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스크랩] 고구려관련 금석문(3세기)

작성자나도사랑을했으면|작성시간06.08.18|조회수63 목록 댓글 0
 


【3세기】

[군사마인(軍司馬印)]

1)연대:244년(동천왕18년, 위(魏) 제왕(齊王) 정시(正始)5년) 추정

2)크기:가로·세로 2.3cm, 두께 1.0cm

3)출토지:중국 길림성(吉林省) 집안시

4)개관:중국 길림성 집안현 출토로 구뉴(龜鈕). 인면(印面)의 크기는 2.3cm의 방형(方形)이며 두께는 1.0cm이다.


<판독문>

軍司馬印」


<해석문>

군사마1)

(임기환)


[위관구검기공비(魏毋丘儉紀功碑)]

1)연대:244년(동천왕18년, 위(魏) 제왕(齊王) 정시5년) / 245년(동천왕19년, 위 제왕 정시6년) / 246년 (동천왕20년, 위 제왕 정시7년)

2)크기:세로 26.6cm, 가로 26.3cm

3)출토지:중국 길림성(吉林省) 집안시 소판차령(小板岔嶺)

4)개관:1906년 집안현 소판차령(小板岔嶺)의 도로공사 중에 발견되었으며, 당시의 지현(知縣)이었던 오광국(吳光國)의 소장이 되었다. 비면의 아래와 왼쪽 부분이 떨어져 나가, 7행만 남아있을 뿐 전문은 알 수 없다. 아마도 현재 남아있는 비면의 아래에 1~2자가 더 있었을 가능성이 있고, 행도 2~3행은 더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현존하는 비면의 크기는 세로 26.6cm, 가로 26.3cm이며, 자경(字徑)은 2.7cm이고, 서체는 예서체이다.


<판독문>

正始三年高句驪反」

督七牙門討句驪五」

復遺寇六年五月旋」

討寇將軍巍烏丸單于□」

威寇將軍都亭侯□」

行裨將軍領□」

□裨將軍」


<해석문>

정시(正始) 3년(242년)에 고구려(高句驪)가 반(反)하자2),

7장군(將軍)을 거느리고 구려(句驪)를 토벌하였다. 5(年에)

(고구려가) 다시 구략(寇略)하자, (토벌하고) 6년 5월에 (군사를) 돌이켰다3).

討寇將軍 巍烏丸單于□4)

威寇將軍 都亭侯□

行裨將軍領□

□裨將軍


[진고구려솔선읍장인(晋高句麗率善邑長印)]

1)연대:265~316년 추정

2)크기:가로·세로 2.2cm, 두께 0.7cm

3)출토지:중국 길림성(吉林省) 집안시

4)개관:수뉴(獸鈕). 인면(印面)의 크기는 2.2cm의 방형(方形)이며 두께는 0,7cm이다. 인문(印文)은 전서체(篆書體) 음각이다. 구중용(瞿中溶), 『집고관인고증(集古官印考証)』권12에 수록되어 있으며, 현재 중국 고궁박물원(故宮博物院)에 소장되어 있다.


<판독문>

晉高句麗率善邑長」


<해석문>

진고구려솔선읍장5)(晉高句麗率善邑長)

(임기환)


[진고구려솔선백장인(晋高句麗率善伯長印)]

1)연대:265~316년 추정

2)크기:

3)출토지:중국 길림성(吉林省) 집안시 환도성 옛 터

4)개관:1940년 전후에 중국 길림성 집안현 환도고지(故址)에서 출토되었다. 구중용(瞿中溶), 『집고관인고증(集古官印考証)』권12에도 「진고구려솔선백장(晉高句麗率善佰長)」동인(銅印) 1점이 수록되어 있다. 인문(印文)은 전서체(篆書體) 음각이다.


<판독문>

晉高句麗率善佰長」


<해석문>

진고구려솔선백장6)(晉高句麗率善佰長)

(임기환)


[진고구려솔선천장인(晋高句麗率善仟長印)]

1)연대:265~316년 추정

2)크기:미상

3)출토지:미상 

4)개관:구중용(瞿中溶), 『집고관인고증(集古官印考証)』권12에 수록되어 있다. 인문(印文)은 전서체(篆書體) 음각이다.


<판독문>

晉高句麗率善仟長」


<해석문>

진고구려솔선천장(晉高句麗率善仟長)

(임기환)


==================

1)‘軍司馬’ : 군사마는 『주례(周禮)』 하관조(夏官條)에 ‘軍司馬下大夫四人’이라고 보이고 있다. 그런데 한대(漢代)에는 대장군의 속관(屬官)이다. 『후한서(後漢書)』 지(志)24 백관지(百官志)에 ‘大將軍營五部 部校尉一人 比二千石 軍司馬一人 比千石 ... 其不置校尉 但置軍司馬一人’이라 하였다. 『집안현문물지(集安縣文物志)』에서는 244년(정시 5) 관구검이 고구려를 침입할 때 제장군(諸將軍) 아래에 군사마(軍司馬)가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 인장(印章)은 이 때 남겨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2) 고구려의 서안평(西安平) 공격을 말한다.(『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 고구려전(高句麗傳))

 

3) 『삼국지』 위서 제왕방기(齊王芳紀)에는 관구검(毋丘儉)의 고구려 정벌을 정시(正始) 7년의 일로 기록하고 있으나, 동서(同書) 관구검전(毌丘儉傳)에는 정시중(正始中)에 1차 정벌하고, 정시(正始) 6년에 2차 정벌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동서(同書) 고구려전에는 정시(正始) 5년에 정벌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여러 기록의 연대 차이로 관구검의 고구려 정벌 시기에 대해서는 이설(異說)이 있다. 왕국유(王國維)는 고구려전(高句麗傳)의 기록을 취하였고, 이케우치 히로시[池內宏]은 위 비문과 관구검전(毋丘儉傳)의 연대를 취하여, 관구검 자신의 1차 정벌은 위 비문의 내용과 같이 정시(正始) 5년에 시작하여 6년 5월에 종료되었고, 다시 6년에 왕기(王頎)의 2차 정벌이 있었다고 보았다.

 

4)‘巍烏丸單于□’는 관구검전(毋丘儉傳)에 보이는 오환(烏丸)선우(單于) 구루돈(寇婁敦)일 것이다.

 

5)‘率善邑長’ : 『삼국지(三國志)』 동이전(東夷傳) 한조(韓條)의 ‘其官有魏率善邑君 歸義侯 中郞將 都尉 伯長’이란 기사에서 알 수 있듯이 솔선읍장은 한(漢)·위(魏)·진(晉)대에 색외제족(塞外諸族)의 수장(首長)에게 부여한 칭호의 하나이다. 아마도 본 인장(印章)은 진(晉)에 귀부(歸附)한 고구려의 한 수장이 받은 칭호일 것이다.

6)‘佰長’ : 『삼국지(三國志)』 동이전(東夷傳) 한조(韓條)의 ‘其官有魏率善邑君 歸義侯 中郞將 都尉 伯長’이란 기사에서 보듯이, 백장(佰長)은 읍장(邑長)·천장(仟長)과 마찬가지로 한(漢)·위(魏)·진(晉)대에 색외제족(塞外諸族)의 수장(首長)에게 부여한 칭호의 하나이다. 본 인장(印章)도 진(晉)에 귀부(歸附)한 고구려의 한 수장이 받은 칭호일 것인데, 읍장이나 천장의 칭호보다는 하위의 관이다. 집안현에서 출토된 읍장·천장·백장의 인장은 고구려의 여러 수장들이 세력의 차이에 따라 차등있게 받은 것으로 짐작된다. 한편 한(漢)·위(魏)·진(晉)이 주변 제족의 수장에게 부여한 천장·백장의 인장은 많은 출토 예를 볼 수 있다.(岡崎敬) 한반도에서는 영일군 출토로 전하는 「진고구려솔선백장(晉高句麗率善佰長)」 은인(銀印)과 상주 출토로 전하는 「위솔선한백장(魏率善韓佰長)」 동인(銅印)의 두 예가 있다.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뿌리아름역사동아리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