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북한사회의 실상

라선특구 외국인 투자 유치

작성자틈왕|작성시간11.10.08|조회수529 댓글 7
사회기반시설(인프라) 도로,철도,전기,인력수급  필요하고 준비가 되어야 겠죠





중국 훈춘(琿春)-북한 원정리-라진항  도로 보수가 11월 완공 러시아 하산에서 두만강을 거
쳐 라진항에 이르는 광궤 철도 보수공사도  10월완공 라진과 중국의 연길이나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를 오가는 항로 개설도 추진 중

 중국, 러시아와의 접근성이  향상되고 북·중·러 3국간 물동량도 대폭 증가

라선특구 용수 해결을 위해 2천200만㎥를 저장할 수 있는 수원지를 확보했으며 이곳에 2천100㎾의 전력을 생산하는 수력 발전소도 건설, 전력 공급에도 문제가 없다

    태국 기업이 2천688만 유로를 투자, 국제전화가 가능한 유·무선 통신망을 갖췄고 수심이 깊어 겨울에도 얼지 않는 라진과 선봉, 웅상항 등 3개 부동항이 있으며 경관이 빼어난 20여 개의 섬이 있어 국제적 관광지 건설도 가능

유엔의 지원으로 라선 해운대와 상업대에 국제무역학과와 기업정보학과가 설치돼 전문 인력을 육성하고 있기 때문에 외국 기업들의 인력 확보에도 어려움이 없을 것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북한의 경제 특구인 라선 지역의 항에서 만경봉호 유람선의 출발을
의식하여 잠시 휴식을 취하는 북한 노동자들 
 ★ 놀고먹네 ★ ^^먹고노는 노동자들 ^^


그중 세금 ,노동분야만 설명할께요
북은 50여개의 법을 개정,정비해 라선에 투자하는 외국인 투자자 보호를 위해 법적조치를 하고
외국투자기업의 투자원금및 이윤도 외국으로 송금할수있고 세금우대정책도 시행

<나선경제자유무역지구 세금우대정책>

자기자금으로 건설 구입한 경우 재산세 5년면제 상속세액이 5만유로이상이면 3년간 분활납부가능
기업소득세(법인세)는 10~14%(대체로 자본주의국가는 20~35% 내외 )

<중국정부는「산업구조의 고도화」와「공평한 경쟁환경」조성을 명분으로 內外資 법인세율을 25%로 단일화하고 외자기업에 대한 우대 세제를 폐지하는 내용의 新기업소득세법을 오는 3월16일 全人大 폐막일에 채택해 2008년부터(단서조항 있음) 시행>



(한국 20~22% 법인세 실효세율은 16.6%로, 2008년 20.5%, 2009년 19.6% 계속 낮아지고 있다고 한다. 법인세 명목세율 22%보다 5.4%포인트나 낮다. 각종 비과세 및 감면 혜택을 받아 기업들이 실제로 내는 법인세 부담은 명목세율보다 상당히 낮다는 뜻이다)


3천만 유로이상 투자한 장려부분 소득세는 이윤이 발생한 4년간 면세 그후 3년간 50%감세 
영업세,거래세,미미하고 개인소득세는 노동보수액의 500유로까지 면세 세금은 은행이나 세무서에 선택납부

노동,임금...노동자 최저임을 80$로 적용 개성공단은 63,$ 라선이 25%정도 높지만 중국최저임금 절반수준

(광둥(廣東)성의 선전시의 최저임금이 작년(1100위안)보다 20% 오른 1320위안(22만4000원)

충칭(重慶)시 870위안(14만8000원)  저장(浙江)성이 1310위안 상하이(上海)는 1280위안 


베이징(北京)은 1160위안  산시(陝西)성으로 860위안 21개 지역 중 동부지역이 11개였으며 11개 지역 모두는 1000위안을 넘었다.

 중서부 지역 중에선 신장(1160위안)과 허난(河南, 1080위안) 안후이(安徽, 1010위안) 등이 1000위안을 초과했다. )


OECD국가별 시간당 최저임금표


멕시코 5,708원
뉴질랜드 11,114원
호주 13,568원
미국 10,648원
일본 10,936원
영국 11,775원
캐나다 9,700원
벨기에 14,620원
네덜란드 15,011원
프랑스 14,581원
아일랜드 14,842원(2009년도 기준)


그리고 한국 4,580원(내년 2012년도 기준)

 한국 하루 8시간, 주 40시간 근무(월 209시간)할 경우 95만7220원








'11.1~
'11.12
5,180
(41,440)
26.04,110
(32,880)
0.04,470
(35,760)
8.84,223
(33,784)
2.754,320
(34,560)
5.14,320
(34,560)
5.1표결에 의거
공익(안) 의결
(사용자측퇴장)
'10.1~
'10.12
5.150
(41,200)
28.73,770
(30,160)
-5.84,110
(32,880)
2.754,110
(32,880)
2.754,110
(32,880)
2.754,110
(32,880)
2.75표결에 의거
공익(안) 의결
















시간급 기준, 1일 8시간기준 임금임.
     

====== 적을 믿는 바보 집안은 3족을 멸해 멸망시켜야 한다. ======

도쿠가와 이에야쓰(德川家康) ()


수꼴이라 삭제 ☜ 여그부터는 이분글 가져옴 감사함

[2011년 9월의 북한 풍경(라선 경제특구)]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금강산 리조트를 향해 만경봉호를 타고 출발하는 130명의 관광객들을 위해  
빨간 카펫을 바닥에 설치하는 근로자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흰셔츠와 빨간 넥타이를 매고 만경봉호 여객선의 첫 출항을 기념하기 위해
모인 라선 경제특구의 북한 주민들

현지의 최고 관계자의 말에 의하면 중국과 러시아는 동해안의
라선 경제특구지역으로 접근하기 위하여 집중적으로 투자를 했다고 한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조화를 들고 만경봉호 유람선 출항 퍼포먼스를 위해 모인 500명의 북한주민들

북한의 만경봉호는 북한이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 이후 일본으로 부터
입출항 허가의 제약을 받기전에는 북한과 일본 사이의
화물 수송과 여객수송을 담당했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만경봉호 유람선의 출항시 축하 의식때 흔들 부케 꽃다발을 들고있는 북한 주민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유람선 만경봉호 내부에 작은 선실을 얻은 외국 기자들

선실 바닥에 놓인 침대 매트리스를 볼수 있는데 이 곳은 개인 욕실이 딸려 있다고 한다.
그런데 욕실에서 나오는 물빛은 녹성분이 섞였는지 갈색이었다고 한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만경봉호 유람선의 상단 갑판에서 휴식을 취하는 중국 관광단 승객들
- 2011년 9월 1일 금강산 리조트 인근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만경봉호의 북한 여성 승무원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만경봉호의 여객 항해시 관광객들에게 제공될 버드와이저 맥주와 마른 명태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항후 만경봉호 식당의 가라오케 반주기기 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 중국인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만경봉호를 타기위해 금강항에서 승선 준비를 하는 북한 해군장교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만경봉호 유람선 갑판의 중국인 여성 관광객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만경봉호 뱃머리에 선 관광객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북한 라선 경제특구지역의 중국 관광객들과 북한군 장교

국가 경제가 빈곤한 상황에 처한 북한 정부는 지난해 여름부터 나선 특별
경제구역의 개발을 위해 공동 사업을 벌여왔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금강산 리조트의 벽에 걸린 금강산 안내 지도를 보는 여성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라선 경제특구의 식당에 근무하는 북한의 여 종업원

북한은 중국과 몇시간 거리에 위치한 이 지역을 활성화 시키기
위하여 중국 기업들의 도움을 받는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금강산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는 중국인 관광객

금강산은 남,북한 사이 화해의 가는성이 있었던곳 이었지만 지금은 국제 분쟁의
중심에 놓여 있는곡이기도 하다. 얼마전까지 북한은 금강산에 투자한 한국의
기업과 이곳을 찾은 관광객들에게 많은 수입을 얻었다.

하지만 2008년 북한 경호원들이 한국의 여성 관광객1명을 사살한후 이곳은 폐쇄된
형태나 다름없었다. 그리고 이 금강산 리조트는 북한이 자산을 몰수한후 다른 관광
객들을 유혹하고 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라선 경제특구 주민들에게 주된 교통 수단으로 이용되는 자전거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바이올린을 켜는 라선 경제특구 지역의 현 주민 어린 소년
북한 관리들은 이러한 공연을 펼치며 국가의 활력과 가능성을 보여주는 연출을 시도한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무대뒤에서 공연을 연습하는 라선 경제특구 지역의 어린이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공연을 벌이는 북한 라선 경제특구 지역의 어린이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라선 경제 특구지역의 극장에서 공연하는 북한 어린이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라선 경제특구지역의 북한과 중국 국경 사이 검문소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소수레를 타고 나선지역을 지나 원정리로 이동하는 북한 라선지역의 주민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북한과 중국 사이의 국경인 라선지역 원정리의 북한 경비원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북한 금상산 리조트 골프 코스의 중국인들

이곳은 북한 경비원들에게 한국인 관광객이 총에 맞아 사살된후 3년전부터
문을 닫았다. 2011년 올해 여름에 북한의 관리들은 이 리조트를 복원하며
중국 관광 당국에 도움을 요청하여 다른 관광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시작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방과후 집으로 향하는 라선 경제특구지역의 시골 어린이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금강산 관광 지역의 다리에서 주변 경치를 만끽하는 중국인 관광객들

한때 이곳은 서울과 평양사이 협력의 상징으로 번성했지만 지금은 북한 금강산
관광지구의 업소들은 영업이 종료되었으며 빈 호텔과 빈 골프 코스들만 남이 있다.
금강산의 수풀이 우거진 지역은 한국인 관광객들을 위한 북한과 현대의 공동
운영에 의한 명승지로 문을 열었다. 하지만 2008년 7월 제한 구역인지 모르고 접근
했었던 한국의 여성 관광객 1명에게 목숨을 앗아간  이곳 여행은 중단되게 되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트럭을 타고 이동하는 라선 경제특구지역의 북한 주민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해금강에서 기념 촬영을 하는 중국 관광객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라선 경제특구의 북한 식당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테이블 서비스를 위해 대기하고 있는 북한 금강산 호텔의 웨이트리스 종업원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북한 라선 관광특구 지역의 산책시 기본적으로 이용되는 자전거 타기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라선 지역 거리의 북한 여성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답댓글 작성자정론직필 | 작성시간 11.10.08 외출복 수준의 옷을 입고 노동을 한다는 말은
    옷이 별로 더럽혀 질 일이 없는 노동 수준이라는 의미일 것인데....

    나로서는 그 점이....언제나 매우 의아스럽게 느껴지고 있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틈왕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11.10.08 직필님이 부러운거겟죠 ㅎㅎ ^^ 놀고먹고 먹고놀고 ^^ 지화자 ㅎ
    개성공단에서 북 근로자들이 일도 잘하고 솜씨,맵씨도 잇는데
    일을 남한노동자들(컨베어벨트식)처럼 마구 못부려먹으니까
    노동성과급 즉 일잘하는자와 일못하는자 구분을 두자 하니 (임금차별,임금성과급제 존말로 보나쓰^^)
    북한당국자 한마디로 안돼 그럼 방빼 햇답니다 ㅎㅎ(어디사회나 2대8 법칙 2명이 다하죠 ^^)
    그지같은것들이 한달월급 7만원 주고도 더 등골,뼈골을 우려먹으려는 남한 쌍놈자본가들 ...
    하긴 방글라에서는 만5천주니 개성공단은 엄청주죠^^(영원무역 노스페이스 불매합시다 ...)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답댓글 작성자정론직필 | 작성시간 11.10.08 틈왕/

    내 말은....
    반공교육에 의하면....북한주민들은 중노동에 시달린다던데
    사실은...북한에서는 노동강도가 매우 약한 것이 아닐까...
    하는 의혹....

    하긴, 팔팔삼님도 이미 언급한 바 있지만...

    "만일 북한 노동자들이 남한 노동자들처럼 죽을둥 살둥 힘들게 노동을 한다면
    아마 북한에서는 '노력영웅' 칭호를 받게 될 것"이라고....
  • 작성자아놔 키스트 | 작성시간 11.10.08 이런 모습이 사람중심의 사회겠죠
    어떠한 강제성을 띄지않고도 사람의 본성만으로 충분히 도덕적으로 절제되고
    저주적이고 창조적인 생각으로 극강의 미제와 맞서 싸우며 여유만만하게 살아갈수있다는 사실이 놀랍지 않으심니까?,,

  • 답댓글 작성자틈왕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11.10.08 ? 솔직히 북이 대외개방,해외자본유치 속내를 본다면 경제적으로 궁하다는건 사실일겁니다
    돈은 전부 중국,러샤돈으로 하고 있고 법인세,세제혜택주는것 보니 북한역내의 경제부흥을 위해 내나라땅을
    빌려준다고 보면 되죠 70~80년대 창원,부산,인천등 자유무역지구라 해서 우리 한국인들도
    해외자본에 저임금으러 피빨리고 착취당하고 또 우리도 중국,방글라,개성서 피빨고
    자본주의 흡혈귀들이 세계각처에서 횡행 합니다 아직 북이 무상배급,주택,의료,교육은 유지하나
    만약 그걸 포기한다면 잃어버린 전설 중국처럼 기괴한 공산당이 집권하는 나라가 되겠죠...
    [로스트 인 베이징] 현대인의 자화상 낙원은 점점 멀어지는지 ...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댓글 전체보기

북한사회의 실상 다른글

현재페이지 1234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