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오개(五蓋), 다섯 덮개 정리

작성자조성래|작성시간15.02.28|조회수129 목록 댓글 2

 오늘 아침에는 오개(五蓋), 다섯 덮개, 다섯 장애요인을 정리해봤습니다. 오개는 석가부처님의 법에 너무나 많이 나오는 것으로, 이것들 중 하나라도 있으면 지혜가 나오지 않는다고 합니다. 위빠사나수행을 할 때 잘 안되는 사람은 이것 때문에 안된다고 봐야 합니다.

 

*五蓋(오개): 五다섯오, 蓋덮을개, 덮개 개. <지혜가 나오지 못하도록 마음을 덮고 있는 5가지 장애 번뇌>, 마음을 덮고 있기에 ‘덮개’라고 함.

 

  1) 탐욕덮개(貪欲蓋탐욕개): 범부들은 재물욕, 성욕, 식욕, 명예욕, 수면욕 등 5욕락(五欲樂)에 빠져, 그것들에 대해 강한 애착심(愛着心)을 보이며 잡아 쥐려고 함으로써 이 애착심이 장애가 되어 지혜가 나오지 못함. 오욕락 중 특히 감각적 쾌락에 대한 욕망을 말함.

 

  2) 성냄덮개(瞋恚蓋진에개, 惡意): 위의 탐욕과 상반되는 개념으로서 어떤 대상을 싫어하거나 미워하는 마음에 사로잡혀, 마음의 평정을 잃게 됨으로써 그것이 장애가 되어 지혜가 나오지 못함. 불편해함, 싫어함, 미워함, 화, 분노(忿怒), 증오(憎惡), 적개심[敵意], 해치려는 마음[害意] 등의 마음을 품는 것이 성냄덮개에 해당한다.

 

  3) 해태.혼침덮개(懈怠.昏沈蓋): 해태.혼침덮개는 잠시도 쉬지 않고 노력하여 마음을 다잡아 챙기지 않고 해이함, 태만함, 게으름, 멍함, 졸음, 잠 등에 떨어져 알아차림 하지 않음으로써 지혜가 나오지 못함. 평소 부지런히 정진하지 않거나[懈怠해태], 정진하더라도 분발심을 가지고 순간순간 노력하여 관찰하지 않고 망상만 피우고 있거나[妄想망상], 그렇지 않으면 활발한 관찰 없이 정신이 멍한 상태에 빠져 있거나[昏沈혼침], 혹은 졸음, 잠[睡眠] 속에서 몸을 둔하게 하고 마음을 흐리게 함으로써 그것이 장애가 되어 지혜가 나오지 못함. 수면개(睡眠蓋), 혼침수면개(昏沈睡眠蓋), 혼면개(惛眠蓋) 등으로 번역돼 있기도 함.

 

  4) 들뜸과 후회의 덮개(掉悔蓋도회개): 흔들릴 도(掉), 요동함, 들뜸. 후회 회(悔). 마음이 들떠 가만히 있지 못하는 상태이거나 지나간 일에 대해 후회하거나 분하게 여기는 마음상태에 빠져, 그것이 장애가 되어 지혜가 나오지 못함. 이 둘은 다 정(定)을 이루지 못하게 하여 지혜가 나오는 데 장애가 되므로 이 둘을 합쳐 하나의 덮개[蓋]로 취급하고 있다.

한자 掉(도)의 뜻은 ‘흔들림’, ‘요동함’이고, 이것의 빨리어 원어는 uddhacca 이고, 이것은 ‘<사람. 기분 등이> 가만히 있지 못하는’ ‘계속 움직이는’ ‘계속 출렁이는’, ‘침착하지 못하는’ ‘불안한’ 등의 뜻으로 ‘들뜸’으로 번역된다. <청정도론>에서는 들뜸의 특징을 “바람에 출렁이는 물결처럼 동요하여 고요하지 않다. 산만하다”라고 하였다.

한자 悔(회)의 원어는 kukkucca 이고, 이것은 ‘양심적 가책’ 또는 ‘후회’라는 뜻이다. 한자 회(悔)는 후회함, 분하게 여김, 한(恨)으로 여김 등의 뜻이 있다. 후회란 ‘해야 했는데 하지 않았던 것을, 하지 않아야 했는데 했던 것을 한스럽게 여기는 것’이다. 나쁜 짓을 해놓고 그것에 대해 마음이 걸려 죄책감에 시달리고 있거나, 지나간 일에 대해 슬픔, 한탄의 생각을 끊임없이 되풀이함으로써 지혜가 나오지 못하게 한다. ‘도거악작개(掉擧惡作蓋)’, ‘도희개(掉戱蓋)’, ‘조희개(調戱蓋)’ 등으로 번역돼 있기도 하다.

 

 5) 법을 의심하는 덮개(疑法蓋의법개): 법에 대한 믿음이 부족한 것. 정법(正法)인 불법(佛法)을 만나고도 그것을 의심하여 결단성 있게 취하지 못하고 망설이거나 뒤로 미룸으로써 지혜가 나오지 못하게 한다. 부처님의 가르침에 대해 의심하고, 회의(懷疑)하고, 흔들리고, 결단 내리지 못하고, 분명하게 이해하려고 하지 않는 것이 법을 의심하는 것의 특징이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반야 | 작성시간 15.03.01 견증하고 갑니다
  • 답댓글 작성자조성래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15.03.01 반야님, 이렇게 반응해주시니, 반갑고 고맙습니다. 오개를 외워주시기 바랍니다. 자세히 보면 탐진치에다 들뜸.후회, 불신이 있으면 그것이 장애가 되어 지혜 계발이 안된다는 뜻입니다. 법에 대한 확고한 믿음이 가장 중요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계, 정, 혜를 닦아가야 한다는 말입니다. 과거, 7~8년 전에 이 오개의 개념을 잡는 데 시간이 많이 걸렸습니다. 약 2주 동안 오개의 개념 정리에 대해 글을 써보고 지우기를 반복하다가 완벽하게 정리되었다고 생각했는데, 그것과 별도로 다시 정리해보았습니다. 사실 이 정리는 다시 수정될 것입니다. 더 완벽하게 만들기 위해 이 글을 작성해 봅니다.
댓글 전체보기

매주 수요일 아함경.. 다른글

현재페이지 1234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