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당국, 판형텔레비전 집중 검열
서울-문성휘 xallsl@rfa.org
2014-08-21
평양의 고급 주택 내부 방안에 판형TV 등이 갖춰져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앵커: 북한당국이 중국산 판형(LCD)텔레비전의 확산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109 상무’를 동원해 판형텔레비전의 외부연결(USB)단자와 원격장치들을 떼어내고 있는데 주민들이 격렬하게 저항하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북한 당국이 최근 텔레비전 검열을 실시하면서 개인들이 가지고 있는 판형(LCD)텔레비전의 외부 영상물 접속장치들을 떼어내고 있어 주민들과 큰 마찰을 빚고 있다고 여러 현지 소식통들이 밝혔습니다.
21일 양강도의 한 소식통은 “8월 중순부터 ‘109 상무’가 매 가정세대들을 돌며 텔레비전 검열을 실시하고 있다”며 “특히 이번 검열은 개인들이 가지고 있는 판형텔레비전들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국경연선 주민들속에서는 이번 검열이 중국 텔레비전 전파를 통한 아시아경기대회시청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로 알려졌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이번 검열은 판형텔레비전을 통한 외부영상물(USB) 접촉을 막으려는 의도도 있어 보인다고 그는 설명했습니다.
그러한 사례로 소식통은 검열성원들이 ‘요쿵지(리모컨)’를 이용하지 못하도록 판형텔레비전의 원격접속 장치를 아예 파기해 버리고 외부연결 단자를 모두 떼어낸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이와 관련 17일, 또 다른 양강도의 소식통은 “판형텔레비전은 USB를 비롯해 외부영상물을 볼 수 있는 장치들을 모두 갖추고 있는데다 낮은 전압에도 작동하기 때문에 기존의 전자관식(아날로그) 텔레비전에 비해 특히 강력한 단속을 하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또 외부영상물 접촉을 차단한다는 명목 아래 값 비싼 판형텔레비전의 부속품을 파손하는 검열성원들의 횡포가 알려지면서 주민들이 텔레비전을 감추거나 검열성원들과 맞서 싸우는 등 수단과 방법을 다 해 저항하고 있다고 그는 언급했습니다.
한편 21일,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장마당에서 팔리는 중국산 판형텔레비전은 인민폐 300원(=북한돈 33만원=한국돈 5만원)에 불과한 휴대용 7촉(5.5인치)짜리로부터 인민폐 3천원(=북한돈 330만원=한국돈 50만원)에 이르는 53촉(42인치)짜리까지 가격이 천차만별”이라고 전했습니다.
소형 판형텔레비전의 경우 장사꾼들이 몰래 팔고 있는데 이는 주로 외부영상물을 보는데 이용되고 있다고 그는 이야기했습니다. 그러나 대형 판형텔레비전은 돈 있는 사람들이 재력을 뽐내려는 과시의 성격이 더 강하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소식통들은 “중국산 ‘넓은 침대’와 말하는 밥가마(압력밥솥), 오토바이와 판형텔레비전, 손전화(휴대폰)와 휴대용 가스곤로(가스레인지)는 돈많고 힘 있는 사람들속에서 크게 유행하는 필수품들”이라고 말해 시대에 따르는 북한의 변화상을 강조했습니다.
http://www.rfa.org/korean/in_focus/censorship-08212014090855.html
여러분들.....
위 찌라시 기사를 읽고 이해한 내용이 무엇인가요?
아마 일반 국민들로서는 대개 아래와 같이 위 찌라시 기사 내용을
이해할 것 같네요.
1. 북한은 독재국가로서 국민들의 티브이 소유까지
감시하는 사회인가 보다 하고 생각
2. 어쨌든, 북한에도 돈많은 사람들이 더러 있어서
중국산 가전제품들이 이용되고 있는가 보다 하고 생각
그러나 찌라시들의 교활한 진실왜곡 기사들을 잡아내어
전문적으로 분석하여, 진짜 진실이 무엇인지 찾아내는 우리 카페의
회원님들 수준에서는 그렇게 읽어서는 안되겠지요.
판형(LCD)텔레비전의 확산
위 찌라시 기사에서 말하는 판형티브이들의 가격은
중국돈 300~3000위안이라는데....그것은 북한돈으로 환산하면
가히 천문학적 거액이 됩니다.
그런데도 그것을 소유하는 북한주민들이 많다니....
어안이 벙벙해지네요.
그것은 곧 현재 북한경제가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서
돈많은 북한주민들의 숫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북한을 무슨 거지 국가라고 생각하는 남한 국민들이
아직도 많지만....그러나 동남아나 아프리카의 빈국들 수준보다는
북한의 경제적 사정이 훨씬 더 나은 상태인 것 같습니다.
아마도 남한의 80년대 수준에 근접해가고 있는 것이 아닐까
추측되네요.
주민들이 격렬하게 저항
주민들과 큰 마찰을 빚고 있다고
주민들이 텔레비전을 감추거나 검열성원들과 맞서 싸우는 등 수단과 방법을 다 해 저항
위 문장들을 보고 나는 솔직히 상당히 놀랐습니다.
왜냐면 반공교육적 내용에 의하면....
북한의 보위부(=남한 국정원)나 안전부(=남한 경찰) 등은
그야말로 무시무시하고, 그래서 주민들은 그들 사법당국 관리들 앞에서
마치 고양이 앞에 쥐신세로 그들을 보기만해도 무서워서 벌벌 떠는 사람들이
아닌가요?
그런데....놀랍게도 북한 주민들이 그 무섭다는 보위부원들에게
격렬하게 저항하고 마찰을 빚다니요?
심지어 맞서 싸우기까지 한다니.....
이건 뭐....남한 국민들이 마치 경찰을 대하듯 하는 것 같네요.
하긴, 북한 꽃제비 동영상들 중에 하나를 시청하다 보니...
북한 "안전원"(=남한의 경찰)이 무슨 물건인지 한번 검사해보자고 말하니까
북한 주민이 안전원에게 삿대질을 해대며 마구 큰소리로 항의하더군요.
그래서 나는 깜짝 놀랐습니다.
반공교육 내용에 의하면...북한에서 안전원이란 매우 무서운 사람들인 줄 알았더니
그게 아니라....북한 주민들이 아주 막대하는 정도의 신분 밖에 안되는 것 같으니 말입니다.
국경연선 주민들
중국 텔레비전 전파를 통한 아시아경기대회시청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
판형티브이 검열이 주로 북중국경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모양이로군요.
그런데 여러분들....
북한당국이 과연 주민들이 아시아경기대회 시청을 못하도록 하기 위해
그런 짓을 하고 있다고 생각되나요?
만일 그렇게 생각한다면....그건 아마 맹한 일일 겁니다.
판형텔레비전을 통한 외부영상물(USB) 접촉을 막으려는 의도
소형 판형텔레비전의 경우 장사꾼들이 몰래 팔고 있는데
이는 주로 외부영상물을 보는데 이용
위 문장들의 의미가 과연 무엇일까요?
단지 남한의 드라마 등을 북한주민들이 시청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북한 보위부가 그와같이 검열을 하고, 외부장치를 제거하는 것일까요?
아마도 아닐 것이라고 추측됩니다.
현재 북중접경 지역에서는 미국의 대북심리전 공작이
요란하게 벌어지고 있음을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알고 있지요.
예컨데, 선교사 등을 통해 북한체제 붕괴 공작을 위한 영상물 등을
북한으로 들여보내 여러 사람들을 모아 그것을 시청하도록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바로 그런 용도로 아마 소형 판형티브이 등도 외부에서 조달하여
북한으로 들여보내고 있는 것이 아닐까 추측됩니다.
그래서 북한 보위부에서는 바로 그것을 색출하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는 것이 아닐까 추측되네요.
과거 김정일 위원장 시절만 하더라고 그런 작업이 느슨했었는데....
김정은 제1비서 시절 들어와서 그 문제에 대해 매우 강경하게
대처하고 있는 중이지요.
그래서 최근년엔 탈북자수마저 격감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합니다.
北, "국가관리 소(牛) 개인이 사고 팔기 시작"
"송아지 한 마리에 북한 돈 150만 원(미화 190달러) 정도 거래"
노컷뉴스 | 입력2014.08.22 08:00
북한에서 국가가 소유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알려진 소를 최근 개인이 사고 파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의 '아시아프레스'는 22일 북한 북부지역 소식통을 인용해 "현재 자신의 군에서는 개인이 소를 사고팔고 있으며, 살고 있는 지역에 개인이 소를 가진 사람이 여러 명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다.
소식통은 "현재 개인들 사이에 송아지 한 마리에 북한 돈 150만 원(미화 190달러) 정도에 거래되고 있다"고 말했다.
↑ 북한 강원도 세포등판 소사육 모습(사진=노동신문)
또다른 소식통은 "자신이 아는 사람이 며칠 전에 중간 정도 크기의 소 한 마리를 강냉이 3톤(북한 돈 약 660만원, 미화 약 830달러)에 해당하는 을 주고 샀다"면서 "주변에 이 정도의 가격으로 소를 산 집이 두 집이나 된다"고 말했다.
'아시아프레스' 오사카사무소 이시마루 지로 대표는 "북한의 일부 지역에서 소에 대한 개인매매가 이뤄지고 있다는 소식은 참 흥미롭다"며 "소도 일부 개인 소유를 허락해서 돈벌이를 자유롭게 해주고, 그 대신 수수료를 받는 체계"로 추정했다.
일본의 '아시아프레스'
위 찌라시는 일본의 대북심리전 찌라시죠.
그래서 위 찌라시 기사 내용이 사실인지 아닌지
솔직히 믿기 힘들지만....
암튼, 만일 위 내용이 사실이라면.....북한에서 실제로 소를 개인들이
사고 팔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는 오히려 엄청난 금액을 주고 소를 살 수 있는 북한 주민들이
더러 있다는 사실에 놀랍니다.
북한 돈 150만 원
북한 돈 약 660만원
사실....위 금액은 한국돈으로는 얼마 안됩니다.
고작해서 19만원~83만원 정도입니다.
그러나 위 금액은 북한에서는 천문학적 거액이지요.
그런데 그런 돈을 가진 북한주민들이 더러 있다니....
많이 놀랍습니다.
댓글
댓글 리스트-
삭제된 댓글입니다.
-
답댓글 작성자한겨레 작성시간 14.08.22 정답이 질문에 나와 있네요.
-
작성자이음새 작성시간 14.08.24 위의 글에서처럼
북한에는 지금 신흥부자들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2012년에 탈북한 133명을 대상으로 면접 조사한 결과
(서울대평화통일연구원)
한달에 100만원(북한 돈 기준) 이상 벌었다는 사람이 26% 정도 나옵니다.
북한에서 100만원이라면 중상류 정도되구요.
반면
한 푼도 벌지 못했다.. 즉 한 달에 수입이 전혀 없었다고 대답한 사람도
24%나 되었습니다.
평균 4명에 1명꼴로 거의 꽃제비나 다름없는 생활을 했다는 겁니다.
김정은 시대 들어
북한은 격변하고 있습니다. 그 변화의 질과 양은 가히 '메가톤급(신동아 2013.12월호 표현)이구요.
그 와중에
양극화 현상도 심화되고 있습니다.
양과 음을 동시에 보았으면 좋겠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이음새 작성시간 14.08.24 북한에서 지금 심화되고 있는 양극화 현상을 고려할 때
어느 탈북자가
"나는 북에 있을 때 쫄쫄 굶었어요."
라고 해도 그건 사실이 됩니다.
단, 찌라시 언론들처럼 마치 북한 주민들 대부분이 그런 것처럼 선전선동해서는 안되겠지요.
반면 어떤 탈북자가
"나는 북에 있을 때 한 달에 100만원 이상 벌었다. 먹고 살만 했다. 매일 이밥 먹고 육류도 일주일에 한 번 이상은 먹었다."
라고 해도 그건 사실입니다.
(100만원 이상 버는 사람의 생활수준을 조사한 결과 대체로 위와 같은 대답을 했습니다. 위 서울대평화통일연구원 자료에서)
역시, 마찬가지 논리로
이 증언을 바탕으로 '지나친 일반화'의 어리석음을 범해서는 안 되겠지요. -
답댓글 작성자이음새 작성시간 14.08.24 이음새 (뱀발)
위 서울대평화통일연구원의 조사 결과는
'탈북자'들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집니다.
탈북자들이 아닌 실제 북한 주민들을 대상으로 했을 때는
'한 푼도 벌지 못한다.'는 대답이 24%까지는 안 되리라 봅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한달에 100만원 이상 번다는 사람도 26%는 넘지 않을까요?
탈북자들의 평균 생활 수준은 아무래도
북한 전체 주민의 평균보다는 못했을 테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