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Ⅱ 정보 & 자료실

[[설정자료]]2차대전이후 개발된 최고의 경전차 M41 워커블독 (M41 Walker Bulldog) PT1

작성자mirageknight [왕성국]|작성시간13.12.12|조회수913 목록 댓글 0

안녕하세요~~ 미라지나이트 입니다.

 

요즘 업체들 신제품 뉴스에 정작 아카데미 신작 소식은 늦었네요..!1 지난번 살짝 알려드린 12월 신제품 하나인 13285번 U.S. LIGHT TANK M41A3 WALKER BULLDOG 의 작례가 공개되었습니다.

 

 

 

 

 

2차대전 이래 최고의 경전차로 불리는 M41 Walker Bulldog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M41 Walker Bulldog

 

 

 


Contents

1 제원
2 개요
3 개발
4 종류
5 실전
6 퇴역

1 제원

 

 

 

  • 중량 : 23.5t
  • 전장 : 8.21m
  • 전폭 : 3.19m
  • 전고 : 3.07m
  • 승무원 : 4명
  • 주무장 : 76.2mm M32 전차포 1문 (57발)
  • 부무장 : 12.7mm M2 중기관총 1정 (600발), 7.62mm 기관총 2정 (5,225발)
  • 엔진 : 라이커밍 AOS-895-3 공냉식 휘발유 엔진
  • 최대출력 : 500hp
  • 최고속도 : 72km/h
  • 항속거리 : 161km
  • 장갑 : 13 ~ 38mm
  • 도하가능수심 : 1.02m
  • 초호폭 : 1.83m
  • 초호고 : 0.71m
  • 생산량 : 5,500대

2 개요

[M41 Walker Bulldog 은 제2차 세계대전 종전후 미군이 개발한 걸작 경전차. 경전차란 개념이 사라지기 직전에 만들어진 가장 강력한 경전차다. 워커 불독이란 명칭은 한국전쟁당시의 미8군 사령관인 월튼 워커를 기념하기 위해 붙인 이름이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후 미군이 개발한 걸작 경전차. 경전차란 개념이 사라지기 직전에 만들어진 가장 강력한 경전차다. 워커 불독이란 명칭은 한국전쟁당시의 미8군 사령관인 월튼 워커를 기념하기 위해 붙인 이름이다.

 

 

 

 

 

 
Nickname "Johnnie"
Born (1889-12-03)December 3, 1889
Belton, Texas
Died December 23, 1950(1950-12-23) (aged 61)
South Korea
Place of burial Arlington National Cemetery
Allegiance  United States of America
Service/branch  United States Army
Years of service 1912 – 1950
Rank US-O10 insignia.svg General
Unit US 5th Infantry Division.svg 5th Infantry Division
Commands held 3rd US Armored Division SSI.svg 3rd Armored Division
XX Corps ssi.gif XX Corps
US Fifth Army patch.svg Fifth Army
Eighth Army SSI.svg Eighth Army
Battles/wars

Veracruz (1914)
World War I
World War II

Korean War

Awards Distinguished Service Cross (2)
Distinguished Service Medal (2)
Silver Star (3)
Legion of Merit
Distinguished Flying Cross (2)
Bronze Star
Air Medal (14)
Relations General Sam S. Walker (son)

 

[M41 Walker Bulldog 전차의 이름은 2차대전의 전쟁영웅이자 한국전쟁중 교통사고로 사망한 미8군 사령관인 월튼 워커를 기념하기 위해 붙인 이름이다]

 

 

 

 

3 개발

 

 

 

[미육군은 2차대전전 M3/M5 스튜어트 경전차를 개발했으나 이는 이미 2차대전 개전전에도 성능미달인 전차였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의 경전차는 M3 스튜어트 경전차 같은 모습에 M3 37mm 대전차포 계열의 전차포를 장착한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이런 경전차는 일본군을 상대로 할 때는 그 위력을 발휘했지만, 독일군을 상대로 했을 때는 그야말로 표적 1호에 불과하였다.

물론 스튜어트 계열 경전차는 장갑을 경전차답지 않게 최대 60mm에 육박할 정도로 부착했지만, PaK 40같은 독일군의 대전차포 앞에서는 쉽게 박살나는데다가, 결정적으로 37mm 전차포는 2차대전 초반을 넘기자마자 대전차용으로도, 대보병용으로도 신통치 않은 위력을 보였으므로 먼저 적의 대전차포를 발견하고 사격해도 제대로 제압을 하지 못해서 반격타를 먹는 일이 흔했다. 물론 전차 상대로는 3호 전차를 근거리에서 상대하는 것이 한계점이므로 거기서 거기였다.

 

 

 

 

[M24 채피는 1943년 3월, 개발중이던 M7중전차를 소형화하는 초기안이 제시되었으나 이게 너무 무겁다는 이유로 군부가 이를 거부했고, 다시 M5A1 경전차와 동일한 동력계통을 가진 75mm포 장비형 경전차가 제시되었으나 이것도 무장과 차체가 균형을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거부당해서 최종적으로는 M18 헬캣에 도입된 신형 토션바 현가장치를 참고하여 현가장치를 만든 후 신형 차체와 포탑을 개발해서 만든 것이 바로 채피다 ]



이런 현상을 감안해서 75mm 전차포를 장착한 M24 채피 경전차가 개발되었으며, 해당 경전차는 2차대전중 가장 강력한 경전차로 활약했다. 하지만 이 경전차도 본질적으로는 M4 셔먼이 초기에 장착한 M1897 75mm 야포의 전차포 개수형과 동등한 화력밖에 가지고 있지 않은데다가 최대장갑 38mm로는 독일군의 구식 대전차포인 PaK 36은 물론이거니와, 대전차 소총에도 장갑이 관통되므로 독일군 상대로는 역시 무력할 수 밖에 없었다. 그나마 주포가 75mm고, 빠른 속도와 반응속도를 보이기 때문에 적을 먼저 발견하면 비장갑표적인 경우 선제공격해서 제압이 가능하다는 것이 유일한 장점이었다.

 

 

 

[M24 채피 경전차가 성능미달로 판명되자 바로 새로운 경전차 개발프로젝트를 추진하게 되는데 1947년에 차기 경전차 계획인 T37이 개시되었다. 사진은 T37 페이즈2 의 모습]

 

 

[ 새로운 경전차 프로젝트로 T37이 개발되었다 이 계획에서는 페이즈 I,II,III 이라는 이름으로 세 종류의 각기 다른 차량이 개발되었는데, 그 중 페이즈 II가 T41이란 이름으로 개칭되어 직접적인 조상이 된다. 일단 T41은 3대가 제작되었고, 이를 개량한 물건이 T43E1 이다. 이것이 훗날 M41 워커블독이 된다 사진은 T32 패이즈3 의 모습]

 


그래서 M24 채피 경전차가 대량생산에 돌입한 후인 1947년에 차기 경전차 계획인 T37이 개시되었다. 이 계획에서는 페이즈 I,II,III 이라는 이름으로 세 종류의 각기 다른 차량이 개발되었는데, 그 중 페이즈 II가 T41이란 이름으로 개칭되어 직접적인 조상이 된다. 일단 T41은 3대가 제작되었고, 이를 개량한 물건이 T43E1인데, 이 물건이 바로 M41 워커 불독의 프로토타입으로 M41E1이라는 이름하에 1951년 1월부터 100대가 발주되어 양산되었다.

 

 

 

 

[M24 채피 경전차가 대량생산에 돌입한 후인 1947년에 차기 경전차 계획인 T37이 개시되었다. 이 계획에서는 페이즈 I,II,III 이라는 이름으로 세 종류의 각기 다른 차량이 개발되었는데, 그 중 페이즈 II가 T41이란 이름으로 개칭되어 직접적인 조상이 된다. 일단 T41은 3대가 제작되었고, 이를 개량한 물건이 T43E1인데, 이 물건이 바로 M41 워커 불독의 프로토타입으로 M41E1이라는 이름하에 1951년 1월부터 100대가 발주되어 양산되었다. 사진은 T43E1 프로토 타입의 모습]

 

 

 

 

 

[최종개발된 T43E1의 모습 이외로 강력한 성능의 경전차로 성공적으로 개발되었다]

 

 

 

4 종류

미국을 비롯해서 28개국에서 오랜 기간 사용했으므로 개량형이 많다.

  • M41 (1953) : 기본형

 

  • M41A1 (1954) : 유압식 포탑을 전기식으로 대체, 시스템 개선을 통해 76.2mm 주포탄 탑재량을 57발에서 65발로 증가함.

 

 

 

 

  • M41A2 (1956): 컨티넨탈 AOS 895-3 6기통 휘발유 엔진으로 교체, 해당 엔진은 연료직접분사식 엔진으로 기존의 M41 전차에도 적용됨.

  • M41A3 : M41A1을 연료직접분사식 엔진으로 교체.

 

 

  • M41 DK-1 : 덴마크제 업그레이드 모델. 새로운 엔진, 서멀싸이트, NBC 보호장치, 사이드 스커트를 갖춤.

 

 

 

 

  • Type 64 : 대만제 업그레이드 모델. 퇴역한 M42 더스터 자주대공포 차체 위에 역시 퇴역한 M18 헬캣의 포탑 장착. 향상된 화기관제시스템, 대공용 M2 HB 중기관총, 520 HP 8V-71T 디젤 엔진, 동축기관총을 대만제 T57 7.62mm GPMG[1]로 교체, 포탑 텅스텐 합금 장갑 및 사이드 스커트에 고강도 합금 재질의 HEAT(성형작약탄), APDS(분리철갑탄) 대응용 추가장갑 설치. 후기형은 레이져 거리측정기, 탄도 계산기, 야간 투시경 장착.

 

 

  • M41D : 대만제 업그레이드 모델. 무장 교체, 화기관제시스템 교체, 디트로이트 디젤 8V-71T 디젤 엔진, 반응장갑 도입

  • M42 Duster (1952): M41 차체를 이용해서 만든 자주대공포. 2문의 보포스제 40mm 대공포를 선회포탑에 장비함.


5 실전

최초 실전 데뷔는 6.25 전쟁이다. 하지만 이 때는 아직 개발이 완료되지 않은 상황에서 T41이란 실험용 명칭을 붙인 채 그대로 실전에 투입되었다. 게다가 극소량이라 전쟁에 끼친 영향이 거의 없었다.

 

 

 

[M41 워커블독의 최초 실전 데뷔는 6.25 전쟁이다. 하지만 이 때는 아직 개발이 완료되지 않은 상황에서 T41이란 실험용 명칭을 붙인 채 그대로 실전에 투입되었다. 게다가 극소량이라 전쟁에 끼친 영향이 거의 없었다]

 


그래서 실질적인 데뷔는 베트남 전쟁때로, 베트남 공화국의 군대인 남베트남군이 M24 채피와 함께 500여대라는 대량의 숫자를 보유하였다. 이 때 워커 불독은 상당한 호평을 받았는데, 일단 주포는 근거리로 접근하면 T-55도 전면에서 격파가 가능하고, 빠른 속력을 가진데다가 정비 소요 및 조작성도 기술이 미약한 남베트남에서 충분히 운용가능한 수준이었기 때문이었다. 결정적으로 가격도 M48같은 본격적인 전차의 반값밖에 되지 않으므로 대량으로 장비하기도 편했다.

 

 

 

[M41 워커블독은 베트남전에 비로서 제대로 된 성능을 보여주는데 미육군과 남베트남군에서 널리 사용되며 맹활약을 펼치게 되었다. 사진은 남베트남군 소속의 M41A2의 모습]

 

 


원래 남베트남군은 1954년에 프랑스군이 버리고간 M5 스튜어트M24 채피 경전차를 운용하고 있었다. 이중 M5는 애초에 구식장비라 빠르게 도태되었지만 M24는 1960년대 초까지 계속 운용하였다.

 

 

 [원래 남베트남군은 1954년에 프랑스군이 버리고간 M5 스튜어트M24 채피 경전차를 운용하고 있었다. 이중 M5는 애초에 구식장비라 빠르게 도태되었지만 M24는 1960년대 초까지 계속 운용하였다]


하지만 채피의 한계점은 이미 프랑스군이 운용할 때부터 드러난지라, 1965년, 미국은 남베트남에 M41을 제공하여 M24를 대체토록 지원하였다. 그래서 1965년 10월, 남베트남군은 15대의 M41 경전차를 투입해서 플레이 메 특수부대 캠프 지원작전에 참가함으로서 최초로 실전투입을 하게 된다. 그후 미국의 베트남전 개입이 확대되면서 남베트남군 M41 전차는 공항 등 도시 주요 시설에 배치되어 베트콩의 기습 공격에 대비하거나 고위 군장성 또는 정치인 보호에 사용되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당시 남베트남 기갑 장교들은 군작전보다는 정치적 성격의 명령을 더 많이 받는 상황이었으며, 기갑부대도 전투보다는 호위에 주력했다.

 

 


그러다 1968년에 감행된 북베트남군의 구정공세가 기갑부대의 면모를 일신하는 계기가 되었다. 기갑부대는 도시 주요 시설과 군기지에 감행된 맹렬한 공격을 물리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이런 충격을 받은 남베트남의 기갑부대 고위장교들은 정치활동에 열중하는 등 군인의 업무를 등한시하는 것에서 벗어나서 1970년 5월에 실시된 캄보디아 침공 작전 시점이 되면 그럭저럭 실전에 쓸만하게 되었다.

이렇게 해서 전투에 적합하게 된 남베트남군의 기갑부대는 1971년 2월, 라오스 영내의 북베트남군 기지 공격을 위한 람손 719 작전을 개시하면서 최초로 전차와 전차가 격돌하는 본격적인 전차전을 경험하게 된다.

남베트남군은 제1기갑여단 소속 M41A3 워커 불독 3개 전차대대의 지원을 받으며 라오스 영내로 침공하였으며, 호치민 루트 인근의 알로우이에 주요 목표인 체폰으로의 전진 교두보를 확보하였다. 이렇게 남베트남군이 라오스 영내로 밀고 들어오자 북베트남군도 2월 19일부터 T-54 주력전차PT-76 수륙양용경전차를 투입하여 반격에 나섰다.

 

 

 

[베트남전에서 M41 은 북베트남군의 PT-76 전차와 T-54 전차를 상대로 맹활약을 펼쳤다 비록 경전차라 장갑방호력은 약했지만 장비한 90밀리 주포는 당시 주력전차인 M48 전차에 장착된것과 동일한 물건으로 매우 강력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북베트남군의 반격을 맞은 남베트남 제39레인저 대대는 전차가 없는데다가 병력도 열세라서 북베트남군의 치열한 반격을 견디지 못했으며, 결국 남베트남군은 퇴각을 위하여 화력기지 31(LZ31)에 병력을 집결토록 명령하였다. 하지만 집결지가 북베트남 보병과 전차의 공격에 직면하자 5대의 M41A3 경전차가 구원에 나섰으며, 북베트남군 전차들과 치열한 포격전을 벌였다.

최초의 전차전에서 M41A3는 아무런 손실 없이 T-54 전차 6대와 PT-76 경전차 16대를 격파했다. 그러나 북베트남군은 반격의 강도를 증가시켰으며, 몇주 후 남베트남군은 총퇴각을 결행하면서 북베트남군의 추격을 받았기 때문에 많은 병력과 M41 경전차 등 다량의 군장비를 상실하였다.

1972년 3월 30일, 북베트남군이 T-54/55, PT-76 전차와 ZSU-57-2, ZSU-23-4 대공자주포, 그리고 각종 장갑차량 수 백대를 앞세워 대규모 부활절 공세를 감행했다. 제1군단 지역을 침공한 전차들은 DMZ 인근의 남베트남군 화력지원기지 수십 곳을 급습했다. 이 때가 베트남 전쟁에서 최초로 공산측이 대규모 전차전력을 집중한 사례였다.

북베트남 전차부대가 쾅트리와 다낭을 향해 홍수같이 밀려들었지만 소수의 M41 경전차로 막아내기란 불가능하였다. 그래서 미군이 철수하면서 넘겨준 M48A3 패튼 전차 10여대를 보유한 남베트남 제20전차연대는 북베트남군 전차 수십대를 격파하는 전과를 올렸다. 그리고 미군의 항공지원에 힘입은 남베트남군은 M48 전차와 M41 전차로 방어선을 구축하였다. 이때 북베트남군은 AT-3 새거 대전차미사일과 포격을 사용하여 M41 경전차와 M48 전차 몇 대를 격파하였다.

1975년, 결정적인 대규모 공세에 성공, 마침내 통일을 달성한 북베트남군은 다량의 M41A3 전차를 노획하였다. 이 전차들은 1978년 캄보디아 침공작전 때 사용되었다.

M41 워커 불독 경전차가 대량 운용된 베트남 전쟁에서의 평가는 짧은 항속거리를 빼면 매우 높았으며, 장갑이 얇은 경전차라는 한계로 인해 대규모 전차전에서는 한계를 드러냈지만 그 외의 경우에는 적의 주력전차를 잡기도 하는 등 쓸만한 평가를 받았다. 덕분에 노획된 뒤에도 북베트남군이 한동안 잘 사용했다.

6 퇴역

하지만 정작 본가인 미국에서는 M551 셰리든 전차가 도입된 이후에 급속하게 퇴역했는데, 그 이유는 공수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원래 미군은 어떤 지역에 급속히 병력을 투입할 때 육상 병력의 경우 일단 공수부대를 보낸 후, 해병대로 해안에 교두보를 만들고 공수부대와 연결한 다음에 수송선을 보내서 본격적인 육군 부대를 대량 투입하는 수순으로 작전을 진행한다.

 

 

 

 

[1970년대 공수전차인 M551 쉐리던 전차의 등장으로 M41 워커블독은 퇴역하게 되었는데 그 이유는 공수가 불가능하기 때문이였다. 사진은 미육군이 사용안 M41A3형의 모습]

 

 


문제는 이 과정에서 워커 불독은 어느 쪽에 들어가기도 힘들다는 것이다. 공수부대가 잠시 버틸 동안 사용할 기갑차량이 되려면 공수가 가능해야 하는데, 그러기에는 중량이 초과된 상태고, 해병대 투입 시점이 되면 장갑과 화력이 높은 본격적인 전차인 M48을 투입하는 편이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성능에 비해 일찍 퇴역하였다.

 

 

[하지만 값싼 가격과 운용하기 쉽다는 장점을 가지면서도 성능이 그렇게 나쁘지 않았고, 경전차로서는 최강이었으므로 세계 각국에서 도입한 워커 불독은 보통 1980년대까지 각종 개수를 거치면서 사용되었으며, 대만같이 정치적으로 신형 전차를 도입하기 힘든 곳은 엄청난 개수를 거쳐서 도서방어용 전차로 2000년대까지 사용중이다. 사진은 태국육군소속의 M41DK 형의 모습]


그러나, 값싼 가격과 운용하기 쉽다는 장점을 가지면서도 성능이 그렇게 나쁘지 않았고, 경전차로서는 최강이었으므로 세계 각국에서 도입한 워커 불독은 보통 1980년대까지 각종 개수를 거치면서 사용되었으며, 대만같이 정치적으로 신형 전차를 도입하기 힘든 곳은 엄청난 개수를 거쳐서 도서방어용 전차로 2000년대까지 사용중이다.

 

 

 

 

 

[특히 정치적으로 새로운 전차를 도입하기 어려운 대만의 경우 M41 을 마르고 닿도록 사용하였다 최근에도 일부를 개수하여 도시방어용으로 사용중이라고 한다]

 

 

[특히 대만은 반응장갑에 열영상장비등을 추가한 M41D 형으로 개조하여 현재까지도 방어용으로 널리 사용중에 있다]

 

 

---
  • [1] 이름이 거창하지만 M60 이다.

출처 엔하키미러 (http://mirror.enha.kr/wiki/M41%20%EC%9B%8C%EC%BB%A4%20%EB%B6%88%EB%8F%85)

 

PT2에 계속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Ⅱ 정보 & 자료실 다른글

현재페이지 1234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