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일 법문 030-1/퇴옹 성철
7) [유식술기(唯識述記)]
이숙식은
즉 제8식을 말함이니
이름에 여러가지 뜻이 있다.
첫째는
다르게 변해서 익는 것
(變異而熟)이니
원인이 변할 때에
과보가 바야흐로 성숙되기 때문이다.
이 뜻은 다른 것에도 다 통하니
과보가 생길 때는
변하여 달라지기 때문이다.
둘째는
때를 달리해서 익는 것
(異時而熟)이니
원인과 시기를 달리하여
과보가 바야흐로 성숙하기 때문이다.
셋째는
종류를 달리해서 익는 것
(異類而熟)이니
원인과 성질을 달리하여
과보가 원인에 보답하기 때문이다.
謂異熟識은
卽第八識이니 名有多義라
一은 變異而熟이니
要因變異之時에 果方熟故니라
此意通餘하니
種生果時에 皆變異故니라
二는 異時而熟이니
與因異時하여 果方熟故니라
三은 異類而熟이니
與因異性하여 果酬因故니라.
(唯識述記;大正藏 43, p. 238 下)
이숙식에는
세 종류가 있지만,
이 중에서
선악 업보의 과체로서의 제8식은
이류이숙뿐이고,
나머지는
생성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후자의 경우는
생사 윤회의 주체로서의
이숙식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다음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