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식허담(粉飾虛談)
실속 없는 이야기를 그럴듯하게 꾸며낸다는 뜻으로, 듣는 사람을 현혹하게 하는 그럴듯한 말보다는, 남이 보건 말건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이다.
粉 : 가루 분(米/4)
飾 : 꾸밀 식(飠/5)
虛 : 빌 허(虍/6)
談 : 말씀 담(言/8)
문헌 : 유성룡(柳成龍)의 서애집(西厓集)
임진왜란 때 명재상 유성룡(柳成龍)의 서애집(西厓集)에 진관(鎭管)제도를 재정비하여 거행할 것을 청하는 계(請修擧鎭管之制啓)의 글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좋은 법과 제도가 모두 폐지되고 떨어져서, 사대부는 다만 문장의 화려함을 다듬고 헛된 말만 꾸미기에 힘쓸 뿐 세상을 다스릴 생각에는 조금도 뜻을 두지 않았습니다.
이뿐만이 아니라 또한 가벼이 생각하고 얕은꾀가 있는 사람은 스스로 자기의 뜻을 자랑하여 조종의 제도를 다 허물고 새로운 규정을 만들어 제승방략이라고 이름 했습니다. 제승방략은 처음으로 을묘왜변에서 나타났습니다.
이는 한때의 위급함을 구하는 계책으로 적은 적을 대응하는 데만 겨우 쓰일 뿐이고 대적을 방어할 술책이 아님을 알지 못하였습니다.
良法美制。一切廢隳。士大夫只以琱琢文華。粉飾虛談爲務。其於經世之慮。一不加意。不獨此也。又有輕慮淺謀之人。自任己意。盡毁祖宗之制。而做出新規。名之曰制勝方略。其初。見乙卯倭變。爲此一時救急之策。不知此纔可以應小小之賊。非所以制禦大敵之術。
분식허담(粉飾虛談)
고구려 연개소문(淵蓋蘇文)의 아들 연남생(淵男生), 고구려 유민 고선지(高仙芝), 백제의 유민 흑치상지(黑齒常之) 등이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의 공격에 의해 나라가 망한 뒤 당(唐)나라에 끌려갔다.
그 뒤에 지위가 아주 높은 장수가 되어 혁혁한 큰 공을 세웠다. 이들의 능력이 특출한 것도 있겠지만, 당나라 지식인들은 군대생활 등 힘든 일은 하기 싫어했으므로, 이민족들이 진출해 출세하기 쉬운 곳이 군대였다.
우리나라 유민뿐만 아니라, 유명한 장수 가서한(哥舒翰)이나 절도사로 있다가 나중에 반란을 꾀한 안록산(安祿山)도 돌궐족 (突厥族) 출신이다.
당(唐)나라에는 유명한 시인, 문장가, 학자 등이 많이 있었지만, 지식인들은 병역의 의무를 지지 않았고, 국방에 대해서 몰랐다.
당나라는 안록산 난 이후 변방의 이민족과의 전쟁과 내부의 반란 등으로 나라가 조용할 때가 없었다.국가의 군대가 힘을 발휘하지 못하기 때문이었다.
송(宋)나라도 경제가 상당히 발전하고, 학문이 대단히 성했지만, 북쪽 이민족이 세운 요(遼)나라, 금(金)나라, 원(元)나라의 비위를 맞추며 겨우 명맥을 유지했다.
국방이 안 되기 때문이었다. 지식인들이 붓으로 문장 짓고 따지기는 좋아하지만, 군대생활 같은 힘든 일은 하기 싫어한 것이 그 원인이다.
대통령 안 나온다 했다가 대통령 나온 사람들, 정치 안 하겠다고 했다가 정치에 뛰어든 사람들, 은퇴한다고 선언했다가 다시 나온 사람들, 어떤 당에 입당 안 하겠다고 했다가 입당한 사람들. 역대 대통령이나 국회의원 가운데 이런 사람들이 많다. 이들을 국가 지도자라고 할 수 있겠는가?
애국, 통일, 민주, 민중, 환경보호, 빈부격차 해소, 봉사, 사랑 등등 좋은 말이 많지만, 이런 구호를 외치는 사람들 가운데 국민의 기본의무인 국방의 의무를 수행하지 않은 사람의 비율이 더 높다.
왜 이런 현상이 벌어지는가? 사람들이 힘든 일은 남에게 미루고, 정의의 투사 같은 명예와 실질적인 이익만 챙기려고 하기 때문이다. 정말 애국하고 통일을 원한다면, 말하지 않고 실천만 하면 된다.
어떤 일만 나면 국가원로라고 신문이나 방송에 나와 대책을 내놓는 사람들 가운데는, 과거 자신의 행적은 잊은 듯 그럴듯하게 번지르르한 말만 늘어놓는 사람이 많았다.
자신은 실천하지 않으면서 그럴듯한 말만 해서 무슨 도움이 되겠는가?
필자가 군대 생활하던 1970년대 초반에 우리 중대 인사계 상사가 술 한잔하면 늘 하던 말이 생각난다.
지금 대한민국 높은 놈들 가운데 자기 아들 군대 보낸 사람은, 1군 사령관 한신(韓信) 대장하고 내무부장관 김현옥(金玄玉)밖에 없어. 전쟁 나면 돌격 앞으로 할 사람 한 놈도 없다고.
지금은 크게 나아졌는지 모르겠다. 듣는 사람을 현혹하게 하는 그럴듯한 말보다는, 남이 보건 말건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지식인들이 더 그래야 한다.
▶️ 粉(가루 분)은 ❶형성문자로 뜻을 나타내는 쌀 미(米; 쌀)部와 음(音)을 나타내는分(분)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分(분)은 나누는 일, 米(미)는 쌀, 粉(분)은 쌀을 가루로 만든 것인데, 얼굴에 발라 분으로 삼았다고 일컬어진다. 나중에 쌀에 한하지 않고 가루를 가리켜 말하였다. ❷회의문자로 粉자는 '가루'나 '빻다'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粉자는 米(쌀 미)자와 分(나눌 분)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分자는 칼로 사물을 반으로 나눈 모습을 그린 것으로 '나누다'는 뜻이 있다. 이렇게 무언가를 나누는 모습을 그린 分자에 米자를 결합한 粉자는 '쌀을 나누다' 즉 '쌀을 가루로 만들다'는 뜻이다. 그래서 粉(분)은 (1)백분(白粉) (2)흰빛을 내는 채색(彩色). 진채(眞彩)를 내는 데에 씀, 등의 뜻으로 ①가루 ②분 ③고물(배의 뒷부분) ④안료(顔料) ⑤색칠 ⑥(분을)바르다, 화장하다 ⑦색칠하다 ⑧희다 ⑨빻다, 부수다, 따위의 뜻이 있다. 용례로는 가루로 딱딱한 물건을 보드라울 정도로 잘게 부수거나 갈아서 만든 것을 분말(粉末), 가루처럼 잘게 부스러 뜨림을 분쇄(粉碎), 탄산 석회나 구운 석고의 가루를 물에 개어 손가락 만큼씩 하게 굳혀 만들어 칠판에 글씨를 쓰는 쓸 것을 분필(粉筆), 가루 우유를 분유(粉乳), 가루 음식을 분식(粉食), 가루 사탕을 분당(粉糖), 얼크러져 다툼을 분경(粉競), 흰빛이 섞인 붉은빛을 분홍(粉紅), 분바를 때 분을 개서 쓰는 물을 분수(粉水), 가루로 된 약을 분약(粉藥), 얽히고 맺힘을 분결(粉結), 분처럼 흼 또는 분칠을 하여 희게 함을 분백(粉白), 내용이 없이 거죽만을 발라 꾸미는 것 또는 실제보다 좋게 보이도록 거짓으로 꾸미는 것을 분식(粉飾), 참혹하게 죽음 또는 목숨을 내놓고 있는 힘을 다함을 분골(粉骨), 고운 가루를 미분(微粉), 밀가루나 보리 가루를 맥분(麥粉), 뿔을 쪄서 부순 가루를 각분(角粉), 곡식이나 약재 등 덩어리진 것을 빻아 가루로 만듦을 제분(製粉), 여자들의 얼굴을 단장하는 데 바르는 흰 가루를 호분(胡粉), 수꽃술의 꽃 밥속에 있는 가루 모양의 물질을 화분(花粉), 동물의 피를 말린 가루를 혈분(血粉), 곡식을 빻거나 갈아서 만든 가루를 곡분(穀粉), 감자의 앙금을 말린 가루를 감분(甘粉), 쌀을 빻아서 만든 가루를 미분(米粉), 여자들의 얼굴을 단장하는 데 바르는 흰 가루를 백분(白粉), 뼈가 가루가 되고 몸이 부서진다는 뜻으로 있는 힘을 다해 노력함 또는 남을 위하여 수고를 아끼지 않음을 이르는 말을 분골쇄신(粉骨碎身), 분을 희게 바르고 먹으로 눈썹을 까맣게 화장한다는 뜻으로 미인의 얼굴을 이르는 말을 분백대흑(粉白黛黑), 하얗게 꾸민 벽과 깁으로 바른 창이라는 뜻으로 미인이 거처하는 곳을 이르는 말을 분벽사창(粉壁紗窓), 낙화가 어지럽게 떨어지면서 흩어지는 모양을 이르는 말을 낙영빈분(落英繽粉) 등에 쓰인다.
▶️ 飾(꾸밀 식, 경계할 칙)은 ❶형성문자로 饰(식, 칙)은 간자(簡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동시에 음(音)을 나타내는 밥식변(飠=食; 먹다, 음식)部와 사람인(人=亻; 사람)部와巾(건; 헝겊)으로 이루어졌다. 사람이 헝겊으로 닦아서 깨끗이 하다의 뜻이, 전(轉)하여 꾸미다의 뜻이 되었다. ❷회의문자로 飾자는 '꾸미다'나 '단장하다'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飾자는 食(밥 식)자와 人(사람 인)자, 巾(수건 건)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巾자는 '수건'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그러니 飾자는 사람(人)이 행주(巾)로 식기(食)를 닦고 있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갑골문에 나온 飾자를 보면 큰 식기 앞에 빗자루가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제사를 지내기 전에 식기 주변을 깨끗이 정돈한다는 뜻이다. 이후 소전에서는 사람이 더해지게 되면서 지금의 飾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飾자는 제사 전에 정돈한다는 뜻이 확대되어 지금은 '꾸미다'는 뜻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飾(식, 칙)은 ①꾸미다 ②단장(丹粧)하다 ③위장(僞裝)하다, 거짓으로 꾸미다 ④씻다 ⑤꾸밈 ⑥장식(粧飾) ⑦보물(寶物) ⑧가선(의복의 가장자리를 딴 헝겊으로 가늘게 싸서 돌린 선) 그리고 경계할 칙의 경우는 ⓐ경계하다(칙) ⓑ신칙하다(단단히 타일러서 경계하다)(칙) ⓒ다스리다, 정돈하다(칙)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꾸밀 분(扮), 꾸밀 날(捏), 단장할 장(粧), 꾸밀 장(裝)이다. 용례로는 교묘하게 꾸며 속임을 식교(飾巧), 거짓을 꾸밈을 식위(飾僞), 품성을 고상하게 가꿈을 식성(飾性), 의리를 들어 그럴싸하게 꾸밈을 식의(飾義), 교묘한 말과 수단으로 잘못을 얼버무리는 일을 식비(飾非), 보석보다 품질이 낮으나 장식에 쓰이는 돌을 식석(飾石), 겉을 번드르르하게 꾸민 설을 식설(飾說), 말을 꾸밈 또는 거짓으로 꾸며서 하는 말을 식언(飾言), 죽은 사람의 최후를 장식함을 식종(飾終), 부모의 경사에 잔치를 베풂을 식희(飾喜), 이익을 늘림을 식리(飾履), 변설을 잘 꾸밈을 식변(飾辯), 남을 속이기 위하여 거짓을 꾸밈을 식사(飾詐), 듣기 좋게 꾸며서 하는 말을 식사(飾辭), 속마음과 달리 언행을 거짓으로 꾸밈을 가식(假飾), 겉모양을 아름답게 꾸밈 또는 그 꾸밈새나 장식물을 장식(裝飾), 옷과 몸차림의 꾸밈새를 복식(服飾), 겉모양을 꾸밈을 수식(修飾), 지나치게 꾸밈을 과식(過飾), 글을 아름답게 꾸밈을 문식(文飾), 겉으로만 보기 좋게 꾸미는 일을 허식(虛飾), 어떤 것을 꾸밈을 가식(加飾), 아름답게 꾸밈을 미식(美飾), 속은 비고 겉치레만 함을 이르는 말을 내허외식(內虛外飾), 허물도 꾸미고 잘못도 꾸민다는 말을 문과식비(文過飾非), 간악한 꾀가 많아 선을 악이라 하고 악을 선이라 꾸며 대어 상대방을 곧이 듣게 함을 이르는 말을 지족식비(知足飾非), 얼굴과 옷을 아름답게 단장하고 치장함을 이르는 말을 응장성식(凝粧盛飾) 등에 쓰인다.
▶️ 虛(빌 허)는 ❶형성문자로 虚(허)의 본자(本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음(音)을 나타내는 범호 엄(虍; 범의 문채, 가죽, 허)部와 丘(구; 큰 언덕)가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큰 언덕은 넓고 넓어 아무것도 없다는 데서 텅 비다의 뜻으로 되었다. ❷회의문자로 虛자는 '비다'나 '공허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虛자는 虎(범 호)자와 丘(언덕 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丘자가 다른 글자와 결합할 때는 (구)자로 바뀌기 때문에 虛자는 丘자가 결합한 것으로 풀이해야 한다. 丘자는 '언덕'을 뜻하는 글자이다. 그러니 虛자는 마치 호랑이가 언덕에 있는 듯한 모습이다. 맹수의 왕이 나타났으니 모두 도망가기 바쁠 것이다. 그래서 虛자는 드넓은 언덕에 호랑이가 나타나자 모두 사라졌다는 의미에서 '비다'나 '없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虛(허)는 (1)내용(內容)이 비어 있는 것 (2)방심(放心)하여 게을리 한 곳이나 틈. 허점(虛點) 등의 뜻으로 ①비다, 없다 ②비워 두다 ③헛되다 ④공허(空虛)하다 ⑤약(弱)하다 ⑥앓다 ⑦살다, 거주(居住)하다 ⑧구멍 ⑨틈, 빈틈 ⑩공허(空虛), 무념무상(無念無想) ⑪마음 ⑫하늘 ⑬폐허(廢墟) ⑭위치(位置), 방위(方位) ⑮큰 언덕 ⑯별의 이름, 따위의 뜻이 있다.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열매 실(實), 있을 유(有), 찰 영(盈)이다. 용례로는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처럼 꾸민 것을 허위(虛僞), 비거나 허술한 부분을 허점(虛點), 사실에 없는 일을 얽어서 꾸밈을 허구(虛構), 몸이 허약하여 기운이 빠지고 정신이 멍함을 허탈(虛脫), 사람됨이 들떠서 황당함을 허황(虛荒), 텅 비어 실상이 없음을 허무(虛無), 실상이 없는 말로 거짓말을 허언(虛言), 텅 빈 공중을 허공(虛空), 피곤하여 고달픔을 허비(虛憊), 마음이나 몸이 튼튼하지 못하고 약함을 허약(虛弱), 쓸 데 없는 비용을 씀을 허비(虛費), 실상은 없이 겉으로 드러내는 형세를 허세(虛勢), 어이없고 허무함 또는 거짓이 많고 근거가 없음을 허망(虛妄), 때를 헛되게 그저 보냄을 허송(虛送), 몹시 배고픈 느낌을 허기(虛飢), 쓸데없는 헛된 생각이나 부질없는 생각을 허상(虛想), 너무 과장하여 실속이 없는 말이나 행동을 허풍(虛風), 겸손하게 자기를 낮춤을 겸허(謙虛), 속이 텅 빔을 공허(空虛), 속이 빔을 내허(內虛), 정신이 허약한 병증을 심허(心虛), 위가 허약함을 위허(胃虛), 원기가 약함을 기허(氣虛), 마음이 맑고 잡된 생각이 없어 깨끗함을 청허(淸虛), 높고 텅 빔으로 지위는 높으면서 직분은 없음을 고허(高虛), 마음이 들뜨고 허황함을 부허(浮虛), 푸른 하늘을 벽허(碧虛), 마음을 비우고 생각을 터놓음을 일컫는 말을 허심탄회(虛心坦懷), 헛되이 목소리의 기세만 높인다는 뜻으로 실력이 없으면서도 허세로만 떠벌림을 이르는 말을 허장성세(虛張聲勢), 세월을 헛되이 보냄을 일컫는 말을 허송세월(虛送歲月), 방을 비우면 빛이 그 틈새로 들어와 환하다는 뜻으로 무념무상의 경지에 이르면 저절로 진리에 도달할 수 있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허실생백(虛室生白), 허를 찌르고 실을 꾀하는 계책으로 싸우는 모양을 이르는 말로써 계략이나 수단을 써서 서로 상대방의 약점을 비난하여 싸움을 이르는 말을 허허실실(虛虛實實), 말하기 어려울 만큼 비고 거짓되어 실상이 없음을 이르는 말을 허무맹랑(虛無孟浪), 허명 뿐이고 실속이 없음을 일컫는 말을 허명무실(虛名無實), 예절이나 법식 등을 겉으로만 꾸며 번드레하게 하는 일을 일컫는 말을 허례허식(虛禮虛飾), 사심이 없고 영묘하여 어둡지 않다는 뜻으로 마음의 실체와 작용을 비유해 이르는 말을 허령불매(虛靈不昧) 등에 쓰인다.
▶️ 談(말씀 담)은 ❶형성문자로 谈(담)은 간자(簡字), 谭(담), 譚(담)은 동자(同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말씀 언(言; 말씀)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炎(염, 담)으로 이루어졌다. 화롯가에 둘러 앉아 이야기(言)를 나눈다는 뜻이 합(合)하여 말하다를 뜻한다. 炎(염)은 타오르는 불길이지만 이 자형(字形)을 부분으로 하는 글자는 모두 조용한 기분을 나타내고 있다. 言(언)은 말, 서로 논쟁하거나 싸우거나 하는 것이 아니고 조용하게 함께 이야기하는 일을 말한다. ❷회의문자로 談자는 ‘말씀’이나 ‘이야기’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중국인들은 한자를 발전시키면서 때와 상황에 따라 필요한 수많은 글자를 만들어냈다. 그래서 사전적으로는 단순히 ‘말’을 뜻할지라도 글자 간에는 미묘한 차이가 존재한다. 談자가 그러하다. 談자는 言(말씀 언)자와 炎(불탈 염)자가 결합한 것이기 때문에 ‘열정적으로 말하다’라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 그래서 談자는 담판(談判)이나 담합(談合)과 같이 논쟁과 합의가 필요한 ‘말’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그래서 談(담)은 이야기 담화(談話)의 뜻으로 ①말씀 ②이야기 ③언론(言論) ④이야기하다 ⑤농담하다 ⑥기리다 ⑦깊고 으슥하다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말씀 언(言), 말씀 화(話), 말씀 설(說), 말씀 어(語), 말씀 사(辭), 말씀 변(辯)이다. 용례로는 이야기로 한 단체나 또는 한 개인이 어떠한 사물에 대하여 그의 의견이나 태도를 분명히 하기 위하여 하는 말을 담화(談話), 서로 의논함으로 서로 상의하여 미리 입찰 가격을 협정하는 일을 담합(談合), 담화하고 의논함을 담론(談論), 웃으면서 이야기함을 담소(談笑), 어떤 일의 시비를 가리거나 결말을 짓기 위하여 논의함을 담판(談判), 서로 주고 받는 이야기를 담설(談說), 서로 이야기 함을 담의(談議), 의리를 이야기 함을 담의(談義), 이야기하던 김에를 담차(談次), 이야기 한 뒤에를 담여(談餘), 이야기하는 말을 담언(談言), 담화한 내용을 그대로 적은 글을 담초(談草), 아무 곳에서나 함부로 논의되는 말을 가담(街談), 거리에 떠도는 소문을 항담(巷談), 모여서 이야기 함을 회담(會談), 예로부터 전하여 내려와 사람들이 마음속에 깊은 동감을 얻고 널리 퍼진 격언을 속담(俗談), 확신을 가지고 자신 있게 하는 말을 장담(壯談), 잘 되라고 비는 말을 덕담(德談), 실 없는 말로 농지거리를 농담(弄談), 말로 상의함으로 어려운 문제를 전문가나 윗사람과 이야기하면서 해결하는 답을 찾는 것을 상담(相談), 마주 대하여 말함 또는 그 말을 대담(對談), 남이 못 되도록 하는 나쁜 말을 악담(惡談), 서로 만나서 이야기를 나눔을 면담(面談), 세 사람이 솥발처럼 벌려 마주 앉아서 하는 이야기를 정담(鼎談), 남몰래 비밀히 하는 이야기를 밀담(密談), 마음을 터놓고 이야기 함을 간담(懇談), 마주 자리를 잡고 앉아서 하는 이야기를 좌담(座談), 호랑이를 말하면 호랑이가 온다는 뜻으로 남에 관해 함부로 말하지 말라는 담호호지(談虎虎至), 위험이나 곤란에 직면해 걱정과 근심이 있을 때라도 변함없이 평상시와 같은 태도를 가짐을 담소자약(談笑自若), 완곡하게 상대방의 급소를 찌르는 말을 담언미중(談言微中), 담화나 의논이 속출하여 활발하게 이루어짐을 담론풍발(談論風發), 천상을 이야기하고 용을 조각한다는 뜻으로 변론이나 문장이 원대하고 고상함을 담천조룡(談天彫龍)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