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夢中問答》허응당(虛應堂) 보우대사(普雨大師)
《몽중문답》의 원제목은
《水月道場空花佛事如幻賓主夢中問答
수월도량공화불사여환빈주몽중문답》이다.
보우가 도량 의식(儀式)의 관법(觀法)을 문답식으로 설명한 책이다. 우주 만물의 본질은 일심(一心)임을 역설하고 도량을 개설하여 진언을 염송할 때, 바로 이 일심을 관찰하여야 함을 말한다.
아울러 화엄학의 법신 개념들을 동원하여 도량 의식을 설명한다.
본서의 일부분을 옮겨 본다.
水月道場空花佛事如幻賔主夢中問答
無何有之鄕白雲之墟애 有客焉이러니
어느 곧 인지 모르는 白雲(백운)의 고장에 客(객)이 있었다.
一日애 問於法性山無心道人曰吾은 聞호니
하루는 '法性山(법성산) 無心道人(무심도인)'에게 묻기를
凡設齋供佛之時예 雖密藉於眞言이나
必冥資於圓觀이라니 是否ㅣ가
"평소 設齋(설재) 供佛(공불)할 때에 비록 긴밀하게 眞言(진언)의 힘을 힘입으나
반드시 '圓觀(원관)' 이 있어야 한 다고 하는데 그렇습니까"하였다.
道人이 曰是니라
道人은 말하기를 "그러하다.
彼四軰檀越이 以至誠心로 開建法會호 雖使道塲이 氷潔며
단월들이 지성심으로 법회를 열되 도량을 깨끗하게 하고
壇所로 玉白게고 以香花燈燭以交陳며
法(법) 壇(단)이 백옥과 같고
香(향)·火(화)·燈(등)·燭(촉)으로 진설하며
茶果珎羞以間列고 乃至千幢幡而交擁며 衆仙樂以旁羅야
百千種樂과 無量妙供을 無不如意히 廣陳嚴設나
다과와 진수로 나열하고 깃발과 음악을 비롯하여
많은 공양을 다 올려도
若非圓觀이면 何能即萬法야 而明一心며
圓觀(원관)이 아니면 어찌 능히 만법을 통하여
一心(일심)을 밝히며
處一事야 而現衆理야 即使供具로 變小化多며
以無爲有며 轉染作淨케야
一事(일사)로 衆理(중리)를 나타내어 적은 것은 많아지고
無(무)는 有(유)가 되고 더러운 것은 깨끗함이 되게 하겠는가.
此心法이 無碍며 事理ㅣ 圓融며
그리고 마음과 만법이 무애하며, 事理(사리)가 원융하며,
大小ㅣ 相容며 有無이 不二ㅣ며
大小(대소)가 相容(상용)하며, 有無(유무)가 不二(불이)며,
染淨이 一體 不思議之大會勝席을 成就於今日也리오
染淨(염정)이 一體(일체)인 不思議(부사의)의
大會勝席(대회승석)을 금일에 성취하게 하는 것은
圓觀(원관)이 아니면 되지 않는 것이다.
是故로 須必資圓觀야 可以即世諦之莊嚴야 成妙法之供養리라
그러므로 반드시 圓觀(원관)을 해야만 世諦(세제)의 장엄으로
묘법의 공양이 되게 한다."고 하였다.
客이 曰誠如所說인댄
客이 질문하여 말하였다.
可謂圓觀妙勳이 尙逾於眞言之神用也ㅣ로소이다
"진실로 말씀하신 바와 같으면 원관을 하는 妙力(묘력)이 眞言
(진언)의 神用(신용) 보다도 오히려 나은 것이라 헤아려집니다.
然則作觀之要 可得聞乎ㅣ가
그러하니 원관을 하는 요긴한 점을 말씀해 주실 수 있겠습니까."
人이 曰吾ㅣ 以所見於諸經者와 所聞於先覺者로
擧槩以語之호리니 子ㅣ 試聽看라
도인이 답하였다. "내가 여러 경에서 본 것과
先覺(선각)으로부터 들은 바에 근거해서 말하리니
그대는 잘 들으라.
觀은 所見이 遠達之謂也ㅣ오 圓은 其所見이 不偏不局야
普滿周徧之謂也ㅣ니
觀(관)이란 멀리 보는 것을 말함이요
圓(원)이란 치우치지 않고 국집하지 않아서
편만하고 두루함을 말하는 것이다.
以智로 照之曰圓觀이며 亦謂之正觀이오
지혜로 조명하는 것을 '圓觀(원관)·正觀(정관)'이라 하고
又以識로 了別曰偏見이며 亦謂之邪見이니라
意識(의식)으로 분별하는 것을
'偏見(편견)· 邪見(사견)'이라 한다."
客이 曰以智로 照之曰正觀이오 以識로 了別曰邪見이라시논
所以然者 斯未達了얘다
객이 질문하였다. "지혜로 조명하는 것을 正觀(정관)이라 하고
意識(의식)으로 분별하는 것을 사견이라 하는 까닭을 모르겠습니다.
智與識之二字 分明指示샤 令後之作觀者로 永無疑碍케쇼셔
지혜와 의식의 二字(이자)를 분명히 가르치셔서
후에 관을 하는 이 들로 하여금 의심이 없도록 하여 주십시오."
人이 曰汝須攝心諦聽라 當爲汝說호리라
도인이 답하였다. "그대는 잘 들으라. 그대를 위해 말하리라.
盖即今目前天地間一切色一切聲이皆從吾의
淸淨一心中야 所現之物이어
지금 눈 앞에 펼쳐진 天地間(천지간)의
一切色(일체색)· 一切聲(일체성)이
다 나의 청정 一心中(일심중)으로부터 나타난 사물들이다.
我等衆生이 迷此理性이 久矣ㅣ라
그런데 우리들 중생이 이 이치를 모르고 지내 온지가 오래되었다.
見彼一切色像고 以謂호 各自異像이라며
그리하여 일체의 색상을 보고 각자 다른 것이 라 생각하며,
聽彼一切音聲고 以謂호 各自異聲이라야
일체의 소리를 듣고 각각 다른 소리라 생각한다.
但一一分別而知고 全不得知一色一音之理시
以識으로 了別시니
다만 하나하나를 분별해서만 알고 색상과 소리의 참 이치를
전혀 알지 못하여 의식으로만 분별하고 있다.
是謂邪見이니라
이것을 사견이 라 한다.
又彼色聲이 雖有百千萬億而多般이나 全非他物이라
知是一心上앳 所現之物而皆自色自聲야
또 色聲(색성)이 수없이 많으나 모두가 다른 물건이 아니라
一心(일심)에서 나타난 사물로서 自色이며 自聲(자성)이다.
不生分別而照之호미 正如明鏡之照萬物면 以智로 照之시니
이에 분별을 내지 않고 보는 것이 마치 거울이 만물을 비추듯 하면 지혜로써 조명하는 것이다.
是曰正觀이라
이것을 正觀(정관)이라 한다.
是故로 古德이 云邪見因緣은 能生萬惡고
正觀因緣은 能生萬善이라시니라
古德(고덕)은 이르기를 邪見(사견)의 인연은 만가지 악을 만들어내고 정관의 인연은 만가지 선을 만들어낸다고 하였다."
客(객)이曰(왈)我(아)ㅣ 曾聞見法實相(증문견법실상)이
名爲正觀之語而實未明了(명위정관지어이실미명료)이라니
今因師說(금인사설)야 頓悟萬法(돈오만법)이 一心(일심)이라
元是實相也(원시실상야)쾌이다
果能以智而觀(과능이지이관)이면
非唯心法之不二(비유심법지불이)ㅣ라
昔靈山之勝會(석령산지승회)ㅣ
至今日而儼然未散(지금일이엄연미산)이니
凡所願求(범소원구)을 何慮不圓(하려불원)이리오
可謂一禮一拜(가위일례일배)예
感恒沙之諸佛(감항사지제불)오며
一香一花(일향일화)로 供十方之諸聖(공시방지제성)오며
半句半偈(반구반게)로 度無量之衆生也(도무량지중생야)l로소이다 然而此圓觀(연이차원관)을 法師之所當務乎(법사지소당무호)이가 證師之所當務乎(증사지소당무호)이가
人(인)이 曰(왈)法師(법사) 只以無念(지이무념)으로
但展册說文(단전책설문)이어든 證師(증사)ㅣ
默以正智(묵이정지)로 運想作觀(운상작관)이니라
客(객)이 曰(왈)吾(오) 曾聞證師(증문증사)ㅣ
默坐而或擧趙州(묵좌이혹거조주)의 道無之話(도무지화)며
或留心於一念不生(혹류심어일념불생)야
前後際斷之處(전후제단지처)ㅣ어든
法師(법사)ㅣ 兼作觀想(겸작관상)이라호니
此意(차의)ㅣ 如何(여하)니
고人(인)이 曰否(왈부)ㅣ라
客(객)이 曰願聞師說(왈원문사설)노이다
人(인)이曰今之所謂法師(왈금지소위법사)
表眞諦之主(표진체지주)ㅣ신 釋迦世尊也(석가세존야)ㅣ오
證師(증사) 表俗諦之主(표속체지주)ㅣ신 維摩大士也(유마대사야)ㅣ니 所謂證師(소위증사)ㅣ 豈無心而徒坐其位也(기무심이도좌기위야)ㅣ리오 可謂孤理闕事(가위고리궐사)ㅣ라 未免有氣死人之誚也(미면유기사인지초야)ㅣ리라
於是(어시)예 事理(사리) 直且各論(직차각론)인댄
則眞諦(즉진체) 理之體(리지체)ㅣ라 眞諦之主(진제지주)ㅣ
宜乎杜口於毘耶(의호두구어비야)이오
俗諦(속제) 事之用(사지용)이라 俗諦之主(속제지주)ㅣ
斯可說法於靈山(사가설법어령산)이로
然則如宮自宮商自商(연즉여궁자궁상자상)야
事理各立(사리각립)야 體用(체용)이 曾不相融(증불상융)이라 未能開物成務故(미능개물성무고)로 釋迦(석가)이 說法於靈山者(설법어령산자) 示於眞諦(시어진제)예 具俗諦也(구속제야)ㅣ시니라 然(연)이나 眞諦(진제) 本無言說故(본무언설고)로 返謂之曰(반위지왈)샤 自從鹿野苑(자종록야원)으로 終至跋提河(종지발제하)히 於是二中間(어시이중간)애 未曾說一字(미증설일자)호라시니라
又維摩(우유마)이 杜口於毗耶者(두구어비야자) 示於俗諦(시어속제)예 具眞諦也(구진제야)ㅣ시니라 然(연)이나 俗諦(속제)
不無言說故(불무언설고)로 亦謂之曰(역위지왈)샤
毗耶城裡(비야성리)예 說震雷(설진뢰)ㅣ리 시니라
由是(유시)로 吾(오)ㅣ 竊疑焉(절의언)호 法師(법사) 口雖有說(구수유설)이나 情不攀緣(정불반연)야 以冥眞空(이명진공)이어든 證師(증사) 舌雖無動(설수무동)이나 心凝圓觀(심응원관)야 以現妙有(이현묘유)이라노라 又將坐位(우장좌위)야 以明之(이명지)호리라
東方(동방)이 爲動而萬物生起之地(위동이만물생기지지)ㅣ어 證師(증사)ㅣ 不言而坐於東者(불언이좌어동자)
示即動而無動也(시즉동이무동야)ㅣ오
西方(서방)이 爲靜而萬物衰殺之方(위정이만물쇠살지방)ㅣ어 法師(법사)ㅣ 有言而坐於西者(유언이좌어서자)示於靜(시어정)애 非靜也(비정야)ㅣ니라
夫聖人(부성인)의 一語一默一動一靜(일어일묵일동일정)이
豈徒然哉(기도연재)시리오 由是而推之(유시이추지)면
則西海之有潮(즉서해지유조)와 東海之不潮(동해지불조)을
又可知矣(우가지의)어닛
客(객)이 曰細聞開示(왈세문개시)오니 更無餘疑(갱무여의)야 心路(심로)ㅣ 豁如(활여)케 다코 即以齋文(즉이재문)을 次第而問曰法師(차제이문왈법사)ㅣ 與諸大衆(여제대중)와로 領諸施主(령제시주)야 齊上法堂(제상법당)야 合掌恭敬(합장공경)와 共瞻金像尊容(공첨금상존용)고 默然圍立(묵연위립)이어든 於是(어시)예 鍾皷錚螺鈸磬六種法樂(종고쟁라발경륙종법악)이 同時俱作時(동시구작시)예 證師(증사)ㅣ 如何作觀也(여하작관야)ㅣ리고
曰想此六種(왈상차륙종)이 俱動(구동)야 聲震法界(성진법계)ㅣ어 道塲衆等(도장중등)과 及諸十方無量衆生(급제시방무량중생)이 悉破無明(실파무명)고 皆得本明(개득본명)니라 라
曰打磬聲鈸(왈타경성발)며 鳴鍾扣錚(명종구쟁)며 吹大法螺(취대법라)며 擊大法皷(격대법고)호매 何故(하고)로 遠近聞者(원근문자)ㅣ 悉破無明(실파무명)고 皆得本明(개득본명)이고
曰此六種(왈차륙종)을 表靈山會上動地瑞之六種震動(표령산회상동지서지륙종진동)니 以事(이사)로 現理(현리) 古今(고금)이 一揆(일규)ㅣ니라 今此會中(금차회중)애 六種法樂(육종법악)이 同時大作(동시대작)야 震動天地之時(진동천지지시)예 其心(기심)이 爲如何哉(위여하재)오
凡有聞者(범유문자)ㅣ 心皆歸寂(심개귀적)야 六識(육식)이 俱空(구공)고 一心(일심)이 獨露(독로)니 當獨露之時(당독로지시)야 又無獨露之悲(우무독로지비)이오 只有虛明不空之體(지유허명불공지체)ㅣ 湛然圓照而已(담연원조이이)ㅣ니 此豈非所謂破無明(차기비소위파무명)고 得本明之處也(득본명지처야)ㅣ리오
曰施主(왈시주)ㅣ上香(상향)이어든 梵音(범음)이 喝香(갈향)고 又偈之時(우게지시)옌 如何(여하)이고
曰想今此香雲(왈상금차향운)이 變成五分眞香(변성오분진향)야 普熏十方無盡法界(보훈시방무진법계)어
十方常住三寶慈尊(시방상주삼보자존)이 以大慈悲(이대자비)로 能使自他(능사자타)로 皆得成就五分法身(개득성취오분법신)케시니라 홀디니라
燈偈時(등게시)옌 如何(여하)ㅣ고 曰想今此悲舍願所出之火(왈상금차비사원소출지화)이 變成菩提心燈(변성보리심등)야 徧照法界(편조법계)어 十方常住三寶慈尊(시방상주삼보자존)이 以大慈悲(이대자비)로 能令衆生(능령중생)으로 皆得成就成佛正因(개득성취성불정인)케 시니라 홀디니라
曰花偈時(왈화게시)옌 又如何(우여하)이고
曰想今此三密妙力(왈상금차삼밀묘력)으로 所修無量善事(소수무량선사) 悉令圓滿(실령원만)케시니라 홀디니라
曰何故(왈하고)로 一香一燈一花(일향일등일화)이 能成無盡(능성무진)야 皆徧十方(개편시방)ㅣ니 고
曰此(왈차)ㅣ 非怪事也(비괴사야)ㅣ라 理如是故也(리여시고야)일니라 汝須虛懷(여수허회)야 聽吾一言(청오일언)라
盖一心者(개일심자) 萬物之妙體(만물지묘체)오
萬物者(만물자) 一心之神用(일심지신용)이라
心外(심외)예 無物(무물)이오 物外(물외)예 無心(무심)야
心即是物(심즉시물)이오 物即是心(물즉시심)이라
體用(체용)이 圓融(원융)야 心鏡(심경)ㅣ 無碍故(무애고)로
彼三般之神用(피삼반지신용)이 隨一心之圓觀(수일심지원관)야
一爲無量(일위무량)을 尙且無疑(상차무의)이온 又況承彼佛力神功也(우황승피불력신공야)ㅣ녀 曰三歸依之時(왈삼귀의지시)옌 又如何(우여하)ㅣ고 曰想歸依三寶之者(왈상귀의삼보지자)ㅣ 悉蒙慈濟(실몽자제)와 能滅三途之極苦(능멸삼도지극고)고 皆得一性之妙樂(개득일성지묘락)이라흘디니라
曰何故(왈하고)로 有如此妙益(유여차묘익)이고
曰歸依者(왈귀의자) 反邪還正之義也(반사환정지의야)ㅣ니
歸依佛(귀의불)닌
則反邪師而還事正師者也(즉반사사이환사정사자야)ㅣ오
歸依法(귀의법)닌
則反邪法而還修正法者也(즉반사법이환수정법자야)ㅣ오
歸依僧(귀의승)닌
則反邪侶而還從正友者也(즉반사려이환종정우자야)ㅣ니라
旣能反邪還正(기능반사환정)혼디라 즉一性之樂(칙일성지락)이 自現而三途之苦(자현이삼도지고)ㅣ自滅(자멸)을 盖可知矣(개가지의)어딧 何也(하야)오
今歸依佛時(금귀의불시)예 即蒙如來以般若德(즉몽여래이반약덕)으로 冥密加持(명밀가지)샤 即令衆生(즉령중생)으로 本有(본유)혼 三智(삼지) 一念(일념)애 圓覺(원각)케 올시오
歸依法時(귀의법시)예 即蒙如來(즉몽여래)ㅣ 以法身德(이법신덕)오로 冥密軌持(명밀궤지)샤 即令衆生(즉령중생)으로 本有(본유)혼 三諦(삼제) 一念(일념)애 圓顯(원현)제 올시오
歸依僧時(귀의승시)예 即蒙如來(즉몽여래)ㅣ 以解脫德(이해탈덕)으로 冥密覆護(명밀복호)샤 即令衆生(즉령중생)으로 本有(본유)혼 諦智相應和合(제지상응화합)을 一念(일념)애 圓成(원성)케 올 니라 旣俯仰之理(기부앙지리)ㅣ 即周故(즉주고)로 斯其感應之道(사기감응지도)이 不忒也(불특야)ㅣ니라
又曰告香偈時(우왈고향게시)옌 如何(여하)ㅣ고
曰想此香煙(왈상차향연)이 普覆三千大千之界(보복삼천대천지계)야 無不同徧(무부동편)이어든 所有十方常住三寶(소유시방상주삼보)이 以大慈悲(이대자비)로 聞此信香(문차신향)시고
咸降道場(함강도장)이시니라 홀디니라
曰觀音前(왈관음전)의 乞水時(걸수시)옌 如何(여하)ㅣ고
曰想大士(왈상대사)ㅣ 端處道塲(단처도장)샤 放眉間光(방미간광)샤 入此水中(입차수중)샤 以彰聖用(이창성용)시니라 홀디니라 曰以法水(왈이법수)로 三廻(삼회)야 散洒道塲內外時(산세도장내외시)옌 如何(여하)ㅣ고 曰想法水所至(왈상법수소지)예 皆成結果(개성결과)야 道場內外(도장내외)ㅣ 悉皆淸淨(실개청정)야 永無瑕穢(영무하예)이니라
曰今以法水(왈금이법수)로 灑淨道塲(쇄정도장)호 必限廻三番者(필한회삼번자) 何也(하야)ㅣ고
曰三淨道塲而後(왈삼정도장이후)예 欲奉請諸佛(욕봉청제불)ㅣ니라 曰以道人之說(왈이도인지설)로 觀之(관지)컨댄 染淨(염정)이 不二(불이)ㅣ라
曾無能淨之水(증무능정지수)며 亦無所淨之塲(역무소정지장)ㅣ어 何淨之之事(하정지지사)ㅣ 必至於三乎(필지어삼호)ㅣ며遐邇一境(하이일경)이며 生佛(생불)이 同體(동체)ㅣ라
本無召請之人(본무소청지인)며 又無受請之佛(우무수청지불)이로 斯有請之之言者(사유청지지언자) 又如何也(우여하야)ㅣ고
曰噫(왈희)ㅣ라 盖淨土妙境(개정토묘경)은 染淨(염정)이 不二(불이)ㅣ며 法身眞體(법신진체) 遐邇(하이)ㅣ 無阻(무조)ㅣ언마 唯我等衆生(유아등중생)의 識心(식심)이 自染自局故(자염자국고)로 聖人(성인)ㅣ 乃因事而顯法(내인사이현법)이시니라
初於殿中(초어전중)애 一廻者(일회자) 滅衆生(멸중생)의 染緣也(염연야)ㅣ오 次於中廊(차어중랑)애 一廻者(일회자) 遣識心(견식심)의 限碍也(한애야)ㅣ오 後於外廊(후어외랑)애 一廻者(일회자) 廓法界眞境也(곽법계진경야)ㅣ니 三淨之後(삼정지후)애 道塲(도장)이 氷潔(빙결)며 諸佛(제불)이 雲臻者(운진자)
示染緣(시염연)과 碍心(애심)괘 旣皆滅遣(기개멸견)고 眞境(진경)이 旣廓(기곽)면 則十方諸佛(즉시방제불)이 當處(당처)애 現前也(현전야)시니라 灑淨大旨(쇄정대지)ㅣ 明此而已(명차이이)니라 斯非臆斷(사비억단)ㅣ라 皆有典據(개유전거)니 汝莫懷疑(여막회의)고 細而硏之(세이연지)라
曰仰請佛寶時(왈앙청불보시)옌 如何(여하)ㅣ고
曰想十方常住一切諸大如來(왈상시방상주일체제대여래)ㅣ
皆乘寶座(개승보좌)시고 不謀而來(불모이래)샤 充盡虛空(충진허공)샤 俯應衆等之感(부응중등지감)이니라
曰請法寶時(왈청법보시)예 如何(여하)ㅣ고
曰想十方常住一切諸佛(왈상시방상주일체제불)ㅅ 所說經典(소설경전)이 充滿法界(충만법계)야 行行字字(행행자자)이 無不現顯(무불현현)야
以印衆等之心(이인중등지심)ㅣ니라
曰請僧寶時(왈청승보시)옌 如何(여하)ㅣ고
曰想十方常住一切諸大菩薩(왈상시방상주일체제대보살)와 聲聞緣覺諸大賢聖(성문연각제대현성)이 或乘華座(혹승화좌)시며 或肅威儀(혹숙위의)시고 從空而至(종공이지)샤 普應群機(보응군기)ㅣ니라
曰獻座時(왈헌좌시)옌 如何(여하)ㅣ고
曰想上請佛法僧尊(왈상상청불법승존)이 悉登寶蓮華座(실등보련화좌)샤 共放光眀(공방광명)샤 照諸衆生(조제중생)ㅣ니라
曰獻供(왈헌공)고 加持變食時(가지변식시)옌 又如何(우여하)ㅣ고
曰想所獻淸香寶花(왈상소헌청향보화)와 蘭燈妙藥(란등묘약)과 名茶仙果(명다선과)와 及諸種種珎食(급제종종진식)이 各滿寶器(각만보기)ㅣ어든 其一一寶器(기일일보기)예 出生無盡(출생무진)이라
而一器(이일기)ㅣ 變爲十器(변위십기)고 十器(십기)ㅣ 變爲百器(변위백기)고 百噐(백기)ㅣ 變爲千器(변위천기)고千器(천기)ㅣ 變爲萬器(변위만기)고 萬器(만기)ㅣ 變爲無量無邊之器(변위무량무변지기)야 充滿法界(충만법계)며 又諸依正莊嚴一切諸法(우제의정장엄일체제법)이 皆成妙供(개성묘공)이어든 一時普供十方三寶(일시보공시방삼보)와 天仙聖賢之前(천선성현지전)ㅣ니라
曰承何妙力(왈승하묘력)야 今此所奉種種供具(금차소봉종종공구)이 各變無量(각변무량)야 俱成妙供(구성묘공)ㅣ고
曰一切諸法(왈일체제법)이 莫不由一心之體(막불유일심지체)야 起一心之用也(기일심지용야)ㅣ니 心法(심법)이 不二(불이)l라 妙變(묘변)이 無量(무량)야 而尙不可思議(이상불가사의)온
又況於一念(우황어일념)애 持誦我佛所說(지송아불소설)샨
無量威德自在光明勝妙力變食陁羅尼(무량위덕자재광명승묘력변식타라니)ㅣ녀 今此變食一呪(금차변식일주)애 三德(삼덕)이 具焉(구언)이니라
無量威德自在者(무량위덕자재자) 解脫德也(해탈덕야)ㅣ오
光眀者(광명자) 般若德也(반약덕야)l오 勝妙者(승묘자)法身德也(법신덕야)ㅣ오 力者(력자) 三德之力用也(삼덕지력용야)l오 陁羅尼者(다라니자) 摠持之謂也(총지지위야)ㅣ니라
三德揔持(삼덕총지)ㅣ 只在一心(지재일심)니 一心三德(일심삼덕)이 法爾圓妙(법이원묘)야 無別有體(무별유체)니 由是(유시)로 心即呪(심즉주)오 呪即食(주즉식)이라
體用(체용)이 無間故(무간고)로 於一器之食(어일기지식)애
出生一切無量酥陀美味(출생일체무량소타미미)며 於一一味中(어일일미중)애 亦復出生香花燈燭(역부출생향화등촉)과 茶果珎食(다과진식)과 天衣瓔珞衆寶輦輿一切服用(천의영락중보련여일체복용)과 鍾鼓錚螺鈸磬鳳管鸞簫一切妙音(종고쟁라발경봉관난소일체묘음)과 流泉浴池花果園林光眀臺殿一切住處(류천욕지화과원림광명대전일체주처)하며 復於一一美味(부어일일미미)와 一一服用(일일복용)과 一一住處(일일주처)애 出生不可說不可說無量無邊一切妙供(출생불가설불가설무량무변일체묘공)야 無不周徧(무불주편)혼디 如帝網珠(여제망주)의 千光(천광)이 交映(교영)야 一多(일다)ㅣ 互照(호조)니라
斯雖三德之妙用(사수삼덕지묘용)이나 若非圓觀之融通(약비원관지융통)과 眞言之秘密(진언지비밀)ㅣ면 安得如是哉(안득여시재)리오
曰加持甘露水時(왈가지감로수시)옌 如何(여하)ㅣ고
曰想此法水(왈상차법수)ㅣ 即成甘露妙味(즉성감로묘미)야
普徧食上(보편식상)l니라
曰加持水輪觀時(왈가지수륜관시)옌 如何(여하)ㅣ고
曰想此甘露之水(왈상차감로지수)ㅣ 能成水輪(능성수륜)야
流徧法界(류편법계)니라
曰加持乳海時(왈가지유해시)옌 如何(여하)ㅣ고
曰想盡虛空徧法界(왈상진허공편법계)ㅣ 皆成乳海(개성유해)ㅣ니라
曰吾今(왈오금)애 每見叢林齋席(매견총림재석)호니
當呪食呪水之時(당주식주수지시)야 法師(법사)ㅣ 皆出立壇前(개출립단전)야 莫不揮臂灑水於供具上(막불휘비쇄수어공구상)호 其法(기법)이 有萬不同(유만부동)이어시니 不知(부지)케라 此又何如也(차우하여야)ㅣ고
曰難言也(왈난언야)ㅣ니라
前乎齋軌(전호재궤)예도 未有㝎制(미유정제)고 後乎齋軌(후호재궤)예도 亦未有定制(역미유정제)니 將憑何典(장빙하전)야
以定其法乎(이정기법호)ㅣ리오
然(연)이나 無已則須從結手(무이즉수종결수)의 印法歟(인법여)뎌 雖然如是(수연여시)ㅣ나 古云事之無害於義者(고운사지무해어의자) 從俗(종속)이 可也(가야)ㅣ라니 隨今行事(수금행사)야 折衷而語之(절충이어지)호리라 當呪食時(당주식시)야
法師(법사)ㅣ 出立壇前(출립단전)야 以右手無名指(이우수무명지)로 向壇上淨器中(향단상정기중)야 書梵字(서범자)
唵옴
卍만 二字(이자)고 遂其手指(수기수지)로 旋揮供具上(선휘공구상)고 次呪水時(차주수시)옌 以淨水(이정수)로 熏香(훈향)야
作甘露法水(작감로법수)야 散灑食上(산쇄식상)호
須三匝令徧(수삼잡령편)케고 次呪水輪觀時(차주수륜관시)예 書梵(서범)
鉢(叭)밤字于器中(자우기중)고 以其(이기)
鉢(叭)밤字(자)로 流出無盡甘露法水(유출무진감로법수)야
散灑空中(산쇄공중)호 亦三匝令滿(역삼잡령만)케고
次呪乳海時(차주유해시)옌 還置水器(환치수기)고
當胷合掌而立于壇前(당흉합장이립우단전)야
以待畢呪而退也(이대필주이퇴야)l니라
曰普供(왈보공)을 畢(필)고 誦經祝願時(송경축원시)옌
如何作觀也(여하작관야)ㅣ고
曰想前來所奉一一供事(왈상전래소봉일일공사) 並是財施(병시재시)오 今誦大乘(금송대승)은 乃是法施(내시법시)ㅣ니
財以養命(재이양명)이오 法以開性(법이개성)이니 二施(이시)ㅣ 並運(병운) 斯曰勝席(사왈승석)이니 財外(재외)예 無法(무법)이오 法外(법외)예 無財(무재)ㅣ라 二施(이시)ㅣ 平等(평등)야
皆即三諦(개즉삼제)ㅣ니라 作此想時(작차상시)예 同日辦供大檀信(동일판공대단신)과 及諸隨喜之人(급제수희지인)과
與諸見聞之者(여제견문지자)ㅣ 隨其誦祝(수기송축)야
咸蒙利樂(함몽이락)야 共成所願(공성소원)이니라
此其大略也(차기대략야)ㅣ니 隨事而運想(수사이운상)이
亦可也(역가야)ㅣ니라
曰今之問答(왈금지문답)이 雖出於偶然(수출어우연)이나
皆語關聖說(개어관성설)이라 願須安名(원수안명)샤
以諭未諭者(이유미유자)호 何如(하여)이고
曰一問一答(왈일문일답)은 賔主之常道(빈주지상도)ㅣ오
自衒自愚(자현자우) 古今之咲具(고금지소구)ㅣ니라
一塲答話(일장답화)도 固多慚靦(고다참전)ㅣ온
何可忍名於一時之問答(하가인명어일시지문답)야
自招衆人之絶倒也(자초중인지절도야)ㅣ리오
曰道人(왈도인)이 無有此言(무유차언)쇼셔
今客之問(금객지문)이 乃夢問也(내몽문야)ㅣ오
道人之答(도인지답)이 亦夢答也(역몽답야)ㅣ니
夢問夢答(몽문몽답)을 豈人(기인)이 咲歟(소여)ㅣ리오
雖咲(수소)ㅣ나 亦夢也(역몽야)ㅣ니이다
道人(도인)이
豈不知天地(기불지천지)ㅣ 水月(수월)이며
三界(삼계)ㅣ 空花(공화)이며
生佛(생불)이 一幻(일환)ㅣ며
毁譽(훼예)ㅣ 一夢也(일몽야)ㅣ시리잇고
毋以夢(무이몽)으로 畏夢(외몽)시고
即名此法文(즉명차법문)샤
使後之如我者(사후지여아자)로 咸得開悟(함득개오)케시면
則山門之寶也(즉산문지보야)ㅣ며
學者之幸也(학자지행야)ㅣ며
亦病客之願也(역병객지원야)ㅣ畢矣(필의)ㅣ리다
曰雖非我意(왈수비아의)ㅣ나 客言(객언)이 斯切(사절)이라
返以客說(반이객설)로 以名之(이명지)댄
宜名水月道塲空花佛事如幻賔主夢中問答
(의명수월도장공화불사여환빈주몽중문답)ㅣ니라
客(객)은 其取舍之(기취사지)라 安知其名名者(안지기명명자) 又不曾其名也歟(우부증기명야여)ㅣ리오
終
水月道場空花佛事 如幻賔主夢中問答
『수월도량공화불사여환빈주몽중문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