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사회주의 집단지도체재는 독특함니다
기존의 사회주의 국가들도 집단지도체재의 형식을 유지하였지만
결국 한 개인
즉 지도자에 의하여 관료들이 임명되거나
각 계파간 당권투쟁을 통해 권력을 나누어같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였슴니다
(현실의 중국공산당이 이러한 후자의 모양새를 같고있지요)
이러한 까닦으로
동구권 사회주의 나라들은 극단적 권력집중에 의해 파쑈화 되거나
지나친 당권경쟁으로 인하여 보신주의적 관료제가 성행하며 국가 생산력의
저하 노동의욕 상실 관료제 부패와 타락으로 자연 몰락의 길을 걸었지요
북한만의 독특한 관료제 집단지도체재는
이러한 관료제의 허와 실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그 대안으로
주민 소환제 비슷한 제도를 시행함니다
다시말해서
관료를 선출하는 방식이 기존의 사회주의들과 차별화 되었다는 것임니다
우선 모든 당원은
마을 단위이건 직장단위이건 군단위 이건 각 개별 단위 주민들의 동의와
당 중앙위원회에서 파견되 상시근무중인 각 단위 세포위원들의 추천이 없으면
당원이 될수 없다는 것이지요
다시 쉽게 정리하면
공무원이나 당원이 되기 위해서는 각 단위에서
성실성과 근면성 대중에대한 헌신성 인격적 품성 당에대한 충성도 등 등
을 대중속에서 스스로 증명하여야 한다는 말임니다
이러하게 일차적 관문을 통과하여
어렵사리 공무원이나 당원이 되었다 하여도
그 배치된 조직내에서 또다시 당에대한 헌신성과 대중에대한 입장과 태도가 불량하다면
해당 지역 대중들의 탄원과 민원이 상급 세포위원에게 곧바로 전달됨니다
그리고도 시정되거나 고쳐지지 않는다면 다시 평범한 일상으로의 복귀이지요
서평방송의 북한 영화나 드라마를 보신 분들은 다 아실검니다
일반 대중들이 고위직 인사나 간부들을 전혀 두려워 하거나 어려워 하지 않는다는
점을 말임니다
이와같이 북의 집단지도 시스템은
이중 삼중의 검증과정을 거쳐 업무에서의 탁월한 능력과 대중에 대한 헌신성이
없다면 고위직으로의 승진은 꿈도 꾸지 못할 일이지요
이를 다시 뒤집어 생각하면
고위직 일수록 사회적 도덕성과 인격적 품성
업무능력의 탁월함 그리고 대중에 대한 봉사 헌신성의 요구도가
점점 높아지는 것임니다
한마디로 고위직일수록 졸라 힘들다는 것이지요
그러함에도 고위직으로 진출하려는 까닭은...?
사회정치적 생명인 명예를 소중히 생각하는 전 사회적 기풍이 자리잡았다는
반증이겠지요.
댓글
댓글 리스트-
작성자부도선인 작성시간 11.12.21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의 실상을 언제나 왜곡 없이 접하게 되려는지?...
잘 보았습니다. -
작성자달구개비 작성시간 11.12.21 위와같은 북녘 사회구조가 어떤 외부의 도전에도 자체 내 어떤 어려움도 극복하는 원동력이 됐겠구나 하는 생각이듭니다.좋은글 감사합니다.
-
작성자trend21 작성시간 11.12.21 그게 서구 신본사회에는 없는 안본사회만의 독특한 시스템이지요,, 형식은 서구 사회주의를 모방하나 내용은 위민이천인
500년 조선의 철학이 그대로 살아 숨쉬고 있다는,,, -
작성자늦깍이 작성시간 11.12.22 이 시기에 우리 카페를 찾는 많은 분들께
함께 생각해 볼수있는 좋은 글입니다.
도덕성...
대한민국 위정자들에게 아니 이 사회에 도덕성을 묻는다면..???
자본주의 사회에서 도덕성이란..???
trend21 님의 말씀처럼 자본과 신본으로 뒤범벅되어 만들어진 이 세계에
인내천의 도덕성을 바란다는 것은 기대난망이죠.
영원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