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지 여행[경기 군포] 안양군 묘

작성자광나루|작성시간10.03.16|조회수443 목록 댓글 0

전주이씨 안양군 묘(경기 기념물 122호)                                                                          written by 한국의 능원묘

▲ 안양군(성종의 서2남) 묘역 전경

안양군 묘는 광나루가 능원묘 답사 초기에 파악한 주소가 잘못되어 엉뚱한 곳에서 헤메었던 기억이 납니다. 항상 다시 찾아야지하는 마음만 있다가 나홀로의 제47차 능원묘 답사시에 찾아 보았습니다.

▲ 태을초교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묘역 단장이 마무리되지 않아서 주변이 조금은 어수선 합니다.

▲ 새로 건립한 사당과 재실이 마무리 단계에 있는 것 같습니다.

조선 성종의 셋째 아들 안양군 이행을 모신 유택이다. 묘역은 사성(沙城)으로 둘러싸여 있고, 봉분은 단분으로 부인 능성구씨(陵城具氏)와의 합장묘이다. 봉분 앞에 상석과 향로석이 있고, 상석 가까운 곳에 좌우로 허리 부분까지만 형상화한 고졸(古拙)한 형태의 동자상이 있다.

▲ 안양군과 능성 구씨의 합장 묘역 전경

상석의 전방에는 장명등이 있고, 상석과 장명등을 중심으로 좌우에 망주석·석양·문인석이 1쌍씩 배열되어 있다. 묘비는 봉분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는데, 비신의 측면에 '건좌병진(乾座丙辰)'이라는 묘소의 방향과 건립 연대의 간지(干支)가 기록되었으나 연호가 없어 정확한 연대를 알 수 없다.

▲ 장명등 모습

▲ 동자석은 허리까지 묻혔네요...

묘역 앞에 위치한 신도비는 신종묵(愼宗默)이 찬(撰)한 원래의 비문을 1976년 이일형(李一珩)이 쓰고 김충현(金忠顯)이 전액(篆額)을 하여 건립하였다. 이 묘역은 원래의 자리가 아니라 고종 32년(1895) 양주에서 묘역의 석물과 함께 이장해 온 것이라고 한다.

▲ 봉분 좌측에 위치한 묘비

▲ 측면에서 바라 본 묘역내 석물

안양군은 성종의 셋째 아들로 어머니는 성종의 후궁인 귀인 정씨(貴人鄭氏)이다. 연산군의 생모인 폐비 윤씨(尹氏) 사건의 원인이 성종의 후궁인 정씨와 엄씨(嚴氏)의 참소에 있다고 판단하여 연산군 10년(1504) 어머니와 봉안군(鳳安君)(성종의 6남)과 함께 사사(賜死)되었다.

▲ 안양군 묘역 뒤에서 내려다 본 모습

1506년 중종이 즉위하면서 복작(復爵)되었고, 중종 15년(1520)에 부인의 상소에 따라 좋은 곳을 골라 다시 장례 지내도록 교지가 내렸다. 따라서 이 묘역 석물의 조성 시기는 중종 15년경으로 판단된다.

▲ 묘역 좌측에 작은 연못과 자연석 위에 근래에 조성한 듯한 신도비가 올려져 있습니다.

제9대 성종대왕(成宗大王) [1457 ~ 1494]

 

정비 공혜왕후 한씨(恭惠王后 韓氏) [1456 ~ 1474]
소생 없음

 

제1계비 폐비 윤씨(廢妃 尹氏) [1445 ~ 1482]

적1남 왕세자(王世子) [1476 ~ 1506] : 제10대 연산군(燕山君)
적2남 대군(大君) [1478 ~ 1479]

 

제2계비 정현왕후 윤씨(貞顯王后 尹氏) [1462 ~ 1530]

적3남 진성대군(晉城大君) [1488 ~ 1544]
적1녀 순숙공주(順淑公主) [1478 ~ 1488]
적2녀 신숙공주(愼淑公主) [1481 ~ 1486]

 

서1남 계성군(桂城君) [1478 ~ 1504] (숙의 하씨)
서2남 안양군(安陽君) [1480 ~ 1504] (귀인 정씨)
서3남 완원군(完原君) [1480 ~ 1509] (숙의 홍씨)
서4남 회산군(檜山君) [1481 ~ 1512] (숙의 홍씨)
서5남 봉안군(鳳安君) [1482 ~ 1505] (귀인 정씨)
서6남 진성군(甄城君) [1482 ~ 1507] (숙의 홍씨)
서7남 익양군(益陽君) [1488 ~ 1552] (숙의 홍씨)
서8남 이성군(利城君) [1489 ~ 1552] (숙용 심씨)
서9남 경명군(景明君) [1489 ~ 1526] (숙의 홍씨)
서10남 전성군(全城君) [1490 ~ 1505] (귀인 권씨)
서11남 무산군(茂山君) [1490 ~ 1525] (명빈 김씨)
서12남 영산군(寧山君) [1490 ~ 1538] (숙용 심씨)
서13남 운천군(雲川君) [1490 ~ 1524] (숙의 홍씨)
서14남 양원군(楊原君) [1492 ~ 1551] (숙의 홍씨)
서1녀 혜숙옹주(惠淑翁主) [생몰년 미상] (숙의 홍씨)
서2녀 휘숙옹주(徽淑翁主) [생몰년 미상] (숙의 김씨)
서3녀 공신옹주(恭愼翁主) [생몰년 미상] (귀인 엄씨)
서4녀 경순옹주(慶順翁主) [1482 ~ 미상] (숙용 심씨)
서5녀 경숙옹주(慶淑翁主) [1483 ~ 미상] (숙의 김씨)
서6녀 정순옹주(靜順翁主) [미상 ~ 1506] (숙의 홍씨)
서7녀 숙혜옹주(淑惠翁主) [1486 ~ 1525] (숙용 심씨)
서8녀 경휘옹주(慶徽翁主) [생몰년 미상] (숙용 권씨)
서9녀 휘정옹주(徽靜翁主) [생몰년 미상] (숙의 김씨)
서10녀 정혜옹주(靜惠翁主) [미상 ~ 1507] (귀인 정씨)
서11녀 정숙옹주(靜淑翁主) [1492 ~ 미상] (숙의 홍씨)

안양군 묘역 위치도

 좌측의 화살표 있는 곳이 안양군 묘입니다. 태을초교와 산본고교 사이로 진입하면 됩니다.           소재지 : 경기 군포시 산본동 산27

 좌측 화살표 있는 곳에 안양군 묘역이 있습니다. 산본IC나 우측의 금정역을 기준으로 위치를 가늠하시기 바랍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