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서지혼(野鼠之婚)
두더지의 혼인이라는 뜻으로, 제 분수에 넘치는 허영심 또는 동류는 동류끼리 가장 잘 어울림을 비유하는 말이다.
野 : 들 야(里/4)
鼠 : 쥐 서(鼠/0)
之 : 갈 지(丿/3)
婚 : 혼인할 혼(女/8)
짚신도 제짝이 있다는 속담은 보잘것없는 사람도 자기의 짝은 있다는 말이다. 두더지(野鼠)의 짝은 어떤 것이기에 이런 말이 나왔을까.
두더지가 자기 분수도 모르고 새끼의 짝을 구하기 위해 이곳저곳에 청을 넣어보다 결국은 같은 종족인 두더지가 제일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이 이야기에서 엉뚱한 허영심을 가져서는 안 된다는 것과 세상에는 절대적인 것은 없고 모두가 상대적이라는 것을 가르친다.
우리 속담을 한역한 부록으로 유명한 홍만종(洪萬宗)의 문학평론집 순오지(旬五志)에 소개돼 있다.
어느 때 한 두더지가 자식을 위해 좋은 혼처를 구하려고 했다. 자신은 항상 땅속에서만 생활하여 못마땅해 했는데 자식에게는 넓은 세상에서 당당하게 살게 해주고 싶었다.
하늘의 태양이 가장 훌륭하다고 여겨 하늘에 청혼하니 ‘내 비록 세상을 품고는 있지만 해와 달이 아니면 덕을 드러낼 수가 없네’ 하며 거절했다.
두더지는 이번에 해와 달을 찾아 혼처로 구했지만 ‘나는 구름이 가리면 세상을 비출 수 없다’며 손사래치고, 다시 구름을 찾아가 청혼을 하니 ‘내 비록 해와 달의 빛을 가릴 수는 있지만 바람이 한번 불면 흩어질 뿐이네’ 하고 돌아섰다.
할 수 없이 바람을 찾아가 구혼하니 ‘내가 구름을 흩어지게는 하지만 저 밭 가운데의 돌부처는 끄떡도 할 수 없으니 저보다 못하네’ 하여 돌부처를 찾아가자 이렇게 말하는 것이 아닌가.
‘내가 비록 거센 바람도 무섭지 않지만 오직 두더지가 내 발밑을 뚫고 들어오면 바로 넘어지고 말지(我雖不畏風 惟野鼠 穿我足底 則傾倒/ 아수불외풍 유야서 천아족저 즉경도). 그래서 두더지가 나보다 낫다네.’
부지런히 새끼의 좋은 짝을 구하러 다니던 두더지는 이 말을 듣고 기고만장하여 ‘천하에 높은 것이 나만한 게 없구먼’ 하며 동족 두더지와 혼인을 시켰다.
잘 어울리는 배우자는 자신이 안다. ‘결혼은 자기와 동등한 자와 할 일이다. 자기보다 뛰어난 상대는 반려가 아니고 주인을 구하는 것’이란 서양 격언이 있다.
그러니 지체 높은 집과 하는 仰婚(앙혼)이 처음에는 보란 듯이 내세우다가도 실제 생활은 불행에 이르는 일이 많다.
결혼 시즌에 대사를 앞둔 청춘남녀들이 한 번 더 생각할 일이다.
鼹鼠婚(언서혼), 野鼠婚(야서혼), 鼯鼠之技(오서지기)란 비슷한 말이 있고 자신의 처지를 알고 청혼을 사양하는 齊大非耦(제대비우)는 반대의 뜻이다.
▶️ 野(들 야, 변두리 여, 농막 서)는 ❶형성문자로 埜(야)는 고자(古字), 墅(야)는 동자(同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마을 리(里; 마을)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予(여, 야)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予(여, 야)는 물건과 물건을 강제로 떼어놓는 일이나 침착하여 초조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里(리)는 사람이 사는 곳, 野(야)는 마을에서 떨어진 곳, 넓고 넓은 곳을 나타낸다. 도시의 언저리를 郊(교)라고 하고 郊(교)의 언저리를 野(야)라 한다. 옛 글자체는 숲(林)과 흙(土)을 합(合)한 것(埜)이며 나무가 난 곳을 나타낸다. ❷회의문자로 野자는 ‘들판’이나 ‘교외’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野자는 里(마을 리)자와 予(나 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予자는 실을 감는 ‘실패’를 그린 것이지만 여기에서는 ‘여→야’로의 발음역할만을 하고 있다. 그런데 野자의 갑골문을 보면 土(흙 토)자와 林(수풀 림)자가 결합한 埜(들 야)자가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흙과 나무가 많은 곳을 표현한 것으로 숲이 우거져 있는 ‘들판’이나 ‘교외’라는 뜻을 담고 있다. 그러나 소전에서부터는 里자가 교외 지역의 의미를 대신하게 되었고 予자는 발음역할을 하게 되면서 지금의 野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그래서 野(야, 여, 서)는 먼저 들 야의 경우는 ①들, 들판(야) ②민간(民間: 일반 백성들 사이)(야) ③문밖, 마을, 시골(야) ④성(城) 밖, 교외(郊外)(야) ⑤구역(區域), 범위(範圍)(야) ⑥별자리(야) ⑦야생(野生)의(야) ⑧질박하다(꾸민 데가 없이 수수하다)(야) ⑨촌스럽다, 꾸밈새가 없다(야) ⑩길들지 않다(야) ⑪서투르다, 익숙하지 못하다(야) ⑫거칠다(야) ⑬등한하다(무엇에 관심이 없거나 소홀하다), 사리에 어둡다(야) ⑭비천하다(야) ⑮미개하다(야) ⑯방종하다, 자유분방하다(야) 그리고 변두리 여의 경우는 ⓐ변두리, 교외(郊外)(여) 그리고 농막 서의 경우는 ㉠농막(農幕: 농사짓는 데 편리하도록 논밭 근처에 간단하게 지은 집)(서) 따위의 뜻이 있다.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아침 조(朝), 더불 여(與)이다. 용례로는 지능이 미개하고 문화가 극히 뒤떨어진 상태를 야만(野蠻), 들에서 나는 나물을 야채(野菜), 크게 무엇을 이루어 보겠다는 희망을 야망(野望), 산이나 들에 저절로 나서 자람을 야생(野生), 마을에서 좀 멀리 떨어져 있는 들을 야외(野外), 들 가까이에 있는 나지막한 산을 야산(野山), 야망을 이루려는 마음을 야심(野心), 농사를 짓는 사람을 야민(野民), 야심을 품은 욕심을 야욕(野慾), 들에서 하는 싸움을 야전(野戰), 성질이나 행동이 야하고 비루함을 야비(野卑), 좋지 못한 목적 밑에 서로 어울림을 야합(野合), 들에 친 진영 또는 거기서 하는 생활을 야영(野營), 교양이 없고 거친 사람을 야인(野人), 어떤 갈래에 달린 범위나 부문을 분야(分野), 여당과 야당을 여야(與野), 눈의 보는 힘이 미치는 범위를 시야(視野), 지표면이 평평한 넓은 들을 평야(平野), 아득하게 너른 벌판을 광야(廣野), 나무가 무성한 들을 임야(林野), 초야에 파묻혀 있음을 재야(在野), 현명한 사람이 모두 등용되어 민간에 인물이 없음을 야무유현(野無遺賢), 기름진 들판이 천 리에 달한다는 뜻으로 끝없이 넓은 기름진 들판을 옥야천리(沃野千里), 산과 들에 가득히 뒤덮임을 만산편야(滿山遍野), 끝이 없이 넓은 들을 무변대야(無邊大野), 두 다리의 여우라는 뜻으로 마음이 음흉하고 욕심이 많은 사람을 두고 이르는 말을 양각야호(兩脚野狐), 이리 새끼는 사람이 길들이려고 해도 본래의 야성 때문에 좀체로 길들여지지 않는다는 낭자야심(狼子野心) 등에 쓰인다.
▶️ 鼠(쥐 서)는 ❶상형문자로 쥐의 이와 몸을 본 뜬 모양이다. ❷상형문자로 鼠자는 ‘쥐’나 ‘좀도둑’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鼠자의 갑골문을 보면 쥐의 주둥이 주위에 흩어진 낱알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곡식을 갉아먹고 있는 쥐를 표현한 것이다. 쥐는 아주 오래전부터 인간의 곡식을 훔쳐 먹고 살던 동물이다. 그러다 보니 鼠자에는 ‘좀도둑’이나 ‘간신배’와 같은 부정적인 의미가 있다. 鼠자는 금문으로 넘어오면서 모양이 크게 변형되었는데, 쥐의 앞니는 臼(절구 구)자로 바뀌었고 꼬리와 발은 생략되었다. 鼠자는 쥐를 그린 것이기 때문에 부수로 쓰일 때는 鼢(두더지 분)자나 鼬(족제비 유)자처럼 설치류와 관련된 동물을 뜻하게 된다. 그래서 鼠(쥐)는 ①쥐(쥣과의 포유 동물) ②좀도둑 ③병(病)의 이름, 임파선(淋巴腺) 결핵(結核) ④간신(奸臣)의 비유 ⑤근심하다(속을 태우거나 우울해하다), 걱정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쥐며느리를 서고(鼠姑), 족제비를 서랑(鼠狼), 쥐의 족속 또는 몹시 교활하고 잔일에 약게 구는 사람을 서족(鼠族), 좀도둑으로 자질구레한 물건을 훔치는 도둑을 서도(鼠盜), 목에 결핵성 림프선염이 생겨 곪아 뚫린 구멍에서 늘 고름이 나는 병을 서루(鼠瘻), 갈매나무를 서리(鼠李), 소인배들을 서배(鼠輩), 쥐의 털과 같은 빛깔 곧 짙은 잿빛을 서색(鼠色), 곡식을 쥐가 먹어서 나는 축을 서축(鼠縮), 쥐가 쏠아서 결딴냄을 서파(鼠破), 쥐의 가죽을 서피(鼠皮), 두 다리의 사이를 서혜(鼠蹊), 쥐의 쓸개라는 뜻으로 담력이 약한 것을 얕잡아 이르는 말을 서담(鼠膽), 들쥐를 야서(野鼠), 캥거루를 대서(袋鼠), 박쥐를 비서(飛鼠), 사향쥐를 사서(麝鼠), 토끼를 토서(兔鼠), 두더지를 토서(土鼠), 다람쥐를 산서(山鼠), 날다람쥐를 청서(靑鼠), 족제비를 낭서(狼鼠), 족제비를 황서(黃鼠), 흰쥐를 백서(白鼠), 땅강아지를 석서(石鼠), 두더짓과에 딸린 포유 동물을 분서(鼢鼠), 다람쥐과에 딸린 작은 동물을 석서(鼫鼠), 들쥐과에 딸린 포유 동물을 수서(水鼠), 쥐의 간과 벌레의 팔이라는 뜻으로 매우 쓸모없고 하찮은 것을 이르는 말을 서간충비(鼠肝蟲臂), 쥐나 개처럼 가만히 물건을 훔친다는 뜻으로 좀도둑을 이르는 말을 서절구투(鼠竊狗偸) 등에 쓰인다.
▶️ 之(갈 지/어조사 지)는 ❶상형문자로 㞢(지)는 고자(古字)이다. 대지에서 풀이 자라는 모양으로 전(轉)하여 간다는 뜻이 되었다. 음(音)을 빌어 대명사(代名詞)나 어조사(語助辭)로 차용(借用)한다. ❷상형문자로 之자는 ‘가다’나 ‘~의’, ‘~에’와 같은 뜻으로 쓰이는 글자이다. 之자는 사람의 발을 그린 것이다. 之자의 갑골문을 보면 발을 뜻하는 止(발 지)자가 그려져 있었다. 그리고 발아래에는 획이 하나 그어져 있었는데, 이것은 발이 움직이는 지점을 뜻하는 것이다. 그래서 之자의 본래 의미는 ‘가다’나 ‘도착하다’였다. 다만 지금은 止자나 去(갈 거)자가 ‘가다’라는 뜻으로 쓰이고 之자는 주로 문장을 연결하는 어조사 역할만을 하고 있다. 그래서 之(지)는 ①가다 ②영향을 끼치다 ③쓰다, 사용하다 ④이르다(어떤 장소나 시간에 닿다), 도달하다 ⑤어조사 ⑥가, 이(是) ⑦~의 ⑧에, ~에 있어서 ⑨와, ~과 ⑩이에, 이곳에⑪을 ⑫그리고 ⑬만일, 만약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이 아이라는 지자(之子), 之자 모양으로 꼬불꼬불한 치받잇 길을 지자로(之字路), 다음이나 버금을 지차(之次), 풍수 지리에서 내룡이 입수하려는 데서 꾸불거리는 현상을 지현(之玄), 딸이 시집가는 일을 지자우귀(之子于歸), 남쪽으로도 가고 북쪽으로도 간다 즉, 어떤 일에 주견이 없이 갈팡질팡 함을 이르는 지남지북(之南之北) 등에 쓰인다.
▶️ 婚(혼인할 혼)은 ❶형성문자로 昏(혼)과 통자(通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계집 녀(女;여자)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昏(혼; 저녁 때)의 합자(合字)이다. 옛날엔 여자가 시집 갈 때에 해질녘부터 식이 시작되었으므로 시집가는 뜻을 나타낸다. ❷회의문자로 婚자는 ‘혼인하다’나 ‘결혼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婚자는 女(여자 여)자와 昏(어두울 혼)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그런데 갑골문에 나온 婚자는 지금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었다. 고대에는 어두운 밤에 결혼식을 치렀다고 한다. 그래서 갑골문에서는 귀를 쫑긋 세운 사람만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신랑이 오는 발걸음 소리에 귀 기울이고 있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이 글자는 후에 ‘어둡다’라는 뜻을 가진 昏자와 결합하여 ‘결혼하다’라는 뜻의 婚자가 되었고 문밖으로 귀를 기울이던 모습은 門(문 문)자와 결합해 ‘듣다’라는 뜻의 聞(들을 문)자가 되었다. 그래서 婚(혼)은 ①혼인하다 ②결혼하다 ③처가(妻家) ④사돈(査頓) ⑤처가 살붙이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혼인 인(姻), 장가들 취(娶)이다. 용례로는 장가들고 시집 가는 일을 혼인(婚姻), 혼인에 쓰는 제구를 혼구(婚具), 혼인에 관한 일을 혼사(婚事), 혼인한 새신랑과 새색시가 처음으로 함께 자는 날의 첫날 밤을 혼야(婚夜), 혼인의 의식을 혼의(婚儀), 결혼하기 전을 혼전(婚前), 혼인 잔치를 치르는 집을 혼가(婚家), 혼인하기에 알맞은 나이를 혼기(婚期), 혼인의 의례를 혼례(婚禮), 혼인 때 신랑 집에서 예단에 붙여 신부 집에 보내는 편지를 혼서(婚書), 혼인 때에 떠들썩하고 소란한 일을 혼요(婚擾), 혼인하는 날을 혼일(婚日)혼인을 하기에 알맞게 된 남자와 여자를 혼재(婚材), 혼인에 의하여 맺어진 친척을 혼척(婚戚), 혼인할 좋은 날을 가림을 혼택(婚擇), 혼인을 정하기 위하여 오가는 말을 혼담(婚談), 혼인할 나이를 혼령(婚齡), 혼인에 쓰이는 물품을 혼수(婚需), 혼인 때에 신랑이 신부집으로 가거나 신부가 신랑집으로 가는 일을 혼행(婚行), 배우자가 아닌 다른 이성과 벌이는 정사를 혼외정사(婚外情事), 혼인하기를 약속함을 혼인예약(婚姻豫約), 배를 손가락으로 가리켜 혼인을 약속한다는 뜻으로 임산부가 있는 두 집안에서 아이들을 낳기 전에 배 속의 아이들끼리 약혼을 맺는 일을 지복위혼(指腹爲婚)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