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회) 온라인 수요니까야 읽기(앙굿따라 니까야 제6권 열세 번째)

작성자까말라|작성시간22.01.12|조회수85 댓글 12

☸ 1월 12일 오후 2시

☸ zoom으로 접속하여 모인 법우님들과 함께

❂ 빠알리 예불 독송

❂ 열의 모음 - 네 번째 50개 경들의 묶음

 

제16장 사람 품

「가까이해야 함 경」(A10:155)

「경모해야 함 등의 경」(A10:156~166)

제16장의 경의 주제는

10가지 바름10가지 그릇됨
바른 견해 正見그릇된 견해
바른 사유 正思惟 그릇된 사유
③ 바른 말 正語그릇된 말
④ 바른 행위 正業그릇된 행위
⑤ 바른 생계 正命그릇된 생계
⑥ 바른 정진 正精進그릇된 정진
⑦ 바른 마음챙김 正念그릇된 마음챙김
⑧ 바른 삼매 正定그릇된 삼매
바른 지혜그릇된 지혜
바른 해탈그릇된 해탈

제17장 자눗소니 품

제17장의 주제는

十善業道(법)

十不善業道 (비법)
① 생명을 죽이는 것을 삼가는 것① 생명을 죽이는 것
② 주지 않은 것을 가지는 것을 삼가는 것② 주지 않은 것을 가지는 것
③ 삿된 음행을 삼가는 것③ 삿된 음행
④ 거짓말을 삼가는 것④ 거짓말
⑤ 중상모략을 삼가는 것⑤ 중상모략
⑥ 욕설을 삼가는 것⑥ 욕설
⑦ 잡담을 삼가는 것⑦ 잡담
⑧ 탐욕없음마음⑧ 욕심
⑨ 악의 없음마음⑨ 악의
⑩ 바른 견해마음⑩ 그릇된 견해

「하강의식 경1」(A10:167)

「하강의식 경2」(A10:168)

십불선업은 금생과 내생에 악한 과보를 가져온다고,

숙고하고 십불선업으로부터 하강

「상가라와 경」(A10:169)

「이 언덕 경」(A10:170)

「비법 경1」(A10:171)

「비법 경2」(A10:172)

「비법 경3」(A10:173)

  비법과 법을 알아야 하고 해로운 것과 이로운 것을 알아야 한다. 비법과 법을 알고 해로운 것과 이로운 것을 안 뒤 법과 이로운 것대로 도를 닦아야 한다.(조건)

  비법을 조건으로 여러 가지 불선법들이 생기나니 이것이 해로운 것

법을 조건으로 여러 가지 유익한 법들이 수행을 통해 완성에 이르나니 이것이 이로운 것

「업의 근원 경」(A10:174) 업의 근원 탐욕, 성냄, 어리석음 때문에 십불선업이 생김

「피함 경」(A10:175)

「쭌다 경」(A10:176)

「자눗소니 경」(A10:177) ~~해제에서~~

  본경은 조령제에 대해서 자눗소니 바라문과 세존이 나눈 대화를 담고 있다. 본경에서 자눗소니 바라문은 세존께 “고따마 존 자시여, 우리 바라문들은 ‘이 보시가 친지와 혈육인 조상들께 공덕이 되기를, 이 보시를 친지와 혈육인 조상들이 즐기시기를.’ 하고 염원하면서 보시를 하고 조령제(祖靈祭)를 지냅니다. 고따마 존자시여, 이 보시가 친지와 혈육인 조상들께 공덕이 되겠습니까? 이 보시를 친지와 혈육인 조상들이 즐기겠습니까?”하고 질문을 드린다. 그러자 세존께서는 “바라문이여, 적절한 곳에서는 공덕이 되지만, 적절하지 않은 곳에서는 공덕이 되지 않는다.”라고 대답하시고, 당연히 자눗소니는 “고따마 존자시여, 그러면 어떤 것이 적절한 곳이고 어떤 것이 적절하지 않은 곳입니까?”라고 질문을 드리자 세존께서는 대답하시는 것으로 전체 경은 구성되어 있다.
  세존께서는 십불선업도를 지어서 지옥에 태어난 중생들이나 축생의 모태에 태어난 중생들에게 올리는 조령제는 그 지옥 중생들에게는 공덕이 되지 못한다고 하신다.
  십선업도를 지어서 인간의 세상에 태어난 중생들이나 천상의 신으로 태어난 중생에게 올리는 조령제도 그들에게는 공덕이 되지 못한다고 하신다.
  그러나 십불선업도를 지어서 아귀계에 태어난 중생들에게 올리는 조령제만이 그들에게 공덕이 된다고 말씀하신다. 왜냐하면 조령제 자체가 죽은 조상들에게 공양을 올리는 것이며 죽은 조상들이 집착을 가져서 태어난 곳이 아귀계이기 때문이다. 본경은 아귀계와 죽은 조상들의 관계를 이처럼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한편 만일 지금에 죽은 친지들이 아귀계 태어나지 않았다면 아귀계에 태어난 다른 친지들(그 이전에 죽어 아귀계에 떨어진 다른 친척들)이 조령제의 공덕을 가진다고 세존께서는 대답하신다. 어떤 경우에도 조령제는 아귀계와만 연관이 있는 제사라는 말씀이다.
  그리고 세존께서는 본경에서 보시를 행한 공덕의 과보는 반드시 있게 된다는 말씀을 하고 계신다.
물론 본경을 통해서 부처님께서는 간곡하게 하시는 말씀은 십불선업도를 짓지 말고 십선업도를 지어라는 것이다. 십불선업도를 많이 지으면 좋은 결과라고 해도 축생으로 태어나지만 십선업도를 많이 지으면 인간과 천상에 태어난다고 강조하고 계신다. 물론 보시의 공덕은 어는 곳에 태어나더라도 좋은 과보를 가져오게 된다고 말씀하고 계신다.
본경뿐만 아니라 『디가 니까야』 제1권 「꾸따단까 경」(D5)§26 등에서도 제사보다는 오계나 십선업도와 같은 계를 지키는 공덕이 더 수승함을 설하고 있다.

지난 주에 이어 오늘도 십선업도와 십불선업도를 주제로 한 경들을 읽었습니다.

살(殺), 도(盜), 음(淫), 망어(), 기어(), 양설(兩舌), 악구(惡口) (), (), ()

말과 관계된 비법이 네 가지나 될 정도이니

이로움을 실천할 수 있도록 불방일(마음챙김)!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아누담마 | 작성시간 22.01.13 고맙습니다 ~♡
    사두 사두 사두
    _()()()_
  • 작성자티라가-미 | 작성시간 22.01.14 사-두 사-두 사-두!
  • 작성자자나난다 | 작성시간 22.01.14 훌륭하고 훌륭하십니다.
    사두 사두 사두
    _()_ _()_ _()_
  • 작성자메따 | 작성시간 22.01.15 사두 사두 사두
    _()_ _()_ _()_
  • 작성자난디야 | 작성시간 22.01.18 사~두 사~두 사~두
댓글 전체보기

초기불전연구원 근.. 다른글

현재페이지 1234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