는 매우 힘들다] 

물론 1:1로 봐서는 우리가 장비한 K1A1 이나 K-2 전차가 압도적인 성능을 보여주고는 있으나 역시 전쟁이라는게 양적인 면을 무시할 수 없기에 대량배치된 96식 전차는 상당히 위협적인 것이 사실 입니다. 이는 중국과 이웃한 우리로서는 상당히 거슬리는 존재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

 

[96식 전차를 현재도 꾸준히 생산되고 있으며 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중국을 비롯 수출에도 매우 적극적이다. 하지만 걸프전과 이라크전에서 증명되었듯 떨어지는 성능을 가진 다수의 전차로 밀고 들어오는 전략이 먹히는 시대는 이미 지났다는 지적도 있다. 어느것이 옳은지는 과연 붙어봐야 잘 알수 있지 않을까..? 어찌되었던 우리에게는 매우 위협적인 존재를 가진 전차임에는 틀림이 없다]   

Specifications

Type

Tracked, armoured

Crew

3 (commander, gunner, driver)

Length

10.65m

Width

3.3m

Height

2.3m

Weight

41.5 tonnes

Engine

Liquid-cooled, turbocharged diesel

Engine power

1,000hp

Fuel capacity

N/A

Transmission

Mechanical, planetary

Suspension

Torsion bar

Track

Metallic, with removable rubber pads and rubber-tyred road wheels

Cruising range

400km, or 600km with external fuel tanks

Maximum speed (road)

65km/h

Maximum speed (off-road)

N/A

Average cross-country

N/A

Fording depth

5m with snorkel

Main weapon

125mm/48-calibre smoothbore gun (42 rounds) with autoloader and thermal sleeve

Rate of fire

6~8 rounds/minute

Gun elevation

-4°~12°

Auxiliary weapons

1X 12.7mm anti-aircraft machine gun (500 rounds)
1X 7.62mm coaxial machine gun (2,250 rounds)

Fire-Control

ISFCS-212 image-stabilised fire-control system

Laser rangefinder

Range: 200~10,000m; Accuracy: 5~10m

Night vision

Imager intensifier (ZTZ96); or thermal imaging system (ZTZ96G)

Radio

Receive/transmit, telephone, laser communications and IFF

NBC protection

Collective, over-pressure

Fire suppression

Automatic

 

 참고 싸이트 및 서적

 

 

하비보스 홈페이지 (http://www.hobbyboss.com)

 

 

국방과학연구소 (http://www.add.re.kr/)

 

미라지의 콤프방 (www.compmania.co.kr) 

 

유용원의 군사세계 (http://bemil.chosun.com/)

 

비겐님의 블로그 (http://kr.blog.yahoo.com/shinecommerce/3817.html?p=1&t=3)

 

위키 대백과 사전 (http://en.wikipedia.org/wiki/Type_96)

 http://kr.blog.yahoo.com/jmkim0912/39330

 

 

 http://www.sinodefence.com/army/tank/type96.asp

http://www.china-defense-mashup.com/?page_id=4606

 

 

참고서적

 

세계의 전차 (주식회사 군사정보 2000.9.1)

98 전차연감 (주식회사 군사정보 1998.5.1)

 

Future Weapon (군사연구 황재연 정경찬 저자 2008.5.25)

 

ㅇ 한상철, 한기상, CD : 세계 각국 전차 소개, 현대정공 기술연구소, 1999

 

 

ㅇ 유승식, 21세기의 주력병기, ()군사정보, 1998, pp206~207

 

 

NGC.다큐먼터리 진화하는 전투병기-TANK

 

 

디스커버리 채널 다큐먼터리 세계의 TOP 10 최고의 전차편

 

위험한시도.밀리터리Q&A (history 체널 )

 

 

* Wrighten By Mirageknight (2010.12.18  ver 1.0) *

 

(본 게시물의 권리는 미라지콤프(www.compmania.co.kr) 에 있습니다.)

 

본 게시물의 상업적 이용과 무단게재를 엄격히 금합니다. 게재를 원할시는king331@hanmail.net

 

으로 메일 주시길 바랍니다.

 

단 개인적 사용하시는건 마음껏 퍼가셔도 됩니다. 다만 출처는 꼭 밝혀주시길… 글 내용에 문

 

제가 있거나 틀린부분은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wyvern(장세종) | 작성시간 10.12.18 잘봤습니다. 2차 세계대전의 예를 봐도 독일이 우수한 과학력을 바탕으로 성능적으로는 뛰어난 전차를 많이 보유하였지만 m4 셔먼이나 t-35 같은 값싸고 무난한 성능을 지닌 전차들의 물량앞에 결국 무너졌죠. 다굴에는 장사가 없다는 말...전쟁에서도 완전히 통하는 말인거 같습니다. 이런 경우를 볼때 지상전에서는 짱깨들이 가상적국으로 미래에 굉장히 위협이 될만한 수준의 전차들을 많이 보유하겠군요.
  • 답댓글 작성자mirageknight [왕성국]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10.12.19 무기에 우수한 성능도 중요하겠지만 수도 결코 무시를 못하죠~~ 96식이 그런 경우라 하겠는데... 이미 걸프전과 이라크전에서 우수한 전차의 성능을 충분히 확인한지라.. 좀 의심되는 부분도 있긴 합니다. t-35가 아니라 T-34일겁니다. 소련의 걸작전차~~
  • 작성자타쿠미 [문병국] | 작성시간 10.12.20 요즘 언론에 세게최강이라고 짱깨들이 자랑하는 그전차군요 볼수록 어디선가 본듯한 디자인^^
  • 작성자김종만 | 작성시간 11.06.27 이렇게 보면 중국도 진짜 근성이 대단하네요 ... 지금은 비웃지만 이런 근성이 질적 향상으로 확실하게 나타나는 날이 오면;; 으~ 무섭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mirageknight [왕성국]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11.06.27 무기체계에 카피했니 어쩌니를 따지는게 바보라고 생각합니다. 국방을 지키는데 카피를 따지고 독자개발을 따질게 어디있나요.. 그런면에서 일단 무조건 카피뜨고 보자는 중국이 좀 부럽긴 합니다. 문제는 그 품질이 지극히 조악스럽다는게 문제지만.. 스탈린 말대로 "양은 최대의 무기라는게.." 맞을수도.. 하지만 걸프전이나 이라크전에서 양으로 밀어제끼던 소련제 전차나 무기들이 질좋은 미국제 무기들에 발린거 보면 현대전은 꼭 그런것만은 아닌것 같습니다. 중국제 무기가 무서운건 소련제 무기의 하드웨어를 바탕으로 우수한 서방제 관제장치의 성공적인 조합입니다.
댓글 전체보기

Ⅱ 정보 & 자료실 다른글

현재페이지 1234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