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북한사회의 실상

점쟁이가 찍었던 '北김정일을 암살할 사람'은

작성자정론직필|작성시간12.07.07|조회수2,245 목록 댓글 9

요즘 찌라시들이 광분하여 "종북" 타령을 하며, 그리고 북한을 헐뜯지 못해

아주 안달이 난듯 합니다.


그러더니 이젠 지난 4월 13 일자 기사를 찾아다가.....이제야 기사화하며

북한을 악의적으로 헐뜯는군요.




점쟁이가 찍었던 '北김정일을 암살할 사람'은

조호진 기자 

입력 : 2012.07.07 14:45 | 수정 : 2012.07.07 15:4



                                                 사진출처=독일 구호단체 캅 아나무르


북한 당국이 세 쌍둥이나 장애를 가진 신생아들을 태어나자마자 부모에게서 빼앗아 별도 관리하며, 장애를 가진 신생아는 살해한다는 주장이 7일 제기됐다. 


올 3월 평양을 방문 취재한 영국일간지 인디펜던트에 따르면 북한에선 세 쌍둥이가 태어나면 곧바로 부모로부터 격리된다. 부모에게는 육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네 살까지 키워준다는 명분을 내세운다. 하지만 네 살이 된 후 세 쌍둥이를 돌려주는지는 확인할 수 없으며, 실제로는 영원히 격리되는 것 같다고 인디펜던트는 전했다. 


북한 당국이 세 쌍둥이를 특별 관리하는 과정은 출산 이전부터 시작된다. 세 쌍둥이 출산이 임박하면 임신부를 병원으로 이송한다. 병원에서 먼 곳의 임신부는 헬기를 태워 옮기기도 한다. 기름 부족으로 군사훈련조차 축소하는 북한이 세 쌍둥이 임신부를 위해서는 헬기까지 동원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 인디펜던트는 “북한 당국이 세 쌍둥이를 태어나자마자 부모로부터 격리시키는 이유는 김정일이 가진 미신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김정일이 세 쌍둥이가 자신을 암살할 것이라는 점쟁이의 예언을 들은 바 있어 모든 세 쌍둥이를 별도로 관리한다는 것이다. 세 쌍둥이가 네 살이 되면 부모에게 돌려주는 것이 맞느냐는 질문에 북한 관계자들은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고 한다. 


한편 인디펜던트는 방북 기간 중 방문한 평양 산부인과 병원에서 장애 신생아를 한 명도 볼 수 없었다면서, 병원 관계자들은 "장애를 가진 신생아는 특별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이 신문은 "북한 당국은 장애를 가진 신생아는 죽여 묻는다"는 북한 의과대학 출신 탈북자 이광철(50)씨의 증언을 인용, 장애 신생아들이 어떻게 처리되는지는 북한 당국만이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7/07/2012070700670.html?news_Head1

-------------

(인디펜던트 원문)


Journey into the heart of North Korea

As Pyongyang tries to show its military might, Tomiko Newson shares an exclusive glimpse of the sinister and sad reality of daily life inside a paranoid nation

TOMIKO NEWSON   FRIDAY 13 APRIL 2012





On the top floor of the maternity hospital in the North Korean capital, Pyongyang, I was shown two sets of triplets lined up in a row of metal cots. "Ahh," I cooed, then asked where the worn- out mothers were. "Oh, they are not necessary," was the reply.


The regime claims it venerates triplets. And they do, but not in a way you or I might celebrate. They send a helicopter to pick up the pregnant mother and take her to hospital for the birth. When triplets are born, the state takes them away. In exchange, parents are given gifts, a ring for girls and a silver knife for boys. They say the state looks after them for the first four years but there's no way of checking that – it could be for ever.


While I was there the hospital was celebrating its 415th set of triplets. They had even drawn up a poster, complete with pictures of triplets in the state orphanage, where the Kim dynasty provides for them. They say it is voluntary, but in a country where you face public execution for making an international phone call, if the state suggests you do something, you do it.


The logic behind this bizarre behaviour is that triplets are expensive so that state eases the parents' burden by looking after them. But remember this is a communist country where the state provides houses for free and feeds every mouth. I asked why the state couldn't ease the burden by providing a larger house and more food, but got no answer.


I asked if the parents can't afford to feed them as babies how would they be able to afford three growing four-year-olds when they are supposed to get them back? Again, no answer. There may be a darker reason behind the state's removal of triplets. Kim Jong-il, whose death in December caused millions in the world's last Stalinist state to weep openly, is reported to have feared an astrologer's prediction that a triplet would assassinate him. The regime tells its people that they live in a paradise, they have nothing to envy and with no access to the outside world they believe it. The disconnect between the state's mass brainwashing and the dysfunctional reality is at its darkest in the maternity hospital, a huge Stalinist concrete block. It smelled, not of disinfectant, but of musty neglect.


All North Koreans are allowed to have their first born in the hospital, a privilege that seemed like a curse. It was a living museum. They gave us a demonstration of a 1960s machine which, our guides told us, could cure infertility. It looked like a bad confidence trick. The hospital's take on patient choice was medieval. Mothers have to give birth alone and aren't allowed to meet with any family or even their husbands for at least a week after. The only contact they have is through little booths with phones like the ones in American prison dramas except the mothers aren't behind glass but on a TV screen. The explanation for this isolation is to prevent infection, yet rubber gloves, disinfectant or hand soap did not seem to be deemed necessary.


In the maternity hospital I saw no disabled children. They told me they are cared for in special homes. Six years ago Dr Ri Kwang-Chol, who defected from the North to the South, claimed that babies that were born with physical defects were put to death and buried. I had no way of verifying that but in five days in Pyongyang and three in the countryside no one in our party of 15 (all students, on a 'fact finding trip') – Britons, Italians and others – saw a disabled person. Where are they? Dr Ri's claim of state infanticide does not seem far-fetched.


The buildings in this city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of architecture: sixties Bond-film villain buildings, Soviet-style housing blocks and buildings that would look at home in Thunderbirds. Individual action does not exist. Everybody moves in blocs. We saw clusters of hundreds of people huddled together raking the mud or on their knees combing scraps of grass. Even visits to the war museum, where residents learn how the "American imperial aggressors" bowed down in front of the Korean people, are arranged by factory.


In regular cities the bulk of the people are on the road, in cars, taxis or on buses. In Pyongyang, it's the pavements that are full of people, who hurry away from you like a shoal of fish from a swimmer. The people of this city are especially selected to live there. Everyone looks the same; the women, with jet-black hair swept back, all share the same hairstyle. They all dress in dark colours and pre-war fabrics. In Pyongyang, no one wears jeans. But there is the odd puncture of colour, the female traffic cops, rumoured to have been chosen by Kim Il-sung himself for their beauty, stand out in the their blue coats, painted faces and knee-high boots flashing a rare sight of leg.


The guides are confident they live the good life. "Petrol stations, we have tens of them. We even have four supermarkets," bragged the guide. "Not bad for a city of three million," I replied.


At night it is not just dark but pitch black. You can't see more than a foot in front. I had hoped this would mean – with a sky free of light pollution – amazing views of skies full of stars, but there were hardly any. It was as if even the stars wanted to escape.


In this country everything is done by hand. One group of workers I saw were bent over the ground, one had a spade, the rest dug the soil with their fingers. When they watered a municipal garden, they didn't use a hose-pipe. Instead, hundreds of people would walk back and forth from a tap, filling up their water bottles to sprinkle the ground.


One day on an empty motorway our bus suddenly started to slow down. Ahead were more than 2,000 people, mainly women, squatting in the middle of the road. The driver sped up, anxious for me not to see as the women desperately tried to run out of the way. They had been sweeping dust from the road with brushes made from twigs.


We were taken to the People's Study House – the national library– a giant marble tomb of a place. (Nothing is small in North Korea apart from the people, who are on average three inches shorter than their cousins in the South.) The library boasted a colossal mosaic of Kim against a sunset. Glass chandeliers hung from the ceiling with the class of Pat Butcher's earrings. The library boasted a philosopher, there to answer questions on the regime's dogma, Kim Il-sungism.


I used the library's off-line computer to search the 30 million-book catalogue for titles on Gandhi, World War Two, Hitler, Stalin, Mao and the Holocaust. Nothing. The top three results were: a book on upholstery, another on low temperatures and an article entitled, "Gender Effects Renal Vasoconstrictor Response". The contradiction between our guides' pride in the library and its pitiful content made me cry.


Next was a room with rows of individual desks lined up with 1980s-style boom boxes. People come here to listen to world music. They had already preselected some they thought I would want to hear. As Madonna's "American Pie" played, my eyes welled up again as it was the first music I had heard in days. But when I walked around the room I noticed that none of the other machines was plugged in, nor could they be. There were no sockets – it was all just for show.


As you drive out of town into the countryside the cars thin and the bicycles get more laden. The first old lady I had seen in days was walking up a hill, a six-seater table strapped to her back. The road stretched out ahead, with nothing but brown dry fields on either side. Aside from people you can count almost anything you see in North Korea on your hands. Goats: seven; cows: three; dogs: two, with ribs exposed; jet-black squirrel: one.


In the fields I saw little piles of dark-looking soil. I learned it was human faeces – fertiliser is expensive, out of reach.


On the 100th day of mourning for Kim Jong-il I was whisked out of the city – away from the masses offering paper flowers to the statues and portraits – and taken to the Demilitarised Zone, the most militarised front line in the world.


The DMZ is covered in trees, a hint of what the the country looked like before forests were cleared for firewood or boiled bark soup during the famine of the 1990s. The soldiers boasted of the bravery of Kim Il-sung, the first of the Kim dynasty, who had stood here just feet away from the enemy. They claimed no other enemy leader had dared to visit the South Korean side, this on the day that President Obama was doing just that.


The view south, from the North's chilly un-lit building, was of a bigger, shinier, more advanced South. The North's soldiers looked like Dad's Army with old kit; the South's dressed like Robocops.


I was shown into a little hut that straddles the demarcation line. Standing outside were two North Korean soldiers, in dark brown uniforms, six feet apart, facing each other. When asked why they were staring at each other, their officer told me: "It is our rule, it's for security purposes." But why would they be facing each other instead of the enemy? "Military strategy." When questioned again about such a curious strategy, they conceded it was to prevent defection.


When I pointed out the country's nuclear weapons couldn't hit America – prior to the rocket apparently failing last night – the military commanders giggled, "Yes they can, you will see." We laughed back, nervously. But with even its ally China saying that the rocket had fallen into the sea, it appears the joke may be on North Korea.


http://www.independent.co.uk/news/world/asia/journey-into-the-heart-of-north-korea-7640702.html




우리 카페에서는 이미 진즉부터......서양 찌라시 보도들이나 말을 곧이곧대로

믿어서는 안된다고 강조해왔습니다.


특히, 서양놈들의 동양에 대한 묘사와 관련해서는 더더욱 그렇습니다.


산업혁명 이전의 과거 수천년 동안 동양이 문화 및 경제 선진국이었고

서양은 암흑의 세계, 미개인들의 세계였었지요.


그랬던 것이 고작 몇백년전의 산업혁명 성공으로 우수한 군함과 총포를

만들어내어 그들 서양놈들이 세계를 지배하기 시작했죠.


그러더니 원래 야만족이던 놈들이 이제는 자칭 "문화인" 행세를 하며

동양인들과 동양문화를 아주 미개한 야만족 문화쯤 되는 양 깔보며

지네들 멋대로 곡해해서 해석해 댑니다.


위 영국놈 기사에 그러한 서양놈들의 오만방자한 태도가

아주 가득 들어 있습니다.


자기 딴에는 그래도 뚫린 눈이라고 달려 있어서 뭔가를 제대로

본 줄 착각하겠지만....그러나 서양놈들의 동양, 한국에 대한 해석과

평가는 대개 엉터리이지요.


그건 순전히 서양놈들의 오만에 의한 지레짐작과 추측일 뿐인 경우가

대부분이지요.


그런걸 좋다고 끌어다가 같은 민족국가인 북한을 까대기에

사용하는 ㅈㅅ닐보 찌라시......ㅉㅉ


더군다나....."지조때로 대충 영문법"으로 지네들 멋대로

해석하는 버릇은 여전하군요. ㅉㅉㅉ


아직도 "천황폐하 반자이"를 반성할 줄 모르는가 봅니다.


하지만 네 살이 된 후 세 쌍둥이를 돌려주는지는 확인할 수 없으며, 실제로는 영원히 격리되는 것 같다고 인디펜던트는 전했다. 


but there's no way of checking that – it could be for ever


위 문장을 그렇게 해석해서는 안되죠.


but got no answer

Again, no answer. 


평양사람들이 영어를 잘하는 것도 아닐진대

더구나 악의를 가진 서양놈의 질문에 일일히 대답해 주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겠지요. 귀찮기도 하고 대답하기 싫기도 해서 대답을 안해주니

진실을 왜곡해서 반대로 해석한다? 그야말로 황당한 서양놈이로군요.


----


세 쌍둥이를 특별 관리하는 과정은 출산 이전부터 시작



사실 위 얘기는....나도 오늘 처음 알게 된 내용인데...

위 내용의 의미인즉.....북한 전역의 모든 임신 여성들은

출산전부터 초음파 검사 등으로 의료보호를 받고 있다는 의미로군요.


그렇지 않고서야....어찌 세쌍둥이일지....미리 알 수 있겠나요?


모든 여성들이 그런 의료보호를 받고 있다니....매우 놀랍네요.



먼 곳의 임신부는 헬기를 태워 옮기기도



그것도 참으로 놀랍네요.

위 내용으로부터 우리는 북한당국이 임산부, 특히 세쌍둥이 임산부를

얼마나 귀중하게 잘 대우하고 있는지를 엿볼 수 있군요.


설령 섬에 사는 임산부라고 할지라도

남한 같으면 그렇게 하겠어요?



세 쌍둥이가 자신을 암살할 것이라는 점쟁이의 예언



사회주의 국가에서 미신이라니....참으로 어처구니 없군요.

ㅉㅉ


그런데....그런 소리를 한 것이 아마 탈북자들의 입을 통해서인가 봅니다.

ㅉㅉㅉ


장애를 가진 신생아는 죽여 묻는다


역시 위 얘기도.....탈북자로부터 나온 얘기라는군요.

ㅉㅉㅉ


아무리 극히 일부의 탈북자들이 그런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자기들이 살다 온 땅인데....어찌 그럴 수 있는 것인지?

ㅉㅉ


장애인 신생아를 죽인다면.....도대체 어떻게 해서

북한 탁구선수 리분희는 뇌성마비 장애인 아들을 둘 수 있는 것이며

더구나 리분희 선수 자신이 조선장애인체육협회 서기장이 될 수 있는 것인지?

  


그래서...."북한 세쌍둥이"라는 간단한 검색어로 구글링을

한번 해보았습니다. 그랬더니....아래와 같은 것들이 걸려 나오는군요.



북한에서 세쌍둥이를 낳으면?

입뻐죽겠ㅈl | 2007-12-31 16:38 | 조회 201 | 

출처: http://webzine.nuac.go.kr/tongil/View.jsp?p_PAGENUM=1


http://k.daum.net/qna/openknowledge/view.html?qid=3Q9rZ&

---------------


[화보] 세쌍둥이 이름이 '총 폭 탄'이라니....


북한잡지 <조선> '총일, 폭일, 탄일' 세쌍둥이 선전

2005-04-26 18:14  



                     김정일의 '총폭탄'이 된 북한 정총일, 정폭일, 정탄일 세쌍둥이


화보 <조선>에 따르면 현재 강원도 김화군 창도소학교에 다니고 있는 정총일, 정폭일, 정탄일 형제가 주인공.


이들 형제는 1994년 7월에 태어난 일란성 세쌍둥이로, 출생 당시 건강은 극히 위험한 수준이었다고 한다. 쌍둥이 형제의 어머니는 8달만에 이들을 출산했으며, 당시 막내 탄일군의 몸무게는 1.5kg


김정일은 이들의 출생소식을 듣고 “세쌍둥이가 태어나면 나라가 흥할 징조”라는 김일성의 말을 강조하며 강원도까지 군용헬기를 보내 세쌍둥이와 어머니를 평양산원에 입원시켰다고 한다. 









http://www.dailynk.com/korean/read.php?cataId=nk03100&num=4702

-------------


북한 세쌍둥이가 받는 혜택

2001년 07월 26일 (목) 12:00:00 연합뉴스


북한에서는 쌍둥이가 많이 태어나는 것을 나라가 흥할 징조라면서 큰 경사로 여기고 있고 당국 역시 산모와 쌍둥이들에게 많은 혜택을 주고있다.


평양에서 발행되는 화보 `조선` 최근호(2001,6)는 세쌍둥이나 네쌍둥이가 태어날 경우 북한 당국이 이에 쏟는 관심을 상세히 소개해 눈길을 끌었다.


우선 세쌍둥이나 네쌍둥이가 태어나면 의사와 간호사, 간병인모두 20명에 이르는 전담 의료진이 이들의 건강을 무료로 보살피는데, 입원 기간의 혜택만을 따지더라도 북한 돈으로 몇만원에 달한다고 이 잡지는 전했다.


몇 만원이 넘는 의료비는 북한 근로자의 월급을 평균 100원 정도로 잡고 계산해보면 최소한 몇십년 일해야 하는 거액이다.


남아에게는 은장도, 여아에게는 금반지가 선물되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지만 그 부모들에게도 북한 당국이 은장도와 금반지를 선물하는 것으로 이 잡지는 소개했다.


뿐만 아니라 아이들이 학교에 갈 때까지 양육보조금과 식료품, 옷과 침구류, 의약품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등 여러 가지 배려를 아끼지 않고 있다.


북한은 또 산모가 세쌍둥이를 임신한 것으로 판단되면 산간벽지와 섬 등을 가리지 않고 헬기나 급행열차를 보내 평양산원으로 데려와 아이를 낳도록 조치하고 있는데 이 역시 무료라고 이 잡지는 덧붙였다.


세쌍둥이 또는 네쌍둥이를 키우는 여성들도 혜택을 받는데 `6시간 노동제`를 적용받는 것은 물론 자녀가 고등중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매달 `특별보조금`을 받게 된다. 북한의 이같은 조치는 다산(多産)으로 바뀐 인구정책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심규석기자 2001/07/25)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313

------------------


식량난 北의 415번째 세 쌍둥이…선물은 금반지?

[중앙일보]  입력 2012-03-21 11:03


어머니 김순옥씨는 선교구역 장충2동 23인민반에 사는 평양시신발도매소에서 일하고 있으며, 아버지 김경남씨는 평양소주공장 노동자로 알려졌다.


조선중앙통신은 쌍둥이의 어머니가 그간 국가로부터 나름의 특별 관리를 받아왔다고 전했다. 지난해 12월 13일 평양산원(북한 최고급 시설 산부인과)에 입원한 뒤 100여일 동안 의료진의 특별 관리를 받고 각종 벌꿀과 보약재, 영양제를 공급했다는 것이다. "세 쌍둥이의 건강 상태는 좋다"고 조선중앙통신은 전했다. 


http://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0085245

---------------------


북한서 올해 세쌍둥이 20쌍 태어나

서울=연합뉴스

입력 : 2004.12.27 23:11 57'


중앙TV에 따르면 20쌍의 세쌍둥이 가운데 15쌍은 평양산원에서 태어났으며 5쌍은 지방에서 태어나 평양산원으로 후송됐다.


지방의 세쌍둥이들은 인공호흡기와 운반용 보육기 등 최신 설비를 이용해 평양에 도착했으며, 모든 세쌍둥이는 현대식 광선치료기가 설치된 보육기 속에서 특별한보살핌을 받았다고 중앙TV는 전했다.


방송은 또 올해 평양산원에서는 세쌍둥이 외에도 1만여명의 옥동자ㆍ옥동녀가태어났다면서 그 가운데 ’진달래’, ’솔뫼’ 등 많은 외국 아기들도 포함돼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고(故) 김일성 주석은 생전 “세쌍둥이가 태어나면 나라가 흥할 징조”라고말하는 등 각별한 관심을 기울였으며, 김정일 국방위원장 역시 세쌍둥이에게 각종선물과 특혜를 제공하고 있다.


http://www.chosun.com/politics/news/200412/200412270474.html

-----------------------


'최강국-성국-대국' 북한 쌍둥이 이색 이름 짓기

'조국보위, '일심충성' '총폭탄' 등 자주 쓰여

(서울=연합뉴스) 함보현

입력시간 : 2006/01/26 10:27


다산을 장려하고 있는 북한에서는 '나라가 흥할 징조'라고 하여 세쌍둥이들에게 특별 대우를 해주고 있다. 북한 매체들은 가끔 네쌍둥이, 세쌍둥이의 출생을 보도하는데 그들 가운데는 재미있는 이름이 자주 등장한다.


조선중앙통신은 25일 황해북도 장풍군의 세쌍둥이 돌잔치 소식을 전하면서 아기들의 이름이 원장성-군성-복성, 오충일-성일-동일, 전진철-달철-래향이라고 소개했다.


가운데 이름 자는 각각 '장군복(福)'(장군은 김정일 위원장을 의미), '충성동이', '진달래'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고 끝 자는 '돌림자'다.


북한에서 세쌍둥이를 포함한 다태자(多胎子)에게 조국과 지도자에 충성한다는뜻의 이름을 붙이는 것을 흔한 일이다.


'조국보위'라는 네 글자에서 딴 백조성-국성-보성-위성, '강성대국'과 '선군영도'를 딴 최강국-성국-대국과 김선옥-김군옥-김영도 등이 대표적인 예.


이 밖에 '총폭탄', '일당백', '근위대', '친위대', '로동당', '충성심', '일편단심', '일심충성' 등이 이름의 소재로 자주 쓰인다.


정치적인 색깔이 짙은 이름짓기는 쌍둥이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평안남도 평원군에 사는 서향월씨는 "선군(先軍)의 길에서 결사옹위의 총폭탄이되라"는 의미로 다섯 아들의 이름을 리결철-사철-옹철-위철-선군으로, 세 딸은 총별-폭별-탄별로 지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또한 33명의 고아를 키워 '선군시대 모성영웅'으로 불리는 서혜숙(평양시 만경대구역)씨는 아이들의 이름 가운데 글자를 이으면 "일편단심 충성 다하리라, 조국통일, 영웅동, 총폭탄"이 되도록 했다.


김 위원장이 2000년 감자로 유명한 량강도 대홍단군을 방문했을 때 태어날 아기의 이름을 지어달라는 임산부의 부탁을 받고 "아들을 낳으면 '대홍'이라 짓고 딸을낳으면 '홍단'으로 지을 것"을 권했다는 일화도 있다.


북한에서 네쌍둥이,세쌍둥이에 대한 우대 정책은 유별나다.


김 위원장은 1983년부터 세쌍둥이에게 아들인 경우 은장도를, 딸인 경우 금반지를 보내 주고 있다.

또 세쌍둥이가 태어나면 '사랑의 비행기'를 보내 산모와 아기를 북한 최대의 여성종합병원인 평양산원으로 옮기고 특별 건강관리를 하고 퇴원 후에도 양육비와 교육비, 특별보조금, 건강검진 등 갖가지 혜택을 준다.


평양산원은 '삼태자(三胎子)과'를 운영하면서 세쌍둥이 임산부의 임신기간을 2주일이나 연장해 안전한 출산을 돕기도 한다니 세쌍둥이 부모들이 "국가의 배려에감사를 표시하기 위해" 특별한 이름을 짓는 것은 당연해 보인다. 


http://news.hankooki.com/lpage/politics/200601/h2006012610281574760.htm




위 기사들을 일별해보면.....북한에서는 정말로

세쌍둥이 임산부들과 세쌍둥이들에게 

성심성의를 다해 특별대우를 해주는 것 같다.


그러니 영국 기자놈의 헛소리가 얼마나 가소로운 헛소리인지

쉽게 알 수 있다.


그렇다면....이번엔 내친 김에....북한의 고아 정책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한다. 



북한의 고아 보호 시설

육아원, 애육원, 초등학원, 중등학원에서 보호

입력시간 : 2003-02-08 ⓒ 통일건강뉴스


북한에서는 생후 1개월에서 만3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탁아소를 운영하며 만4세에서 5세까지는 유치원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그외에 특수 사회복지시설로 육아원, 애육원, 양로원, 양생원, 양로원 등 있다.


북한의 고아들은 나이별로 다른 시설에 생활하고 있다. 4세미만은 육아원, 4세-5세는 애육원(유치원 과정), 6세-9세는 초등학원(인민학교 과정), 10-15세는 중등학원(고등중학교과정)이라고 부르며 도, 직할시 마다 하나씩 두고 있다.  육아원과 애육원은 먹고 자고 교육받을 수 있는 시설이 같이 되어 있는 반면 초등 학원과 중등 학원은 기숙 기설과 교육 시설이 분리되어 있다. 정부로부터 식량과 생필품 등을 지급받고 있지만 식량 사정이 좋지 않아 필요한 양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고 있다.


북한의 식량 사정이 어려워지면서 고아들의 수도 증가한다. 식량부족이 극심했던 시기에는 시설의 보호 없이 거리를 떠돌아 다니는 어린이들이 크게 증가한다.현재 북한 전역의 고아 수를 유엔인도지원국은 1만 5천명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


청진 지역 고아시설을 방문했던 한국 제이티에스의 보고에 따르면 청진시의 경우 시설당 약 500-600명 정도되어  모든 고아원 총 인원이 2300명 정도였다고 한다. 2000년도 후반기에 북한 사리원시의 고아시설을 방문했던  이웃사랑회의 보고에서는 사리원시의 경우 육아원에 300명,애육원에 250명, 초등 및 중등 학원에 150명 등 700명 정도가 시설에서 보호를 받고 있었다고 밝히고 있다.  4곳 모두 합쳐 120여명의 직원이 일하고 있고 8명의 의사와 간호사가 어린이들의 건강을 돌보고 있었다고 한다.


  캐나다 곡물은행(Canadian Foodgrains Bank)은 2002년 10월 개성에 있는 고아들을 위한 육아원(babies home), 애육원(children’s center)과 기숙학원(boarding school) 을 방문한 적이 있다. 육아원에는 5세 미만 고아 43명이 있었으며 염소, 토끼, 개 등의 동물을 키우고 있었다. 


여러 단체에서 마당에 심을 종자와 비료, 석탄 등을 제공하였으며 세계식량계획은 쌀과 CSB, 설탕과 우유 등을 제공하고 있다고 한다. 애육원에는 5-6세 어린이 21명이 생활하고 있었으며 4월에 10명의 어린이가 새로 들어 왔다고 한다. 이곳에는 1명의 교사를 포함하여 모두 3명의 스텝의 일하고 있었다. 이 곳도 마찬가지로 정부와 세계식량계획으로부터 식량 지원을 받고 있었다. 기숙학원에서는 123명의 고아가 있었는데 남자 어린이 40명, 여자 어린이 83명이었으며 지난해에 14명이 졸업하여 10명은 노동자가 되었고 4명은 농부가 되었다고 한다. 이 기숙학원에는 25명의 스텝이 있었는데 15명은 교사였다. 수업 후에 학생들은 축구를 하거나, 아코디언을 켜거나 아니면 책을 있는 등 특별 활동을 하였다.  정부와 세계식량계획으로부터 곡물을 지원 받고 있었고 고기는 한달에 한 번 정도 먹을 수 있다고 한다. 500평 정도의 마당에는 염소, 돼지, 개, 거위 토끼 등을 키우고 있었다. 



              ▲평양의 육아원     ⓒ어린이의약품지원본부            



         ▲평양의 고아원 시설


http://www.nkhealth.net/news_board/view.php?section=11&uid=80



기숙학원 123명의 고아

14명이 졸업하여 10명은 노동자가 되었고 4명은 농부

25명의 스텝 15명은 교사

축구를 하거나, 아코디언을 켜거나 아니면 책을 있는 등 특별 활동



위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매우 많은 직원들이 동원되어 잘 보살펴지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그리고 아마도 전혀 억압적 분위기가 아니라....각자의 소질을

개발해주고자 하는 환경이 비교적 충실할 것임도 쉽게 추측된다.


오직 한 가지....식량부족 문제....


그것만 아니라면.....당국은 고아들을 성심성의껏 돌보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을....위 자료들은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남한사회의 고아들은 과연 어떤 처지에 있는 것일까요?

그런 자료를 단 한번도 접해보지 못해서....솔직히 나도 모르겠네요.


현재 한국사회에 남아 있는 고아들의 숫자가 도대체 얼마나 되는지

솔직히 모르겠네요. 그대신 해외입양 고아 수출 내용들이 많이 검색되는군요.



20만명 ‘고아수출’, 그 진실을 밝힌다

‘진실과 화해를 위한 해외입양인 모임’ 21일 창립, 국가에 조사 요구


국가 차원의 한국인 해외입양 역사 재정립을 요구하는 비영리 민간단체가 출범했다. 한국전쟁 뒤 시작된 이른바 ‘고아수출’로 서구인도 아니고 한국인도 아닌 정체성의 혼란 속에 살고 있는 20여만명의 고통과 한을 풀어낼 수 있을지 관심을 끈다.


‘돈벌이 해외입양’ 진실은?

 

창립 취지는 20만여명에 달하는 해외입양인이 양산된 원인을 국가차원에서 조사하도록 하는 것. 소문으로만 떠돌던 ‘돈벌이용 고아수출’ 관련 진실 규명도 포함된다. 해외입양기관은 1명을 입양시킬 때마다 양부모로부터 1천여만원의 수수료를 받아온 것으로 집계돼 있다.


‘해외입양 문제’ 발언에 나선 이삼돌(토비아스 허비네트) 연구위원은 “해외입양인들은 자살률이 일반인의 5배에 이를 정도로 멸시와 천대, 그리고 무관심 속에 살아가고 있지만 그 고통에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는다”며 “조국이 나서야 할 때”라고 언급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preview/at_prev_pg.aspx?CNTN_CD=A0000967132

----------------


만여불에 해외로 팔아먹고, 출세하면 우리가 남이가?    

2011/11/04 08:16


고아 수출 세계제1위였든 시절, 한국은 고아1명당 대행사는 입양수속비로 9,500

불을 입양을 원하는 해외 양부모로 부터 받아 7,000불은 대행사가 먹고, 2,500불

은 고아원에게 주었다.한마디로 만여불에 고아를 해외에 팔아 먹었고 현재도

고아를 만여불에 팔아먹는 행위는 진행형이다. 고아 1명당 만여불을 받고 수출

하는 나라는 한국이고, 그다음 홍콩도 입양비를 받고 있으나 한국보다는 적은

비용을 받는다. 그외 국가는 필요한 최소한 경비만 받고 있다.

 

그래서 미국으로 입양된 토비 도슨과 같은 경우, 고아원은 

길잃은 어린 남자애를 보호하면서 자식을 찾아 나선 부모에게 

이미 죽었거나 아니면 그런 어린 남자에 보호한 적이 없다는 거짓말을 했다. 

고아원이 2,500불에 눈이 멀어 길잃은 남자 어린애를 계획적으로 납치해 

해외에 팔아 먹었다는 얘기가 된다.

 

한국정부는 고아나 혼혈 아들을 만여불에 해외에 팔아먹는 행위에

동조를 했거나 아니면 방조를 했다. 그런 정부 당국자들이 프랑스에 팔려간

장 뱅 플라세가 프랑스 상원의원에 당선되자, 우리가 남이가! 하면서 그가 한국에

오면 부모를 찾는데 도와 주겠다고 자청을 하고 나섰다.


정부는 고아1명당 양육비로 고아원에 한달에 백만원 조금 넘게 지급하고있다.

고아원에 지불할 그돈으로 자식을 고아원으로 맏기려는 미혼모에게 양육비를 준다면

해외로 팔려 나가는 고아들의 수는 반으로 줄어들수도 있지 않을까?


http://blog.chosun.com/orullee/5961405

-------------------


토비 도슨과 한국 고아수출 실적 | 둔재 칼럼

둔재 2007.04.08 21:16 http://blog.daum.net/imbg77/11418222  


"입양된 후에도 수개월간 도슨은 매일 밤 한국말로 "엄마"를 부르며 깨어나
 울었다. 침대가 무서워 마룻바닥 깔개위에서 양엄마를 껴안고 잠잤다." 
 
- WP, 스키 모글 세계정상급 '토비 수철 도슨' 
 
 
* 후기

최근 통계에 의 하면 지난 50년 동안 16만명에 가까운 우리 아이들이 해외로 입양되었다.

미국 10만명 이상, 프랑스ㆍ스웨덴ㆍ덴마크 각각 1만명 내외, 노르웨이ㆍ네덜란드 각
5000명 내외, 벨기에ㆍ오스트리아ㆍ독일 각 3000명 내외, 캐나다ㆍ스위스ㆍ 뉴질랜드
등지에 1000명 내외 한국 입양아들이 있다. 창피스러운 사실이지만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역사에서 해외입양에 관한 한 한국이 가장 선두를 달리고 있다.
 
 참고로 , 홀트를 통해서 아동 1인을 수출하는 단가는 960만원
년간 수출 규모는  240억이라네요.....  
 
16만명×960만원 = 1조 5천 300억원.... 이것이 현재 화폐가치로 환산한 지난 50년간의
 한국 고아 수출총액이고요....
 
 결코 적지 않은 금액이지요? 국내 입양 단가는 26만원인데 비해 
해외 입양 단가는 그 30배가  넘으니 복지원측에서는 당연히 
해외에 팔아넘기는게 돈벌이가 더 쏠쏠했겠죠.
 
정부에서는 복지원측이 미아 신상정보를 쥐도 새도 모르도록 감추도록 묵인함으로서 
부모 들이 미아를 찾아 가는 것을 막아줘서 고아수출에 사업에 차질이 없도록 도와주고 ....
 
제가 보기엔 국내 입양이 안되서 어쩔 수 없이 홀트를 통해 해외 입양을 하다는 말이 곧이
 들리지 않습니다.
 
정부와 복지원 운영자들이 정녕 미아들의 신상을 걱정했다면 먼저 미아의 신상정보를 공개
 하여 그들의 친부모에게 돌려 줬어야죠. 그런데 최근까지도 미아가 들어오면 그들을 꼭꼭
 숨겨 뒀다가 날쌔게 해외로 팔아 넘겼으니 그들이 어쩔 수 없이 어린이를 해외로 입양 시키고  있다는 말의 진실성이 의심스럽단 말이죠....  


http://blog.daum.net/imbg77/11418222



식량이 부족한 북한은 고아들을 어떻게 해서든 잘 돌보려고

많은 인력을 투입하고, 자원을 투입해서 보살피는데.....


친일매국노들이 기득권을 장악해버린 남한사회에서는

복지원이라는 이상한 복마전 단체에서 고아들을 두들겨 패죽이기 일쑤라는

사실은....알만한 사람들은 다 알지요.


게다가 해외 수출까지 해처먹는다니......ㅉㅉㅉ


그런 남한사회의 상황에서....북한의 육아정책이나 고아정책을

탓할 처지가 될까요? ㅉㅉㅉ


(뱀발1)


홀트아동복지재단인가 뭔가 하는 단체....


그게 무슨 대단한 자선단체, 천사같은 선량한 단체라고 아직도 철석같이 믿는

아둔한 인간들은....설마하니 우리 카페 회원님들 중에는 아마도

없을 것이라고 믿습니다.


(뱀발2)





위 사진이....도대체 어디를 촬영한 것인지

솔직히 나도 모릅니다.


그러나.....아마도 북한을 가능한 헐뜯고자 하는 서양놈들이 찍은 사진으로서

일반적인 유치원 및 탁아소나 고아원 등이 아니라, 아마도 심한 영양실조나

병에 걸린 어린이들을 모아 치료하는 곳이 아닐까.....추측됩니다.


만일 남한사회에서도 병에 걸린 어린이들을 모아 둔 곳을 촬영한다면

아마도 위 어린이들 모습 보다 더 처참한 모습들을 우리는 보게 될런지도

모를 일입니다.


즉, 아마도 위 사진은.....북한 유치원, 탁아소들의 일반적인 모습은

아닐 것이라는 의미이지요.


그런데도 저런 사진만 가져다가 북한의 어린이들이 모두 저런 모습인 양

진실왜곡적으로 북한을 헐뜯고자 하는 사악한 무리들의 농간이라는 말이지요.


우리가 알고자 하는 것은 다만.....진짜 진실이 무엇인가 하는 것 뿐입니다.



                            평안북도 향산군의 한 유치원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2477683&cloc=



                            ▲ 빵을 보급받고 있는 북한 무산유치원 선생님과 아이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403854



                              북한 어린이들이 24일 개성의 한 유치원


http://news.zum.com/articles/2267842



        싱글벙글 웃고 있는 원산 고아원 어린이들



              퍼스트 스텝스 봉사자들이 뜬 모자와 목도리가 잘 어울리는 원산 고아원 어린이들



                              퍼스트 스텝스 봉사자들이 뜬 모자와 목도리를 한 고아 어린이 


     영양실조에 시달리고 있는 아기를 돌보는 모습



   새참 시간은 남포 유치원 어린이들에게 가장 행복한 시간이다.


http://www2.firststepscanada.org/lang/ko/2011/03/17/new-feb-2011-dprk-photosnew-

2011%EB%85%84-2%EC%9B%94-%EB%B6%81%ED%95%9C-%EB%B0%A9%EB%

AC%B8-%EC%82%AC%EC%A7%84%EB%B3%B4%EA%B8%B0-2/



         (청진시 청암 유치원)


http://youtu.be/yE7waNi5dc0



저 어린이들의 엄청난 능력.....그것도 물론 감탄스러운 일이지만....

그러나 내가 생각하기에는.....저 어린이들을 저와같이 가르쳐놓은

선생님의 능력이 더욱 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나는 대학생이 되어서 기타를 배우려다가 코드를 잡기에는 

손가락이 짧아 도무지 힘이 들어 포기했었는데....


그리고 카포라는 장치가 없으면 도무지 기타 코드를 잡을 수 없는 줄 알았는데...

저 어린이들은 그런 장치도 없이 그저 앙증맞은 손으로 모든 코드를 잡으며

기타를 연주하고 있군요. 참으로 놀랍네요.


그것이 도대체 어떻게 가능한 것인지?


그리고....단지 코드 문제 뿐만 아니라.....아직 악보의 콩나물 대가리도

이해못할 어린 나이에....도대체 어떻게 리듬을 완벽히 이해할 수 있게 된 것인지?


도대체 그 교육방법은 무엇이었을지...참으로 경탄스럽습니다.


암튼, 북한엔 저와같은 음악 및 기타 예술분야 천재들이

바글바글 할 것 같군요.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아놔 키스트 | 작성시간 12.07.08 이런 이야기들이 몇번 소설로 나오기도 하였는데 사회적 무관심으로 대부분 출판시장에서 사장되고 국내 정치권도 무관

    심 하기는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나마 유럽쪽으로 입양된 아이들은 상대적으로 조금 낫긴 하지만 그쪽 역시 유색인종에

    대한 차별과 편견은 별반 차이가 없고 가끔 남한 tv에서 친 부모를 찾기위해 나오는 사람들의 경우는 극히 일부의 일이며

    특수한 경우의 일들이지요 그렇게 잘됀 경우만 tv에서 소개하다 보니 일반 대중들은 입양에 대하여 별 거부감을 갖지 않

    는것도 사실입니다 그들이 겪는 정체성에 혼란과 정신적 고통은 외면한체....
  • 작성자방장 | 작성시간 12.07.08 남한이나 서방언론이 북한을 헐뜯는 보도를 할 때 대부분 "고난의 행군"시절 사진이나 기록화면을 인용합니다.
    벌써 15년이상 지났는데도요.
    이유는 뻔하요......
    위의 병들고 야윈 쌍둥이 사진도 남한 언론에서 죽창 써먹는 사진자료죠.
    아마도 "고난의 행군"시절 외부구호단체에서 찍은 사진인것 같습니다
  • 작성자광개토태왕 | 작성시간 12.07.08 좋은글 감사합니다~
  • 작성자NWO반대 | 작성시간 12.07.08 사이즈가 작은 어린이용 기타가 아니라 어른용 표준 기타를 연주하고 있네요. 연주하기 어려울 텐데도 잘하네요. 재능있는 친구들 같습니다.
  • 작성자명박퇴진-안모씨 | 작성시간 12.07.09 '평양 국제문화회관 앞의 장애인과 교통보안원'
    이 사진 하나로 저게 구라라는 게 다 뽀록납니다.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댓글 전체보기

북한사회의 실상 다른글

현재페이지 1234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